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작가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와 오도케(お道化)
① 다자이의 생애
② 다자이 오사무의 오도케(お道化)
③ 오도케의 배경
1) 환경과 성격
2) 불안과 공포
3) 봉사의 정신
ⅱ) 「인간실격」에 나타난 도케의 형태
① 오챠메(お茶目), 오시바이(お芝居)
② 오샤레(お洒落)
ⅲ) 인간 실격에 나타난 도케 분석
- 혼네와 다테마에 중심
① 혼네(本音)와 다테마에(建前)
② 분류
1) 가정 속에서의 인간관계
2) 사회관계에서의 인간관계
3)여성과의 인간관계
4) 요조의 인간관
ⅳ) 도케와 자아
Ⅲ. 결론
Ⅰ. 서론
Ⅱ. 본론
ⅰ) 작가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와 오도케(お道化)
① 다자이의 생애
② 다자이 오사무의 오도케(お道化)
③ 오도케의 배경
1) 환경과 성격
2) 불안과 공포
3) 봉사의 정신
ⅱ) 「인간실격」에 나타난 도케의 형태
① 오챠메(お茶目), 오시바이(お芝居)
② 오샤레(お洒落)
ⅲ) 인간 실격에 나타난 도케 분석
- 혼네와 다테마에 중심
① 혼네(本音)와 다테마에(建前)
② 분류
1) 가정 속에서의 인간관계
2) 사회관계에서의 인간관계
3)여성과의 인간관계
4) 요조의 인간관
ⅳ) 도케와 자아
Ⅲ. 결론
본문내용
하나의 문장에 괴로워했던 인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는 「주위사람」에 대한 봉사를 하기 위해 도케를 연기했다. 그것은 그의 이상이기도 하였다. 다자이는 항상 세상이라는 것을 자기의 상대로 두었기 때문에, 그것은 더할 나위 없이 자연스러운 표현방법(도케)이었다고 말할 수 있겠으나, 실은 다자이 자신의 문제는 그러한 것에서 생겨나기 시작한다. 인간이라고 하는 것은 모두 서로 다른 성격을 갖는 법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러한 자연스런 이치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 그래도 그는 세상을 떠나지 않고, 세상에 집착해, 자신을 그곳에 두었다. 그의 자기몰입도 자기의 주장을 정당화하고 자기중심적인 의욕으로부터가 아니라 세상이나 사회 속에 자신을 둔 것이다. 이러한 의식은 분명히 그의 환경 -쓰가루 굴지의 부호(富豪)와 전통적인 구 가족주의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여 진다.
그에게는 모든 것이 타인처럼 자기 자신의 내부 필연성으로써 생겨나지 않는다. 그래서 혜택 받은 물질적 환경으로 인해 「인간은 밥을 먹지 않으면 죽기 때문에, 그 때문에 일을 하고, 밥을 먹어야만 한다고 하는 말만큼 자신에게 난해(難解)하고 그리고 그만큼 협박조로 들리는 말은 없었다」(p.10)라고 고백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그러한 점에는 이미 자기 자신의 주장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하는 관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을 위한 에고이즘이 나쁘다고 생각하는 생활 무능력자적 존재를 느낀 것이다.
그러한 감정이 분명해졌을 때에 「불안과 공포」의 고백이 나오는 것이다. 그리고 그는 세상 또는 비합리적인 세계 사이에서 도케라고 하는 매개체를 만들었다. 위와 같은 정서는 그 자신의 자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이 「불안과 공포」와의 감각을 더욱 분석하기로 한다.
