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파나마
1) 파나마 소개
2) 파나마 지형과 기후
3) 파나마 역사
4) 파나마 정치
5) 파나마 경제
6) 파나마 문화
2. 파나마 운하
1) 파나마 운하 역사
2) 파나마 운하의 중요성
3) 운하 작동 원리
4) 수에즈 운하와 비교
5) 대한민국 경부운하의 현실성
3. 파나마 관광
1. 파나마
1) 파나마 소개
2) 파나마 지형과 기후
3) 파나마 역사
4) 파나마 정치
5) 파나마 경제
6) 파나마 문화
2. 파나마 운하
1) 파나마 운하 역사
2) 파나마 운하의 중요성
3) 운하 작동 원리
4) 수에즈 운하와 비교
5) 대한민국 경부운하의 현실성
3. 파나마 관광
1. 파나마
본문내용
0만TEU인데, 앞으로 이것이 크게 증가할 가능성은 별로 없다. 또한 KTX의 개통으로 경부철도의 화물운송능력이 크게 늘어 연간 210만 TEU를 수송할 수 있다. 또한 한국철도기술원의 2006년 연구에 따르면, 현존 경부철도의 개량을 통해 30% 이상 운송능력을 높일 수 있다.
㉧ 경부운하는 본전도 뽑을 수 없다 : 한반도 대운하추진팀의 주장에 따르면 운하 건설비용은 21조 6천만원에 달한다. 1년의 금융비용이 5%로만 계산해도 1조원이 넘는다. 운하추진팀의 주장대로 경부운하가 경부화물의 14%를 운송한다고 가정할 때, 경부운하의 예상운임수입은 연간 1065억원으로, 건설공사비의 금융비용에 한참 못미친다.
㉨ 미국 플로리다 운하 : 플로리다 운하는 플로리다 반도를 횡단하려는 목적에서 건설되었다. 1930년대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의 경기부양책으로 시작한 플로리다 운하는 중단되었다가, 1960년대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경제성장론에 따라 재개되었지만 1971년 28% 정도의 공정에서 공사가 중단되고, 1990년 완전 사망선고를 내려 현재는 그린웨이 프로젝트(Greenway Project) 명칭으로 운하를 다시 메우고 있다. 플로리다 운하는 미국 역사상 가장 어리석은 프로젝트의 2위에 랭크되어 있다.
자료: . 한반도대운하물길포럼
. onmynews
. 네이버 백과사전
. 네이버 블러그
. 논문
한반도대운하의 구상과 비판적 검토 : 경부운하를 중심으로, 우주호
3. 파나마 관광
1) 파나마시티
※ 구시가지 사진 ( 마요르 광장 )
파나마 운하의 남쪽 입구(태평양 연안)의 동쪽 연안에 위치한 상업·무역의 중심지이다. 미국의 조차지(租借地)인 커낼존(운하지대) 안에 자리 잡고 있으나 파나마 정부의 주권이 행사되며 위생검역은 미국이 맡아 왔다.
육상은 물론 항공교통의 요지인 파나마시티는 북동쪽 27km 지점에 있는 토쿠멘 국제공항을 통하여 남아메리카와 전 세계를 잇는 항공로의 결절점이기도 하다. 그러나 해항으로서의 기능은 서쪽 부근의 발보아가 맡고 있다.
시내에는 주류·청량음료·구두·가구·비누·시멘트·담배 등의 공장이 있다. 주민은 메스티소(인디오와 백인의 혼혈)가 대부분이지만 에스파냐인·중국인·흑인도 살고 있으며 시가지에는 에스파냐풍의 광장, 미국식의 현대건축, 동양적인 시장이 뒤섞여 있어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에스파냐에 정복된 직후인 1519년에 건설된 구시가는 페루에서 거두어들인 귀금속 ·보석류를 대서양 연안으로 운반하는 중계지로서 번창하였다. 1671년 영국 해적 헨리 모건의 습격으로 폐허가 된 후 73년 방위상 유리한 장소인 현재의 위치에 재건되었다. 신시가지의 북동쪽으로 떨어진 구시가의 폐허는 관광지가 되어 있다.
프란시아 광장
프란시아 광장
에스테반 우에르타스 공원
에스테반 우에르타스 공원
국립극장
콜로니얼 도시 - 해안가 호텔
2) 파나마 세계 유산(메트로폴리타나대성당)
1519년 스페인인들이 건설한 옛 파나마 유적이다. 유럽과 아메리카 문화가 융합된 건축물이 남아있다. 1997년 유네스코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으며, 2003년 범위가 확장되었다. (지정년도 1997, 2003(범위 확장))
3) 다리엔 국립공원
전체면적 5,970㎢의 자연공원이다. 콜롬비아와의 국경을 이루는 산악지대로부터 태평양 연안 일대에 걸쳐 있다. 1972년 이후 삼림보호구역으로 되었다가 1980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1981년 UNESCO 세계유산 목록 가운데 자연공원으로 등록되고, 1983년 UNESCO의 인간·생물권 보호프로그램에 의하여 국제적인 생물권 보호구역으로 고시되었다.
