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카프
(1) 카프 소개
(2) 카프의 흐름
(3) 소설을 중심으로 본 카프 문학의 성향
2. 「낙동강」
(1)「낙동강」의 작가 - 포석 조명희
(2)「낙동강」의 줄거리
(3)「낙동강」의 문학사적 위치와 「낙동강」에 나타난 KAPF 문학의 특징
(4)「낙동강」의 내용분석
3. 「인간문제」
(1)「인간문제」의 작가 - 강경애
(2)「인간문제」의 줄거리
(3)「인간문제」의 문학사적 위치와 「인간문제」에 나타난 KAPF 문학의 특징
(4)「인간문제」의 내용분석
4. 낙동강과 인간문제의 비교 분석 ; 프로문학의 초기 단계에서 절정으로
결론
참고자료 목록
본론
1. 카프
(1) 카프 소개
(2) 카프의 흐름
(3) 소설을 중심으로 본 카프 문학의 성향
2. 「낙동강」
(1)「낙동강」의 작가 - 포석 조명희
(2)「낙동강」의 줄거리
(3)「낙동강」의 문학사적 위치와 「낙동강」에 나타난 KAPF 문학의 특징
(4)「낙동강」의 내용분석
3. 「인간문제」
(1)「인간문제」의 작가 - 강경애
(2)「인간문제」의 줄거리
(3)「인간문제」의 문학사적 위치와 「인간문제」에 나타난 KAPF 문학의 특징
(4)「인간문제」의 내용분석
4. 낙동강과 인간문제의 비교 분석 ; 프로문학의 초기 단계에서 절정으로
결론
참고자료 목록
본문내용
과 좌절의 과정을 동시에 그려 나가고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강경애의 ‘인간문제’는 항일 투쟁을 직접 다룰 수 없는 상황에서 농민 운동과 노동 쟁의의 문제를 정면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작품의 전반부는 농민의 참상을, 후반부는 일제를 상대로 한 노동자의 투쟁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농촌의 인물을 공장으로 옮겨 옴으로써 작위성과 괴리감을 느끼게 하는 것은 작품의 한계로 지적되기도 한다.
그리고, 첫 부분에 나오는 '원소'라는 못에 얽힌 전설의 암시성에 유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옛날 이 마을에 인색한 부자 첨지가 살았는데 흉년으로 마을 사람들이 죽게 된 지경에도 모르는 체하여 사람들은 그 집을 습격하여 허기를 면했다고 한다. 며칠 후 관가에 잡혀간 이들이 모진 형벌 끝에 죽자, 가족들이 첨지의 마당에 모여 쉼 없이 울어 마침내 고래등 같은 기와집이 큰 못으로 변했다.'는 이야기다. 여기에 작품의 창작 의도가 집약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른 한 편, '선비'를 주인공으로 하는 '여자의 일생'형 소설로 보는 관점도 있다. 여자의 비극적 일생이 개인적 결함에 기인하는지, 아니면 시대 사회적 조건에서 비롯되는지를 검토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다. 사회 고발적 요소가 강한, 목적문학적 성격을 분명히 지니고 있는 작품으로서, 공장 노동의 생생한 현장 묘사는 한국소설의 약점이었던 소재의 빈약성을 극복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는다.
각 시기의 모범적인 작품인 이 두 작품의 비교를 통해 카프 문학 작품의 변화 양상을 직접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두 작품의 사이에는 인물의 변화가 특히 두드러졌고, 사건을 제시하는 방식과 그 구체성, 주제, 표현 등 많은 것들이 발전되었다. 그리고 강경애의 「인간문제」는 더 넓은 독자층을 확보할 수 있을 만큼의 재미도 더해졌다.
카프란 조직이 우리 역사에서 가지는 의미와 가치는 실로 대단하기 때문에 초보자적인 입장에서 다루기가 쉽지 않은 부분이 많았고, 많은 배경지식을 필요로 하여, 우리의 이해가 부족한 부분도 상당함을 고백한다.