그럼 다자이에게는 자아라고 하는 것은 도대체 어떠한 것인가? 자아라고 하는 것은 자신이라고 하는 구체적 의미에 대한 추상적인 의식을 지칭하기 때문에 자아의식은 마음속의 도케를 전제로 하고 있고 게다가 도케에 대립하는 것으로서 나타난다. 다자이의 자아에 대해 크리스E는 「예술 창작과정에 있어서의 자아를 도와주는 적응적 퇴행이라고 하는 개념을 제창하고, 자아기능을 일시적으로 퇴행시킨 후에 다시 현실에 회복시키는 심적 과정이 창작활동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는데, 다자이의 자아의 경우는 일시적 퇴행 후 현실에 돌아올 수 있는 자아의 유연성이 없었다」 「文:太宰治もう一つの顔を求めて」(東京、燈社、1982.5) p.80
라고 말하고 있다.
다자이는 자아의식, 도케를 통한 외침, 그리고 죄의 의식을 가지면서 비합리의 세계에 자신을 두고 세상과 대결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다른 사람의 인생을 이해할 수 없었던 「자아」의 연약함, 그리고 그의 내부에 존재하는 죄의식, 게다가 상처받은 슬픔을 알았을 때, 다자이가 살아온 인생이, 어떠한 계보를 짚어 왔는가를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동시에,
다자이는 의지 없고, 계획성 없고, 극기심(克己心)없고,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능력이 결여되고, 살아가는데 필요하지 않는 능력만 우수하였던 인간이었다.
太宰は、意志なく、計性なく、克己心なく,人が生きるのに必要な能力を欠き,生きるのに必要ではない能力ばかり秀でた人間であった。 饗庭孝男、「文人間失格」(東京、燈社、1967.11) p.39
라고 평가된 인간 다자이 오사무와 그의 문학이 무엇이었는지 상상하기 어려운 것만은 아니다. 그리고 인간의 진실된 삶이란 무엇인가라는 문제를 생각할 수밖에 없었던 다자이의 순수한 윤리를 우리들은 다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결론
『인간실격』은 특수한 생애를 체험한 다자이의 정신적 자서전임과 동시에 보편적인 인간 그 자체의 정신역사이기도 하고 또 보는 견해에 따라서는 다자이 오사무의 생애의 자기고백이고도 말할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인간실격』은 어떠한 시대의 인간에게도 공통하는 인간상을 제시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 한편 인간 존재를 압박하는 사회질서의 잔혹함이 대조적으로 나타나는 현대를 「도케」라고 하는 수단을 통하여 표현한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인간실격』에서는 「도케」를 통하여 주인공을 인간의 사회생활에 대한 이방인으로 설정함에 따라 이 사회의 일체의 기성가치개념-일상적 습관, 도덕, 제도, 법률 등-을 원상태로 환원시키고, 또 그것을 자기의 주체에 있어 비판하고 가면을 벗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그 주인공이 자기에게 충실하고 게다가 사회나 현대에 충실했기 때문에 또 인간에 대한 진실에의 구애를 어디까지나 버리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고군분투한 인생 그리고 그로 인해 인간사회로부터 매장당하고 패배하여 가는 과정을 본고에서는 「도케」의 방면에서 고찰하여 왔다.
본고는 인간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취하면서 그 부정적 태도를 넘어 「도케」를 통하여 진실한 신뢰의 세계, 인간희구, 사랑에 대한 희구의 자세를 보았다. 진실된 인간을 향한 희구를 알 수 있었다.
진실된 인간으로서 살고 있지 않다고도 보여 지는 우리들의 현실에 있어서 「도케」의 의식은 인간 내면진실의 아름다움, 정직함을 즉 내면적 진실을 제시하고 있다. 생각해 보면 다자이 오사무의 일생은 한 명의 연약하고 고독한 인간이 자기의 숙명과 윤리 그리고 진실이고 하였던 생애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자신의 연약함이나 타인과는 다른 것은 아닐까하는 두려움을 거짓 없이 계속 지니며, 오히려 그것을 심화시킨 것이다. 그는 그 때문에 그의 인생에 있어서는 좌절하고 추락했다. 그러나 그는 그러한 결여감(欠如感)을 더욱 심화시킴에 의해 자기 자신의 고뇌를 일반적인 인간의 본질문제로서 표현하는 것이 가능했다.