남북아메리카의 2대륙을 이어주는 교량적 위치에 있어 특히 다양한 생물종을 볼 수 있는 지역이다. 지리적 환경도 해발고도 1,800m의 산악으로부터 열대우림, 맹그로브가 무성한 저습지, 사구(砂丘), 바위가 많은 해변 등 변화가 심하다. 이 지역은 수목만 해도 300종 이상이 알려져 있지만, 과학자들은 이 열대우림 속에는 아직도 인간이 알지 못하는 동식물이 많이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공원 안의 열대우림지대는 콜롬비아의 로스카티오스국립공원(면적 720㎢)과 연이어 있다. 이곳의 생태계는 두 국립공원이 동질인 것으로 추정되지만, 지역이 광대해서 전체적인 파악은 되지 않고 있다.
열대우림의 나무 위에는 몸집이 작은 붉은다람쥐원숭이, 조프로이타마린, 망토짓는원숭이, 올빼미원숭이 등 수많은 원숭이류, 세발가락나무늘보, 뱀, 독개구리 등이 살고 있다. 선명한 빛깔의 앵무새, 새 가운데 몸집이 가장 작은 벌새, 크고 긴 부리를 가진 큰부리새, 당당한 부채수리 등 1,000종이 넘는 많은 새가 있다. 몸길이가 1m가 넘는 부채수리는 절멸위기에 놓여 있는 조류로 분류되어 있으며, 이 지역에 서식하던 고양이과의 최대 종인 파나마재규어는 이미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공원 지역의 연평균기온은 26℃이며, 연강수량은 대서양 연안에서 2,500∼3,500㎜, 중앙과 태평양 연안에서 1,800∼2,500㎜를 기록하고 있다. 국립공원 안에는 선주민인 초코족과 쿠나족 인디언이 각각 1,000명, 2,000명 가량 살고 있다. 이 인디언 부족들은 다리엔국립공원 전체면적의 10% 정도를 전통적인 방법으로 농사를 짓는 경작지로 이용한다.
올빼미원숭이
부채수리
세발가락나무늘보
4) 코이바섬(Coiba)
중앙 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섬으로, 12,000~18,000년 전에 파나마 대륙에서 떨어져 나왔다. 1918년에 유형 식민지(penal colony)가 이 섬에 건설되었다. 코코스제도와 갈라파고스제도가 포함된 수중 코딜레아(Cordilera) 산맥의 시발점이다. 아메리카 대륙의 태평양 연안에서 가장 큰 산호초 가운데 하나로 둘러싸여 있다.
코이바섬 짖는원숭이와 금강앵무를 비롯한 많은 토종 동식물이 서식하며 섬 인근 바다에는 해양생물들이 난류를 타고 대거 이동한다. 특히 혹등고래, 상어, 고래상어, 범고래 등이 난류를 타고 이동한다. 천혜의 자연 상태에 따라 잠수를 즐기기에 좋은 환경이다. 1992년에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2005년 7월에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 경부운하는 본전도 뽑을 수 없다 : 한반도 대운하추진팀의 주장에 따르면 운하 건설비용은 21조 6천만원에 달한다. 1년의 금융비용이 5%로만 계산해도 1조원이 넘는다. 운하추진팀의 주장대로 경부운하가 경부화물의 14%를 운송한다고 가정할 때, 경부운하의 예상운임수입은 연간 1065억원으로, 건설공사비의 금융비용에 한참 못미친다.
㉨ 미국 플로리다 운하 : 플로리다 운하는 플로리다 반도를 횡단하려는 목적에서 건설되었다. 1930년대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의 경기부양책으로 시작한 플로리다 운하는 중단되었다가, 1960년대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경제성장론에 따라 재개되었지만 1971년 28% 정도의 공정에서 공사가 중단되고, 1990년 완전 사망선고를 내려 현재는 그린웨이 프로젝트(Greenway Project) 명칭으로 운하를 다시 메우고 있다. 플로리다 운하는 미국 역사상 가장 어리석은 프로젝트의 2위에 랭크되어 있다.
자료: . 한반도대운하물길포럼
. onmynews
. 네이버 백과사전
. 네이버 블러그
. 논문
한반도대운하의 구상과 비판적 검토 : 경부운하를 중심으로, 우주호
3. 파나마 관광
1) 파나마시티
※ 구시가지 사진 ( 마요르 광장 )
파나마 운하의 남쪽 입구(태평양 연안)의 동쪽 연안에 위치한 상업·무역의 중심지이다. 미국의 조차지(租借地)인 커낼존(운하지대) 안에 자리 잡고 있으나 파나마 정부의 주권이 행사되며 위생검역은 미국이 맡아 왔다.
