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대상자 사정
( 1 - 2 p )
2. 진단명, 질환 study
( 3 - 10 p )
3. 수술명(수술에 대한 이해)
( 11 - 13 p )
4. 검사자료
( 14 p )
5. 처치(Dr order, medication)
( 15 p )
6. 간호(회복실 간호)
( 16 p )
7. 예후
( 16 p )
8. 환자나 보호자가 궁금할만한 사항
( 17 - 18 p )
9. 출처
( 18 p )
1. 대상자 사정
( 1 - 2 p )
2. 진단명, 질환 study
( 3 - 10 p )
3. 수술명(수술에 대한 이해)
( 11 - 13 p )
4. 검사자료
( 14 p )
5. 처치(Dr order, medication)
( 15 p )
6. 간호(회복실 간호)
( 16 p )
7. 예후
( 16 p )
8. 환자나 보호자가 궁금할만한 사항
( 17 - 18 p )
9. 출처
( 18 p )
본문내용
- 수술전·후 폐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
pethidine HCL 0.5ml
- 격렬한 통증의 완화, 진정, 진경
- 마취전 투약
- 마취시의 보조
②Dr order - 수술후
- 재료 : Kelo-cote(연고), mepiform, mepilex border lite
- 기본 : check v/s q 15min*4, 1hr until stable, 4hr, check I&O hourly
barovac amount check
SOW if V/S stable
저녁부터 tolerance diet 그전까진 수술금식
손,발저림, op site swelling, BV bleeding 시 noti
- 수액, 주사 : SD 1:4 1000ml, cefotetan sod, marobiven-A, mucopect, Gaster, pethidine HCI
6. 간호(회복실 간호)
- 관 제거하고 옴을 확인하였고 S/F position을 하였음.
- ECDB 설명하고 side rail 올려줌.
- O2 5L 제공하고 O2 saturation 모니터함.
- EKG 모니터 시작함.
- 의식이 회복됨.
- PAR score 활동능력2점, 호흡2점, 순환2점, 의식정도2점, SPO2 2점 총 10점.
- 수술 후 낙상 예방활동 함.
- 수술 후 통증평가 시행함. (op site가 지속적으로 10중 7의강도로 쑤심)
- 처방된 페치딘 IV inj, PCA들어가고 있음을 확인함.
- 약물 중재 후 통증 재평가함 10중 5로 간헐적 통증 있으나 견딜만 하다고 함.
- 30분 후 O2 mask 제거
- 심호흡의 중요성을 알리고 격려하였고 수술 후 조기이상의 중요성 교육함.
- Baro vac 및 PCA 사용법 교육함.
7. 예후
① 일상생활
많은 분들이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되는 특별한 식이나 생활 습관이 있는지 물어보지만 현재까지 확실 히 증명된 방법은 없다.
갑상선암 환자는 수술과 방사성요오드 치료 기간 이외에는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으며 직장 생활 에도 아무런 지장이 없다. 심지어 수술 및 방사성요오드 치료 기간에도 무리만 하지 않는다면 정상적 인 생활에 크게 지장을 받지 않는다.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하고 갑상선호르몬제를 꾸준히 복용하며 정기적으로 외래를 방문하여 필요한 검사들을 받으시는 것이 최선이다. 건강한 생활 습관을 항상 유지하여 스스로의 면역력을 높여서 암의 재발을 막도록 하고 혹시라도 암이 재발되었을 경우 적절한 치료를 조기에 받아 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다. 암이 완치되지 않은 상태라고 하더라도 오래 살기 때문에 다른 문제들이 언제든지 동반될 수 있다. 정상인과 같이 일반적인 건강 지침을 따르는 것이 좋다.
② 식생활
아직 갑상선암 환자의 치료를 위하여 권하는 음식이나 특별히 주의해야 할 음식은 없다. 그러나 수술 후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이 발생하여 칼슘 수치가 떨어진 경우에는 칼슘이 많이 들어가 있는 음식을 섭취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갑상선암 수술 후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해야 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방사성요오드 치료 전까지 요오드가 든 해초류의 섭취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평상시에는 특별히 제한해야 할 음식이나 더 권유할만한 음식은 없습니다. 골고루, 넘치지도 모자라지 않게 균형 잡힌 식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③ 갑상선호르몬제
전체 갑상선 절제술을 한 경우 하루 3번 TID로 갑상선 호르몬제를 평생 동안 먹어야 한다.
8. 환자나 보호자가 궁금할만한 사항
물론입니다. 1986년 발생한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로 다른 지역의 갑상선암 발생율의 5~8배 정도가 높아졌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난 후 5년이 지난 현재 후쿠시마 어린이들 중 갑상선암 환자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아니라는 주장도 있지만, 갑상선암 진단을 받는 소아 환자의 통상발병률의 100배를 넘는 수준으로 보아 사고 당시 방사능 노출에 대한 우려가 커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Q. 요즘 일본이 방사능 오염이 심각하다고 들었는데 갑상선암과 관련이 있나요?