그러한 점에서 극한상황에 처한 인간의 진실된 모습이 그려진 모습이 보였다. 다자이 오사무가 생애를 걸어서 목표로 한 것은 약한 인간에 대한 진실된 구원을 찾는 것이었다. 약한 인간도 살 수 있는 이상의 사회를 실현하는 것에 있었다. 그리고 그 진실을 막는 사회에, 도덕에, 질서에, 그는 전존재를 걸어서 반역을 꾀하고 그 반역에 의해 약하고 그러나 아름다운 진실된 인간을 용기를 북돋아 하였다.
다자이가 품은 문제는 인간에 의해 최대의 그리고 영원의 과제와도 같다.
그에게는 모든 것이 타인처럼 자기 자신의 내부 필연성으로써 생겨나지 않는다. 그래서 혜택 받은 물질적 환경으로 인해 「인간은 밥을 먹지 않으면 죽기 때문에, 그 때문에 일을 하고, 밥을 먹어야만 한다고 하는 말만큼 자신에게 난해(難解)하고 그리고 그만큼 협박조로 들리는 말은 없었다」(p.10)라고 고백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그러한 점에는 이미 자기 자신의 주장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하는 관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생활을 위한 에고이즘이 나쁘다고 생각하는 생활 무능력자적 존재를 느낀 것이다.
그러한 감정이 분명해졌을 때에 「불안과 공포」의 고백이 나오는 것이다. 그리고 그는 세상 또는 비합리적인 세계 사이에서 도케라고 하는 매개체를 만들었다. 위와 같은 정서는 그 자신의 자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이 「불안과 공포」와의 감각을 더욱 분석하기로 한다.
그럼 다자이에게는 자아라고 하는 것은 도대체 어떠한 것인가? 자아라고 하는 것은 자신이라고 하는 구체적 의미에 대한 추상적인 의식을 지칭하기 때문에 자아의식은 마음속의 도케를 전제로 하고 있고 게다가 도케에 대립하는 것으로서 나타난다. 다자이의 자아에 대해 크리스E는 「예술 창작과정에 있어서의 자아를 도와주는 적응적 퇴행이라고 하는 개념을 제창하고, 자아기능을 일시적으로 퇴행시킨 후에 다시 현실에 회복시키는 심적 과정이 창작활동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는데, 다자이의 자아의 경우는 일시적 퇴행 후 현실에 돌아올 수 있는 자아의 유연성이 없었다」 「文:太宰治もう一つの顔を求めて」(東京、燈社、1982.5) p.80
라고 말하고 있다.
다자이는 자아의식, 도케를 통한 외침, 그리고 죄의 의식을 가지면서 비합리의 세계에 자신을 두고 세상과 대결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다른 사람의 인생을 이해할 수 없었던 「자아」의 연약함, 그리고 그의 내부에 존재하는 죄의식, 게다가 상처받은 슬픔을 알았을 때, 다자이가 살아온 인생이, 어떠한 계보를 짚어 왔는가를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동시에,
다자이는 의지 없고, 계획성 없고, 극기심(克己心)없고,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능력이 결여되고, 살아가는데 필요하지 않는 능력만 우수하였던 인간이었다.