그리고 이번 작업을 통해 카프문학의 가치에 대해서 다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우리는 중학교고등학교 수업 시간에 카프문학은 계급투쟁의 도구로 전락하여, 사상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지 못해 문학적 가치가 낮다는 평가를 배워왔다. 하지만 이번 작업을 통해 모든 카프의 문학작품들이 사상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는데 실패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우리가 본 카프의 문학작품은 식민지 조국의 농촌 현실과, 노동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었고, 더 나아가 현실의 모순은 어디에 근원하는지를 분명히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것은 실패한 문학이 아닌, 소중한 역사의 소산으로 평가받아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참고 목록
http://cafe.naver.com/bulgong.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600
http://blog.naver.com/kwank99?Redirect=Log&logNo=30024539971
http://100.naver.com/100.nhn?docid=101335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38886,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16572,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80077,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65062,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63145 (네이버 백과사전)
역사문제연구소, 『카프문학 운동연구』, 역사비평사, 1989
권영민, 『한국계급문학 운동사』, 문예출판사, 1998
김영민, 『한국 근대문학비평사』, 소망출판, 1999
김윤식, 『김윤식의 현대문학사 탐구』, 문학사상사, 1997
김윤식, 『발견으로서의 한국현대문학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윤병호, 『한국 근현대문학사』, 명문당, 1971
임규찬한기형, 『제 1차 방향전환론과 대중화론』, 태학사, 1989
임영천, 『카프문학과 비평의 논리』, 도서출판 다운샘, 2006
김선학, 『한국현대문학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서종택,『식민시대의 문학연구』, 깊은샘, 1980
김재용,『카프비평의 이해』, 풀빛, 1989
『카프 제 1차 방향 전환론의 몇가지 유형』, 《한국언어문학》 제 42집, 1999
정덕배,『1930년대 카프의 창작 방법론 연구』, 배재대학교
조명희, 『낙동강』, 범우사, 2004.
강경애, 『인간 문제』, 문학과지성사, 2006,
조명희,「낙동강」p.67. - 한국 현대 단편소설 2, 예문당, 2005.
김경훈, 「카프와 좌련에 대한 비교연구 」, 한국어문교육, 1999, p.3.
「조명희 단편 「낙동강」의 프로문학적 성격」p199
「「낙동강」과 <짓밝힌 고려>의 한 고찰」p27
조명희의 낙동강시론 p455
강경애, 「신 연재소설 예고 - 작가의 말」, 동아일보, 1934년 7월 31일.
조낙현, 「강경애의 ‘인간 문제’ 고찰」, 관대논문집 제24집, 관동대학교, 1996,
손영옥, 「강경애의 ‘인간 문제’와 여성 노동자의 삶」, 인문논총 제14집, 경남대학교, 2001, p.9.
최원식, 「작품 해설 - ‘인간 문제’,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성과와 한계」, 문학과지성, 2006, p.410.
김현경, 「‘인간 문제’에 나타난 현실 반영과 여성의 자기 발견」,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2004,
김성이, 「강경애의 ‘인간 문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2004, pp.79~80.
강경애의 「인간문제」원작과 개작의 비교 연구, 송영순 저, pp. 234~252
역사비평 1993년 가을호(통권 24호), 1993. 8
(사회학자가 본 우리소설 식민지하 여성문제와 강경애의 『인간문제』, 강이수, pp. 335~348)
동아일보 2005. 06.01.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51>인간문제’,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조남현
강경애의 ‘인간문제’는 항일 투쟁을 직접 다룰 수 없는 상황에서 농민 운동과 노동 쟁의의 문제를 정면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작품의 전반부는 농민의 참상을, 후반부는 일제를 상대로 한 노동자의 투쟁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농촌의 인물을 공장으로 옮겨 옴으로써 작위성과 괴리감을 느끼게 하는 것은 작품의 한계로 지적되기도 한다.
그리고, 첫 부분에 나오는 '원소'라는 못에 얽힌 전설의 암시성에 유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옛날 이 마을에 인색한 부자 첨지가 살았는데 흉년으로 마을 사람들이 죽게 된 지경에도 모르는 체하여 사람들은 그 집을 습격하여 허기를 면했다고 한다. 며칠 후 관가에 잡혀간 이들이 모진 형벌 끝에 죽자, 가족들이 첨지의 마당에 모여 쉼 없이 울어 마침내 고래등 같은 기와집이 큰 못으로 변했다.'는 이야기다. 여기에 작품의 창작 의도가 집약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른 한 편, '선비'를 주인공으로 하는 '여자의 일생'형 소설로 보는 관점도 있다. 여자의 비극적 일생이 개인적 결함에 기인하는지, 아니면 시대 사회적 조건에서 비롯되는지를 검토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다. 사회 고발적 요소가 강한, 목적문학적 성격을 분명히 지니고 있는 작품으로서, 공장 노동의 생생한 현장 묘사는 한국소설의 약점이었던 소재의 빈약성을 극복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는다.
각 시기의 모범적인 작품인 이 두 작품의 비교를 통해 카프 문학 작품의 변화 양상을 직접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두 작품의 사이에는 인물의 변화가 특히 두드러졌고, 사건을 제시하는 방식과 그 구체성, 주제, 표현 등 많은 것들이 발전되었다. 그리고 강경애의 「인간문제」는 더 넓은 독자층을 확보할 수 있을 만큼의 재미도 더해졌다.