육상은 물론 항공교통의 요지인 파나마시티는 북동쪽 27km 지점에 있는 토쿠멘 국제공항을 통하여 남아메리카와 전 세계를 잇는 항공로의 결절점이기도 하다. 그러나 해항으로서의 기능은 서쪽 부근의 발보아가 맡고 있다.
시내에는 주류·청량음료·구두·가구·비누·시멘트·담배 등의 공장이 있다. 주민은 메스티소(인디오와 백인의 혼혈)가 대부분이지만 에스파냐인·중국인·흑인도 살고 있으며 시가지에는 에스파냐풍의 광장, 미국식의 현대건축, 동양적인 시장이 뒤섞여 있어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에스파냐에 정복된 직후인 1519년에 건설된 구시가는 페루에서 거두어들인 귀금속 ·보석류를 대서양 연안으로 운반하는 중계지로서 번창하였다. 1671년 영국 해적 헨리 모건의 습격으로 폐허가 된 후 73년 방위상 유리한 장소인 현재의 위치에 재건되었다. 신시가지의 북동쪽으로 떨어진 구시가의 폐허는 관광지가 되어 있다.
프란시아 광장
프란시아 광장
에스테반 우에르타스 공원
에스테반 우에르타스 공원
국립극장
콜로니얼 도시 - 해안가 호텔
2) 파나마 세계 유산(메트로폴리타나대성당)
1519년 스페인인들이 건설한 옛 파나마 유적이다. 유럽과 아메리카 문화가 융합된 건축물이 남아있다. 1997년 유네스코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으며, 2003년 범위가 확장되었다. (지정년도 1997, 2003(범위 확장))
3) 다리엔 국립공원
전체면적 5,970㎢의 자연공원이다. 콜롬비아와의 국경을 이루는 산악지대로부터 태평양 연안 일대에 걸쳐 있다. 1972년 이후 삼림보호구역으로 되었다가 1980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1981년 UNESCO 세계유산 목록 가운데 자연공원으로 등록되고, 1983년 UNESCO의 인간·생물권 보호프로그램에 의하여 국제적인 생물권 보호구역으로 고시되었다.
남북아메리카의 2대륙을 이어주는 교량적 위치에 있어 특히 다양한 생물종을 볼 수 있는 지역이다. 지리적 환경도 해발고도 1,800m의 산악으로부터 열대우림, 맹그로브가 무성한 저습지, 사구(砂丘), 바위가 많은 해변 등 변화가 심하다. 이 지역은 수목만 해도 300종 이상이 알려져 있지만, 과학자들은 이 열대우림 속에는 아직도 인간이 알지 못하는 동식물이 많이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공원 안의 열대우림지대는 콜롬비아의 로스카티오스국립공원(면적 720㎢)과 연이어 있다. 이곳의 생태계는 두 국립공원이 동질인 것으로 추정되지만, 지역이 광대해서 전체적인 파악은 되지 않고 있다.
열대우림의 나무 위에는 몸집이 작은 붉은다람쥐원숭이, 조프로이타마린, 망토짓는원숭이, 올빼미원숭이 등 수많은 원숭이류, 세발가락나무늘보, 뱀, 독개구리 등이 살고 있다. 선명한 빛깔의 앵무새, 새 가운데 몸집이 가장 작은 벌새, 크고 긴 부리를 가진 큰부리새, 당당한 부채수리 등 1,000종이 넘는 많은 새가 있다. 몸길이가 1m가 넘는 부채수리는 절멸위기에 놓여 있는 조류로 분류되어 있으며, 이 지역에 서식하던 고양이과의 최대 종인 파나마재규어는 이미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공원 지역의 연평균기온은 26℃이며, 연강수량은 대서양 연안에서 2,500∼3,500㎜, 중앙과 태평양 연안에서 1,800∼2,500㎜를 기록하고 있다. 국립공원 안에는 선주민인 초코족과 쿠나족 인디언이 각각 1,000명, 2,000명 가량 살고 있다. 이 인디언 부족들은 다리엔국립공원 전체면적의 10% 정도를 전통적인 방법으로 농사를 짓는 경작지로 이용한다.
올빼미원숭이
부채수리
세발가락나무늘보
4) 코이바섬(Coiba)
중앙 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섬으로, 12,000~18,000년 전에 파나마 대륙에서 떨어져 나왔다. 1918년에 유형 식민지(penal colony)가 이 섬에 건설되었다. 코코스제도와 갈라파고스제도가 포함된 수중 코딜레아(Cordilera) 산맥의 시발점이다. 아메리카 대륙의 태평양 연안에서 가장 큰 산호초 가운데 하나로 둘러싸여 있다.
코이바섬 짖는원숭이와 금강앵무를 비롯한 많은 토종 동식물이 서식하며 섬 인근 바다에는 해양생물들이 난류를 타고 대거 이동한다. 특히 혹등고래, 상어, 고래상어, 범고래 등이 난류를 타고 이동한다. 천혜의 자연 상태에 따라 잠수를 즐기기에 좋은 환경이다. 1992년에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2005년 7월에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