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출애굽기
2. 레위기
3. 민수기
3. 신명기

본문내용

습니다. 그러므로 모세는 그들의 헌신에 대해서 하나님께서 축복하실 것이라고 선언했습니다. 그리고 모세는 임종 직전에 레위 지파가 제사장 직분을 맡게 될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신 33:8-11). 제사장 직분은 두 가지였는데, 하나느 백성들에게 율법을 가르치는 일이었으며, 둘째는 백성들을 대신해서 희생 제사를 드리는 일이었습니다. 모세는 하나님께서 이러한 직분을 레위 지파에게 주셨다고 선언했습니다(신 33:10).
3) 레위 지파는 야곱의 저주로 인해 온 지파에 흩어져 살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모세 때에 그들의 거룩한 헌신을 통해서 그들은 거룩한 제사장의 직분을 맡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레위 지파들은 각 성에 흩어져 살되, 그 곳에서 백성들에게 율법을 가르치며, 성전에서 대신 제사를 드리는 일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런 점에서 레위 지파는 저주를 축복으로 바꾼 지파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신명기
1. 신명기의 명칭
이 책의 히브리어 명칭은 '엘레 하 데바림'(이는 … 말씀이니라)이다. 이 명칭은 히브리어 성경 1:1의 첫 두 단어를 따라 붙인 것인데, 이것은 성경 맨 처음에 나오는 단어를 책의 명칭으로 삼는 유대인들의 관례에서 기인된 것이다. 히브리어 성경의 헬라어 역본인 칠십인역은 신명기 17:18에 따라 '듀테로노미온'(제2의 율법)이라 불렀는데 이는 잘못된 번역으로 인해 붙여진 이름이다. 한글 성경은 '신명기'(神命記)라 부르는데 '하나님의 계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해 주는 책'이란 뜻이다.
2. 신명기의 저자
신명기 자체가 모세의 저작성을 증거하며, 그 외 구약 성경의 다른 책들도 이에 동의한다. 예수님도 모세의 저작임을 증거하시며, 신약 성경의 다른 저자들도 모세가 저자임을 증거한다. 반면 저자가 모세가 아니라는 주장도 있는데 시간 관계상 생략하겠다.
3. 신명기의 기록목적
가나안 정복을 눈앞에 두고 있는 이스라엘의 새로운 세대들에게 하나님께 순종하고, 율법에 순종하도록 권면하여, 참된 하나님의 언약 백성이 될 수 있도록 가르치고 경계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모세의 사역을 통해서 그리스도를 나타내는 것도 신명기의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4. 신명기의 구조 및 내용
신명기는 위대한 지도자 모세가 죽음을 앞두고 약속의 땅의 문턱에 서있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행한 세 편의 고별 설교를 기록한 것이다. 서론(1:1-5)에 이어 과거를 회상하는 첫 번째 설교(1:6-4:49), 현재를 고찰하는 두 번째 설교(5:1-26:29), 미래를 계시하는 세 번째 설교(27:1-30:20)와 이 위대한 지도자의 은퇴와 죽음에 대한 기록으로(31:1-34:12) 구분할 수 있다.
구분
모세의 첫 번째 설교(1-4장)
모세의 두 번째 설교(5-26장)
모세의 세 번째 설교(27-30장)
결론(31-34장)
내용
과거 회상과 반성
현재를 위한 교훈-십계명, 종교법, 정치법, 사회법, 민법
미래의 선택:순종-축복, 불순종-저주
모세의고별사
주제
역사적 회고와 교훈
율법에 대한 설명
미래를 바라보며-약속과 결단
6.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를 정리해보면,
1) 언약의 하나님
우리는 출애굽기를 통하여 인간의 역사에 간섭하셔서, 자기 백성을 속박에서 구원하시는 하나님을 발견할 수 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을 구원하시고 시내 산에서 이들과 언약을 맺으시고 이들과 특별한 관계에 들어가시는데, 결국 이러한 관계를 통해 하나님께서는 세상에 대한 그의 목적을 이루어 가신다.
2) 역사를 주관하시는 하나님
하나님께서 실제로 이스라엘의 역사 가운데 임하셨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나님께서 어떻게 이스라엘을 애굽에서 이끌어 내셨으며, 그들에게 시내 산에서 율법을 주시고, 그들의 불신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광야에서 인내로 인도하시고, 그들을 요단 기슭까지 이끌어 오셨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니님께서는 자신과 자신의 택한 백성과의 약속을 위하여 역사의 모든 일을 계획하신다.
3) 율법과 순종
하나님을 사랑한다는 것은 그의 계명들을 지기는 것이다. 모세는 율법을 통해서 하나님과의 관계를 밝히고, 율법을 지키는 것이 자녀 된 이스라엘의 도리라고 말하고 있다. 모세는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에 들어갔을 때 이 사실을 기억하고 하나님의 계명을 지킬 것을 권면하였다.
4)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는 모두 일관된 신학적 통일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책들은 모두가 아브라함에게 주어진 약속의 성취 및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으로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11.14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69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