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관리 용어정리(인적자원관리용어정리, 인사관리용어해설, 인사관리용어풀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사관리 용어정리(인적자원관리용어정리, 인사관리용어해설, 인사관리용어풀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관한 사항이 포함된다.
-TFT
TFT란 TASK FORCE TEAM의 약어로 회사에서 중요한 일, 새로운 일(프로젝트)을 추진할 때 각 부서 및 해당 부서에서 선발된 TASK에 관련된 인재들이 임시 팀을 만들어 활동하는 것을 말한다. 대기업은 TFT에 발탁되면 본인의 새로운 사무실에서 새로운 사람들과 그 일만 집중하다가 나중에 다시 본연의 임무로 돌아가던가 TFT을 정식 팀으로 승격시켜 전보 발령을 내는 경우도 있는데 중소기업은 일반 업무에 TFT업무가 부가되는 것이 보통이다. 즉 task 목적을 가지고 그 목적을 추진하기 위해 임시로 모인 집단을 이야기할 때 쓰인다. 그 임무가 완수되면 곧바로 해체되는 집단으로 회사 등에서 많이 쓰이는 용어이다.
※ Chapter4
-조직공정성
조직구성원들이 조직으로부터 받는 대우의 공정한 정도를 말한다. 조직공정성은 조직구성원이 조직으로부터 받는 성과나 결과의 공정성을 따지는 분배적 공정성(distributive justice)과, 조직구성원이 받는 성과를 결정하는 절차에 대한 공정성을 말하는 절차적 공정성(procedural justice)으로 나눌 수 있다. 조직의 공정성에 관한 연구는 애덤스(J. S. Adams)의 형평성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다. 애덤스는 페스팅거(L. Festinger)의 인지부조화이론(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을 사회교환이론의 틀을 사용해 분배 공정성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스톡옵션
기업이 임직원에게 일정수량의 자기회사의 주식을 일정한 가격으로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
-분배공정성
분배공정성은 종업원이 투입한 노력에 대해 제공되는 보상의 정도에 관한 일차적인 공정성으로서 ‘종업원이 기업으로부터 받는 보상의 크기에 대해 공정성을 인식하는 정도’ 를 의미한다.
-절차공정성
분배공정성이 기업으로부터 받게 되는 보상의 정도와 관계가 있는 반면에, 절차공정성은 과정 및 수단과 관련되어 있다. 즉 절차공정성은 종업원이 기업의 보상과정에서 사용된 절차가 얼마나 공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인지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의사결정의 결과보다는 그 과정이 얼마나 공정하고 정당한가에 초점을 둔다.
-상호작용공정성
공식적 절차를 설정하거나 절차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종업원이 받는 처우상의 공정성이다
-직무설계
개인과 조직을 연결시켜 주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인 직무의 내용과 방법 및 관계를 구체화하여 종업원의 욕구와 조직의 목표를 통합시키는 것을 말한다.
-작업단순화
직무를 몇 개의 단순한 단위로 세분화 하는 것을 말한다. 작업단순화의 원칙은 하나의 직무를 몇 개의 기본동작으로 분해한 다음 직무내용을 가급적 단순하고 전문적인 것으로 설계하는 것이다.
-직무순환
직무순환은 일종의 작업단순화에 근거하여 설계된 직무와 작업자를 결합시키는 방식을 말한다. 직무가 아무리 훌륭하게 설계되었다 하더라도 그것을 담당하는 사람을 잘못 선정하게 되면 배치목적과는 다른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직무확대
직무확대란 직무내용을 확대하여 단순하고 반복적인 직무에 변화를 가져오게 하거나, 세분화된 몇 개의 작업을 통합하여 하나의 작업이 되도록 재편성 하는 것을 말한다.
-직무충실화
종업원에게 자기가 담당하는 직무에 관하여 직접적으로 계획,조직,통제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해 주는 것을 말한다.
-근무시간설계
노동자에게 근무시간 설계는 노동자에게 인간다운 삶, 근로생활의 질을 기업에게는 생산성 향상 가져다 주는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근로시간 설계는 최근 기업혁신 전략, 노동시장 및 욕구다양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등에 따라 가장 중요하게 대두된 과제로 근로시간 단축과 유연적 근로시간 발전 등을 그 사례로 들 수 있다.
-고정근무시간제
근무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이 모든 종업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제도를 말한다.
-탄력적 근무시간제
플렉스 타임(flex time)제’ 혹은 '플렉시블 타임(flexible time)제'라고도 한다.
출퇴근 시간을 정하지 않고 어느 정도의 자유를 부여해 융통성 있게 운영하는 노동시간관리제도를 말한다. 이 제도는 누구나 의무적으로 근무해야 하는 코어 타임(core time: 공동근무시간)을 두고 그 나머지 시간 사이에서 근로자가 출퇴근 시간대를 조정함으로써 법정근로시간을 맞추는 것이다. 코어 타임은 부서 간 혹은 타기업과의 협조를 위해 꼭 필요하다.
-교대근무제
교대근무제는 종업원을 여러 조로 나누어 교대로 근무하는 방식을 말한다.
-파트타임제
정규근무시간보다 적게 근무하며, 급여 역시 낮게 지급되는 방식을 일컫는다.
※ Chapter5
-의사결정
기업경영에 있어서 기업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둘 이상의 대체 가능한 방법 가운데 한가지 방향을 과학적, 조직적 및 효과적으로 결정하는 것. 이러한 의사결정은 먼저 결정에 필요한 여러 자료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대체적 방법을 과학적 및 조직적 관점에서 입안, 평가하는 과정, 즉 의사결정과정(decision making process)을 거쳐 이루어진다.
-경영정보시스템
경영정보시스템. 조직의 계획·운영 및 통제를 위한정보를 수집, 저장·검색·처리하여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형태로 적절한 구성원에게 제공함으로써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조직화한 통합적 인간·기계 시스템을 말한다. MIS가 없는 조직도 없고, MIS가 완벽히 갖춰진 조직도 있을 수 없다.
-정보
관찰이나 측정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실제 문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리한 지식. 또는 그 자료.
-HRIS
인적자원정보시스템은 경영정보시스템의 하위시스템으로 인적자원에 관한 모든 자료를 수집,분석,처리하여 경영자가 인적자원관리에 관한 의사결정을 합리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정보를 지원하는 조직체계를 말한다.
-인적자원 데이터뱅크
인적자원 데이터뱅크는 컴퓨터기술이qKFMRP 발전하면서 이제는 많은 기업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인적자원 데이터 뱅크는 전체적인 기업데이터뱅크 중의 하나로서 주로 인적자원에 관한 자료와 기록을 확보, 정리, 취합, 분류, 보관하면서 경영자를 지원하게 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11.22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76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