太宰は、意志なく、計性なく、克己心なく,人が生きるのに必要な能力を欠き,生きるのに必要ではない能力ばかり秀でた人間であった。 饗庭孝男、「文人間失格」(東京、燈社、1967.11) p.39
라고 평가된 인간 다자이 오사무와 그의 문학이 무엇이었는지 상상하기 어려운 것만은 아니다. 그리고 인간의 진실된 삶이란 무엇인가라는 문제를 생각할 수밖에 없었던 다자이의 순수한 윤리를 우리들은 다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결론
『인간실격』은 특수한 생애를 체험한 다자이의 정신적 자서전임과 동시에 보편적인 인간 그 자체의 정신역사이기도 하고 또 보는 견해에 따라서는 다자이 오사무의 생애의 자기고백이고도 말할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인간실격』은 어떠한 시대의 인간에게도 공통하는 인간상을 제시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 한편 인간 존재를 압박하는 사회질서의 잔혹함이 대조적으로 나타나는 현대를 「도케」라고 하는 수단을 통하여 표현한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인간실격』에서는 「도케」를 통하여 주인공을 인간의 사회생활에 대한 이방인으로 설정함에 따라 이 사회의 일체의 기성가치개념-일상적 습관, 도덕, 제도, 법률 등-을 원상태로 환원시키고, 또 그것을 자기의 주체에 있어 비판하고 가면을 벗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그 주인공이 자기에게 충실하고 게다가 사회나 현대에 충실했기 때문에 또 인간에 대한 진실에의 구애를 어디까지나 버리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고군분투한 인생 그리고 그로 인해 인간사회로부터 매장당하고 패배하여 가는 과정을 본고에서는 「도케」의 방면에서 고찰하여 왔다.
본고는 인간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취하면서 그 부정적 태도를 넘어 「도케」를 통하여 진실한 신뢰의 세계, 인간희구, 사랑에 대한 희구의 자세를 보았다. 진실된 인간을 향한 희구를 알 수 있었다.
진실된 인간으로서 살고 있지 않다고도 보여 지는 우리들의 현실에 있어서 「도케」의 의식은 인간 내면진실의 아름다움, 정직함을 즉 내면적 진실을 제시하고 있다. 생각해 보면 다자이 오사무의 일생은 한 명의 연약하고 고독한 인간이 자기의 숙명과 윤리 그리고 진실이고 하였던 생애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자신의 연약함이나 타인과는 다른 것은 아닐까하는 두려움을 거짓 없이 계속 지니며, 오히려 그것을 심화시킨 것이다. 그는 그 때문에 그의 인생에 있어서는 좌절하고 추락했다. 그러나 그는 그러한 결여감(欠如感)을 더욱 심화시킴에 의해 자기 자신의 고뇌를 일반적인 인간의 본질문제로서 표현하는 것이 가능했다.
그러한 점에서 극한상황에 처한 인간의 진실된 모습이 그려진 모습이 보였다. 다자이 오사무가 생애를 걸어서 목표로 한 것은 약한 인간에 대한 진실된 구원을 찾는 것이었다. 약한 인간도 살 수 있는 이상의 사회를 실현하는 것에 있었다. 그리고 그 진실을 막는 사회에, 도덕에, 질서에, 그는 전존재를 걸어서 반역을 꾀하고 그 반역에 의해 약하고 그러나 아름다운 진실된 인간을 용기를 북돋아 하였다.
다자이가 품은 문제는 인간에 의해 최대의 그리고 영원의 과제와도 같다.
키워드
추천자료
논문-라인홀드 니이버의 인간관(기독교관련)
[교육학]공자의 교육사상과 교육방법
악의 관점에서 본 인간에 대한 이해
동양전통 무도수련의 변화와 현대적 의미에 관한 소고
[생명공학] 생명윤리와 인간복제에 대한 고찰
[서양사]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 나타나는 정치사상
데카르트 홉스의 근대적 인간관
소유냐 존재냐를 통해 본 에리히 프롬의 사상 -그 현실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진화론의 관점에서 조명해본 니체의 인간관에 대한 고찰 (도덕의 계보학에 나타난 개념을 중...
「낙동강」,「인간문제」를 통해서 본 카프문학 - 두 작품의 비교를 통해 카프의 변화를 따라...
서양 중세 사회의 교육 사상
17C 실학주의와 코메니우스 교육사상의 현대적 적용 (실학주의 등장배경·특징·유형, 감각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