카프란 조직이 우리 역사에서 가지는 의미와 가치는 실로 대단하기 때문에 초보자적인 입장에서 다루기가 쉽지 않은 부분이 많았고, 많은 배경지식을 필요로 하여, 우리의 이해가 부족한 부분도 상당함을 고백한다.
그리고 이번 작업을 통해 카프문학의 가치에 대해서 다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우리는 중학교고등학교 수업 시간에 카프문학은 계급투쟁의 도구로 전락하여, 사상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지 못해 문학적 가치가 낮다는 평가를 배워왔다. 하지만 이번 작업을 통해 모든 카프의 문학작품들이 사상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는데 실패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우리가 본 카프의 문학작품은 식민지 조국의 농촌 현실과, 노동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었고, 더 나아가 현실의 모순은 어디에 근원하는지를 분명히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것은 실패한 문학이 아닌, 소중한 역사의 소산으로 평가받아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참고 목록
http://cafe.naver.com/bulgong.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600
http://blog.naver.com/kwank99?Redirect=Log&logNo=30024539971
http://100.naver.com/100.nhn?docid=101335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38886,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16572,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80077,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65062,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63145 (네이버 백과사전)
역사문제연구소, 『카프문학 운동연구』, 역사비평사, 1989
권영민, 『한국계급문학 운동사』, 문예출판사, 1998
김영민, 『한국 근대문학비평사』, 소망출판, 1999
김윤식, 『김윤식의 현대문학사 탐구』, 문학사상사, 1997
김윤식, 『발견으로서의 한국현대문학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윤병호, 『한국 근현대문학사』, 명문당, 1971
임규찬한기형, 『제 1차 방향전환론과 대중화론』, 태학사, 1989
임영천, 『카프문학과 비평의 논리』, 도서출판 다운샘, 2006
김선학, 『한국현대문학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1
서종택,『식민시대의 문학연구』, 깊은샘, 1980
김재용,『카프비평의 이해』, 풀빛, 1989
『카프 제 1차 방향 전환론의 몇가지 유형』, 《한국언어문학》 제 42집, 1999
정덕배,『1930년대 카프의 창작 방법론 연구』, 배재대학교
조명희, 『낙동강』, 범우사, 2004.
강경애, 『인간 문제』, 문학과지성사, 2006,
조명희,「낙동강」p.67. - 한국 현대 단편소설 2, 예문당, 2005.
김경훈, 「카프와 좌련에 대한 비교연구 」, 한국어문교육, 1999, p.3.
「조명희 단편 「낙동강」의 프로문학적 성격」p199
「「낙동강」과 <짓밝힌 고려>의 한 고찰」p27
조명희의 낙동강시론 p455
강경애, 「신 연재소설 예고 - 작가의 말」, 동아일보, 1934년 7월 31일.
조낙현, 「강경애의 ‘인간 문제’ 고찰」, 관대논문집 제24집, 관동대학교, 1996,
손영옥, 「강경애의 ‘인간 문제’와 여성 노동자의 삶」, 인문논총 제14집, 경남대학교, 2001, p.9.
최원식, 「작품 해설 - ‘인간 문제’,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성과와 한계」, 문학과지성, 2006, p.410.
김현경, 「‘인간 문제’에 나타난 현실 반영과 여성의 자기 발견」,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2004,
김성이, 「강경애의 ‘인간 문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2004, pp.79~80.
강경애의 「인간문제」원작과 개작의 비교 연구, 송영순 저, pp. 234~252
역사비평 1993년 가을호(통권 24호), 1993. 8
(사회학자가 본 우리소설 식민지하 여성문제와 강경애의 『인간문제』, 강이수, pp. 335~348)
동아일보 2005. 06.01. ‘서울대 권장도서 100권<51>인간문제’,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조남현
추천자료
카프문학사 요약
(문학 개론) 조명희의 '낙동강
강경애의 인간문제 - 사회·문화주의적 비평
북한문학의 실상과 역사적인 검토
[신경향파][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KAPF][카프]신경향파,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KAPF...
문학교육의 목표설정 및 사회문화적 미디어적 능력
[딜타이][딜타이사상][해석학][역사학][자연과학][인문과학][순수 기하학적 방법론]딜타이의 ...
조명희 <낙동강> 연구
조명희 <낙동강> 연구
[인문과학] 박두진
이상과 김영랑에 대한 고찰 -생애 또는 시대상황을 통해 분석해 본 그들의 문학-
1930년대 후반의 카프(KAPF) 문학 (이기영의「서화」「고향」, 채만식의「탁류」「태평천하」...
[유아발달B] 정신분석이론과 학습이론에 대해 각각 설명하고 두 이론을 비교하여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