차문화와 다도예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차문화와 다도예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를 맡은 뒤 맛을 보도록 한다.
〈 마시는 방법 〉
- 한꺼번에 다 마시지 않고 맛을 음미하면서 여러 사람과 보조를 맞춰 천천히 마신다.
- 탁자가 멀리 있거나 없을 때는 무릎 위에 받침접시를 놓거나 왼손에 찻잔을 받쳐 놓고 오른손으로 찻잔을 들고 마신다.
- 뚜껑이 있는 찻잔인 경우에는 뚜껑을 열어 뚜껑의 물기를 찻잔의 안쪽에 한번 댔다가 옆에 놓은 다음 오른손으로 잡고 왼손에 받쳐서 들고 마신다.
- 찻잔에 묻은 입술 자국은 왼손으로 살짝 닦아서 뒤처리한다. 곁들인 다과를 먹을 때에는 입으로 베어서 먹지 말고 한입 크기로 잘라서 먹는다.
3) 다례의 정신
첫째, 전통 존중의 정신이다.
둘째, 예절 존중의 정신이다.
셋째, 과학 존중의 정신이다.
넷째, 생활 존중의 정신이다.
다섯째, 청결 존중의 정신이다.
4) 행다례의 특징
행다법(행다례, 차예절법)이란 차 다루는 법과 관계되는 제반 다사법(다사법), 그리고 이에 수반되는 예의범절과 그 분위기까지를 포함한 것을 말한다. 실체로 차를 운용하는 일체의 행위, 즉 차를 우려 마시는 모든 일이 바로 행다법(차예절법)이다.
- 차는 식사 때 음료로 마시기도 하고 식사 후 후식으로도 마신다. 여러 사람과 모임에서 분위기를 부드럽게 하거나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촉매 역할을 하기도 한다. 차의 종류는 우리나라 차와 외국산 차로 나눌 수 있다.
- 우리 고유차는 인삼차, 보리차, 생강차, 유자차, 모과차, 구기자차, 오미자차, 엽차 등이 있으며, 외국차는 커피, 홍차 등이 있다.
- 뜨거운 차는 가장 뜨거운 상태에서 마실 수 있도록 다기를 데워서 따뜻하게 준비하고, 차가운 차는 차갑게 마실 수 있도록 마련한다.
우리가 즐겨먹는 차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녹차 중에서 특히 애용하거나 관심있는 차는 무엇인가요?
→ 생산지에 따라(주로 한국차) 반야차, 반야로차, 춘설차, 설록차, 보정차, 학사차, 화개차 등이 있고, 발효정도에 따라(주로 중국차) 녹차, 용정차, 오룡차, 철관음, 무이암차, 보이차 등이 있다.
◎ 퀴즈
1. 차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 찌는 차 = 증제차(蒸製茶)와 부초차(釜炒茶)로 나누는데 부초차는 우리말로 ‘ □□차’라고 할 수 있다. 정답: 덖음차
2. 차를 마실 때 행하는 차 다루는 법과 관계되는 제반 다사법(茶事法), 그리고 이에 수반되는 예의범절과 그 분위기까지를 포함한 것을 말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법, □□례
정답: 행다법, 행다례

키워드

  • 가격2,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8.20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1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