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I_활동_보고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QI_활동_보고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0
1
0
0
1
0
0
1
0
1
4
40
침상난간 올려줌
0
0
0
1
0
0
0
0
1
0
2
20
침대바퀴 장금장치 유지
1
1
1
0
0
0
1
1
0
0
5
50
병실, 복도, 샤워실, 화장실, 미꾸러운 물질 없도록 확인
0
0
0
0
0
1
0
0
1
0
2
20
총 합계
2
2
1
1
2
2
2
2
2
2
18
총 백분률
40
40
20
20
40
40
40
40
40
40
36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해서 낙상 예방 간호 수행률을 높여야 한다.
개선전략 활동
1. 개선 계획 수립(Plan)
일정: 2015년 9월 14일~9월 25일
1) 입원환자 낙상예방 활동
가. 입원환자는 입원시 낙상예방교육을 한다.
나. 낙상사정 평가 후 고위험군은 직원 간 공유하기 위하여 EMR창에 표시한다.
다. 입원 환자는 응급벨과 침상 난간 사용하는 법을 교육한다.
라. 보호자 또는 간병사가 상주 할 것을 교육한다.
마. 수면 전에는 화장실에 다녀오도록 교육한다.
바. 휠체어 등 이동 장치에 잠금 장치를 잠그도록 한다.
사. 크기가 맞는 운동화를 착용하도록 한다.
아. 병실, 샤워실, 화장실, 복도 등에서 미끄럼주의교육을 한다.
2) 낙상 고위험 환자의 낙상 예방 활동
가. 낙상 고위험군은 입원 환자의 낙상예방활동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나. 낙상 고위험군은 환자 침상에 낙상 고위험 군 표시를 부착한다.
다. 해당 환자가 낙상 고위험 군임을 알 수 있도록 환자손목 팔찌에 낙상주의 스티커를 부착한다.
라. 고위험군은 정기적인 재평가시 낙상예방간호활동과 함께 시행한다.
개선 계획의 실행(DO)
가. 병원 내 모든 이동식 Pole대와 휠체어, 이동침대에 낙상주의 표지판을 부착하였다.
<개선 전> <개선 후>
나. 낙상 위험이 있는 장소인 공용 화장실, 샤워실에 낙상주의 표지판을 부착하고, 계단에는 안전바를 설치하고 계단주의 표지판을 부착하였다.
다. 침대 및 휠체어 바퀴를 점검하여 고장이 없도록 하였다.
라. 조명을 적절한 밝기로 유지하였다.
마. 수면 시에는 침대의 난간을 올려주어 낙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
<개선 전> <개선 후>
바. 병실, 복도, 화장실 등에는 물기가 없도록 관리하였다.
사. 낙상 고위험 환자가 검사나 시술을 위해 이동시 낙상 예방을 위해 간병인 또는 보호자와 함께 이동하도록 하였다.
아. 낙상 위험도를 평가하여(환자안전사고 평가보고서 도구)고위험군 환자에겐 낙상 고위험 군임을 알 수 있도록 환자손목 팔찌에 낙상주의 스티커를 부착하였다.
활동효과 : 질 개선 계획의 점검(Check)
1. 1차 자료 결과
1) 낙상 예방 간호 활동 수행률
① 2015. 9. 14~ 2015. 9. 18
② 결과 : 낙상 예방 간호 활동 수행률 36 %
③ 해석 : 낙상 예방 간호의 수행률은 36%로 확인되었다. 교육과 침대바퀴 장금장치유지는 50%의 확률로 시행되고 있었으며, 낙상 고위험군 표지판 부착은 40%, Side rail을 올리는 것은 20%로 가장 지켜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샘플러
내용
1
2
3
4
5
6
7
8
9
10
총합계
총백분
교육
(보호자 상주, 취침 전 화장실 다녀오기, 미끄럼 주의 등)
1
0
0
0
1
1
1
0
0
1
5
50
낙상고위험군표지판 침상 부착
0
1
0
0
1
0
0
1
0
1
4
40
침상난간 올려줌
0
0
0
1
0
0
0
0
1
0
2
20
침대바퀴 장금장치 유지
1
1
1
0
0
0
1
1
0
0
5
50
병실, 복도, 샤워실, 화장실, 미꾸러운 물질 없도록 확인
0
0
0
0
0
1
0
0
1
0
2
20
총 합계
2
2
1
1
2
2
2
2
2
2
18
총 백분률
40
40
20
20
40
40
40
40
40
40
36
2. 2차 자료 결과:
1) 낙상 예방 간호 활동 수행률
① 2015. 9. 21 ~ 2015. 9. 25
② 결과 : 낙상 예방 간호 활동 수행률 50 %
③ 해석 : 개선 후의 낙상 예방 간호 수행률은 총 백분율 50%로 개선 전 대비 14% 향상 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샘플러
내용
1
2
3
4
5
6
7
8
9
10
총합계
총백분
교육
(보호자 상주, 취침 전 화장실 다녀오기, 미끄럼 주의 등)
1
1
1
0
1
1
1
0
0
1
7
70
낙상고위험군표지판 침상 부착
0
1
0
1
1
0
0
1
0
1
5
50
침상난간 올려줌
0
1
1
1
0
1
0
0
1
0
5
50
침대바퀴 장금장치 유지
1
1
1
0
0
0
1
1
0
0
5
50
병실, 복도, 샤워실, 화장실, 미꾸러운 물질 없도록 확인
0
0
1
0
0
1
0
0
1
0
3
30
총 합계
2
4
4
2
2
3
2
2
2
2
25
총 백분률
40
80
80
40
40
60
40
40
40
40
50
결론 및 제언 : 질 개선 계획의 조치(Act)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사건 중의 하나이고 의료과실로 소송이 제기되는 가장 흔한 원인이기도 하다. 낙상이 발생하면 그로 인한 피해는 환자나 의료진에게나 부담스러운 부분이 된다.
정형외과 병동 특성상 거동이 불편한 낙상의 고위험군들이 많은 병동이지만 입원환자나 간호사나 모두 낙상에 대한 위험성을 간과하고 있는 것 같이 느껴졌다. 입원환자 대다수가 노인이었고, 노인들의 대다수는 걷기나 힘들거나 보조기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서 낙상예방활동에 대한 수행률을 보고자 QI 보고서를 작성하게 되었고 이 활동의 결과 낙상예방활동 수행률에 근거하여 낙상발생율의 감소를 보였다. 의료진과 가족들의 지속적인 참여로 낙상예방활동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노력과 실천이 있으면 충분히 낙상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으며 형식적인 예방활동보다 전략적인 수행률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별첨1) 간호사 낙상예방 교육 check list
샘플러
내용
1
2
3
4
5
6
7
8
9
10
총합계
총백분
교육
(보호자 상주, 취침 전 화장실 다녀오기, 미끄럼 주의 등)
낙상고위험군표지판 침상 부착
침상난간 올려줌
침대바퀴 장금장치 유지
병실, 복도, 샤워실, 화장실, 미꾸러운 물질 없도록 확인
총 합계
총 백분률
별첨2) 낙상예방 간호활동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5.11.12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67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