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역사 4장 요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된 종교가 농경생활의 필수불가결한 요소라고 추론하고 풍산( 産)의 신들을 달래는 일을 계속하고 있었다.
b.카리스마의 통치
성경에서 사사들이 소개되고 있는 순서는 대체로 연대순인 듯하지만, 사사들의 정확한 생존 연대를 추정할 수는 없다. 사사는 이스라엘에 위기가 닥쳤을 때 여호와의 영이 자신에게 임하였다는 것을 동포들에게 증거한 그들의 개인적 자질(카리스마) 덕분으로 지파들을 결집하게 하여 앞장서서 대적과 싸운 인물이었다. 최초의 사사 옷니엘(삿3:7-11)은 아람 나하라임(Aram-naharaim)의 구산 리사다임(Cushan-rishathaim)이란 자의 침입을 물리쳤다. 이 침입이 어떤 사람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이름조차도 이중으로 사악한 구산이라는 뜻으로 임의로 만들어진 것이다. 모압에 대한 에훗의 승리(삿3:12-30)도 주전 12세기에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아르논 강 북쪽의 모압 족속의 땅은 이스라엘이 도래하기 전에는 아모리 족의 시혼(Sihon)에 의해 장악되어 있었는데(민 21:27-30), 이스라엘이 그에게서 이 지역을 빼앗은 것이다. 삼갈(삿3:31)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알 수 없다. 그는 사사로 불리지도 않았으며 분명히 역사상 실존인물이긴 했어도 이스라엘 사람도 아니었을 것이다. 아마 그는 갈릴리의 벧 아낫(Beth-anath)이란 도시의 왕이자 어떤 동맹체의 우두머리로서 블레셋인들을 격퇴함으로써 자신을 구했고 아울러 이스라엘도 구했다. 드보라와 바락의 승리(삿4-5장)는 비록 연대 추정이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고고학적 증거로 볼 때 주전 1125년경 또는 그보다 약간 이전으로 추정되어진다. 대 집결 명령이 전달되었고 베냐민 지파로부터 갈릴리에 이르기까지 여러 지파가 호응하였다(삿5:14-18).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지파는 눈에 띄게 열의가 없었다. 억수같이 내리는 폭풍우가 가나안족의 병거들을 강타함으로써 이스라엘 보병들이 에스드렐론의 점령자들을 도륙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스라엘이 승리를 거두었다. 기드온의 활약 시기도 주전 12세기로 추정할 수 있다. 낙타를 사용하는 유목민들의 이스라엘에 대한 습격은 매년 추수할 무렵에 있었기 때문에 상황은 절망이었다. 므낫세 지파의 기드온은 여호와에 대한 열심히 가득찬 사람(삿6:25-32)으로서 이때 떨쳐 일어났다. 그는 자기 지파 및 인근 지파들을 불러 모아서(삿 6:34f, 7:23) 미디안족을 습격하여 엉망진창으로 만들어 그 땅에서 몰아내었다. 입다(삿 11-12장)와 삼손(13-16장)은 사사시대 말기에 활약하였다. 입다는 길르앗 출신의 약탈자, 즉 아피루('Apiru)로서 암몬족을 격퇴할 때 카리스마적 자질을 보여주었다(삿11:29). 입다의 이야기는 사람을 희생 제물로 바치는 것이 여호와 신앙과 양립할 수 없음에도 이스라엘에서 그러한 관습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으며, 지파간의 질시가 얼마나 쉽게 내란으로 옮겨 붙을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 삼손과 관련해서는 그에 관한 이야기들이 전면전이 일어나기전의 블레셋인들의 접경지대 상황을 신빙성 있게 반영하고 있다.
c.지파체제의 속성
이스라엘의 지파동맹이 그토록 오래 존속할 수 있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이 동맹이 치른 전쟁들은 모두 방어를 위한 것이었고 드보라의 승리를 제외하고는 전쟁을 통해 새로이 영토를 얻은 것도 아니었다. 실제로 이스라엘의 영토는 사사시대 초기보다 말기에는 더 줄어들었다. 지파 조직은 지파들의 원심력을 제지할 수도 없었다. 지파 조직은 여호와 신앙의 순수성을 지키도록 강요할 수도 없었고, 이스라엘로 하여금 일치된 행동을 하도록 설득하지도 못했으며, 내란으로 치닫지 못하도록 지파들 사이의 경쟁을 막을 수도 없었다(삿12:1-6). 게다가 어떤 지파에 속한 사람들이 다른 지파 사람들에게 범죄한 경우에(삿 19-20장), 문제된 지파가 죄를 범한 무리들을 넘겨주지 않으려고 하면 다른 지파들을 소집하여 범죄한 지파를 응징하는 것 외는 아무런 시정 방법이 없었다. 그렇지만 지파동맹은 200여년이나 존속하였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이스라엘이 직면했던 긴급 사태들이 대부분 국지적 성격을 띤 것이어서 몇몇 지파들의 비공식적인 집결만으로도 그러한 사태에 대처 할 수 있었다. 지파 조직은 몇몇 분명하게 정의된 범위 안에서만 지파들의 행동을 규제하고 나머지 분야에서는 자유롭게 행동하도록 내버려 둠으로써 지파 조직을 만들어 내었던 여호와와 언약의 정신을 완벽하게 구현한다. 지파 조직은 초기 이스라엘을 잘 나타낸 조직이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10.23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32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