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축condensation-수평응축 관에서의 응축상태를 관측하고 표면의 상태(매끈한 것과 거친 것)에 따른 열 전달계수의 차이를 비교 및 검토 레포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응축condensation-수평응축 관에서의 응축상태를 관측하고 표면의 상태(매끈한 것과 거친 것)에 따른 열 전달계수의 차이를 비교 및 검토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의 목적
2. 실험 원리 및 이론
3. 실험 장치
4. 실험 준비 및 방법
5. DATA

본문내용

에 달린 전원을 연결한다.
5) 전면 응축 관에서 나오는 냉각수를 받는 그릇을 그 출구에 놓는다.
6) 나오는 유량이 170 mL/min이 되도록 유량계 밸브를 조절한다.
온도 측정
각 점에서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장치 위에 표시한 온도의 번호를 유의해야한다.
·T1은 수증기 입구온도 ·T2는 수증기 출구온도
·T3 혹은 T7은 냉각수 출구 온도 ·T4혹은 T8은 응축관 입구온도
·T5 혹은 T9는 냉각수 입구온도 ·T6혹은 T10은 응축관 출구온도
·T11은 응축관내의 온도 ·T12는 증기관의 표면온도
·T13은 보일러의 온도 ·T14는 냉각수 탱크내의 찬물 온도
거친 / 매끈한 응축 관으로 각각 실험
1) 보일러에서 과열증기가 발생하는 시점으로 하여 시간을 기록한다.
2) 과열증기와 냉각수를 적당한 유량으로 응축 관과 냉각 관으로 보낸다.
3) 응축액 과 냉각수의 출구에서 유량을 측정한다.
4) 실내온도를 포함해서 모든 온도 T1에서 T14까지 순차적으로 측정한다.
(거친 관은 T3 ~ T6은 제외, 매끈한 관은 T7 ~ T10은 제외)
5) 응축 관 표면에 생기는 응축(적상 혹은 막형)의 모양을 관찰한다.
6) 온도 및 유량(응축물 과 냉각수)은 10분 간격으로 1시간 정도 측정한다.
7)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8) 모든 전원을 끄고 모든 부분의 응축물과 냉각수를 배출한다.
5. DATA
측정시간
(min)
유량
전류(A)
전압(V)
탱크내 찬물(,)
증기
(ml/min)
냉각수
(cc/min)
0
0
170
2.5
220
21
10
8.9
170
2.4
220
21
20
9.3
170
2.5
220
21
30
9
170
2.5
220
21
40
9.8
170
2.5
220
22
1). 거친관
온도 ()
시간 (min)
수증기입구()
수증기출구()
냉각수입구()
냉각수 출구()
응축관입구()
응축관 출구()
증기관내부()
증기관 외부()
0
100
21
56
21
66
26
35
21
10
101
44
69
23
73
22
73
21
20
100
47
72
27
75
25
73
21
30
101
46
72
28
75
27
75
22
40
101
48
73
30
75
28
76
22
2)매끈관
측정시간(min)
유량
전류(A)
전압(V)
탱크내찬물(,)
증기
(ml/min)
냉각수
(cc/min)
0
0
170
2.5
220
22
10
8
170
2.5
220
22
20
7.5
170
2.5
220
22
30
8
170
2.5
220
22
40
8
170
2.5
220
22
온도
()
시간 (min)
수증기입구()
수증기출구()
냉각수입구()
냉각수 출구()
응축관입구()
응축관 출구()
증기관내부()
증기관 외부()
0
101
37
21
40
71
70
72
19
10
101
42
22
39
72
69
72
20
20
101
54
22
42
72
71
74
20
30
101
54
22
40
72
70
73
20
40
101
55
22
40
73
71
74
20
  • 가격6,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11.17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71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