가능합니다. 갑상선 암은 다른 암과 달리 재발한 경우에도 적극적인 치료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재발의 대부분의 경우 갑상선 잔존부위 재발과 림프절 재발이 있고, 각각의 경우에 적절한 수술과 방사성 요오드 치료가 시행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 방사선 치료를 할 수도 있습니다.
Q. 갑상선암은 재발해도 다시 치료가 가능한건가요?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입원기간, 일상생활로의 복귀까지 걸리는 시간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입원기간은 대답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수술 후 유치한 배액관으로 나오는 배액량을 보고 퇴원을 결정합니다.
Q. 수술 후 얼마 동안 입원하나요?
Q. 수술 후 목이 불편한데 좋아지는 방법이 없나요?
갑상선 수술 후 목운동을 꾸준히 하면 목의 불편감을 줄일 수 있습니다. 수술 당일부터 과도하게 운동하면 출혈이나 통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해야 하지만, 갑상선 수술 후 시행하는 목운동은 무리가 가지않은 범위에서 빨리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동작은 최대로 크게 한 후 3-5초 정도 정지해 자세를 유지합니다. 모든 과정을 3회 정도 반복해, 하루3회 정도 반복시행합니다.
9. 출처
- 국가암정보센터. (n. d). http://www.cancer.go.kr/ 2015년 10월 6일 검색.
-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13). 갑상선 암의 모든 것. 서울 : 재승출판
- 네이버 건강. (n. d) http://health.naver.com, 2015년 10월 6일 검색.
-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12) 내분비외과학. 서울 : 군자출판사
- Makuuchi Masatoshi (2010) 내분비 내과 요점과 맹점. 서울 : 바이오메디북 - 조보연 (2001). 임상갑상선학. 서울 : 고려의학
- 윤여규 (2007). 갑상선암. 서울 : 아카데미아
- 이토 쿠니히코(2009). 갑상선 질환 진단과 치료 매뉴얼. 대한의학서적
- 조경숙, 김희경 외 공저(2014). 성인간호학 상, 하권. 서울 : 현문사
pethidine HCL 0.5ml
- 격렬한 통증의 완화, 진정, 진경
- 마취전 투약
- 마취시의 보조
②Dr order - 수술후
- 재료 : Kelo-cote(연고), mepiform, mepilex border lite
- 기본 : check v/s q 15min*4, 1hr until stable, 4hr, check I&O hourly
barovac amount check
SOW if V/S stable
저녁부터 tolerance diet 그전까진 수술금식
손,발저림, op site swelling, BV bleeding 시 noti
- 수액, 주사 : SD 1:4 1000ml, cefotetan sod, marobiven-A, mucopect, Gaster, pethidine HCI
6. 간호(회복실 간호)
- 관 제거하고 옴을 확인하였고 S/F position을 하였음.
- ECDB 설명하고 side rail 올려줌.
- O2 5L 제공하고 O2 saturation 모니터함.
- EKG 모니터 시작함.
- 의식이 회복됨.
- PAR score 활동능력2점, 호흡2점, 순환2점, 의식정도2점, SPO2 2점 총 10점.
- 수술 후 낙상 예방활동 함.
- 수술 후 통증평가 시행함. (op site가 지속적으로 10중 7의강도로 쑤심)
- 처방된 페치딘 IV inj, PCA들어가고 있음을 확인함.
- 약물 중재 후 통증 재평가함 10중 5로 간헐적 통증 있으나 견딜만 하다고 함.
- 30분 후 O2 mask 제거
- 심호흡의 중요성을 알리고 격려하였고 수술 후 조기이상의 중요성 교육함.
- Baro vac 및 PCA 사용법 교육함.
7. 예후
① 일상생활
많은 분들이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되는 특별한 식이나 생활 습관이 있는지 물어보지만 현재까지 확실 히 증명된 방법은 없다.
갑상선암 환자는 수술과 방사성요오드 치료 기간 이외에는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으며 직장 생활 에도 아무런 지장이 없다. 심지어 수술 및 방사성요오드 치료 기간에도 무리만 하지 않는다면 정상적 인 생활에 크게 지장을 받지 않는다.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하고 갑상선호르몬제를 꾸준히 복용하며 정기적으로 외래를 방문하여 필요한 검사들을 받으시는 것이 최선이다. 건강한 생활 습관을 항상 유지하여 스스로의 면역력을 높여서 암의 재발을 막도록 하고 혹시라도 암이 재발되었을 경우 적절한 치료를 조기에 받아 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다. 암이 완치되지 않은 상태라고 하더라도 오래 살기 때문에 다른 문제들이 언제든지 동반될 수 있다. 정상인과 같이 일반적인 건강 지침을 따르는 것이 좋다.
② 식생활
아직 갑상선암 환자의 치료를 위하여 권하는 음식이나 특별히 주의해야 할 음식은 없다. 그러나 수술 후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이 발생하여 칼슘 수치가 떨어진 경우에는 칼슘이 많이 들어가 있는 음식을 섭취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갑상선암 수술 후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해야 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방사성요오드 치료 전까지 요오드가 든 해초류의 섭취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평상시에는 특별히 제한해야 할 음식이나 더 권유할만한 음식은 없습니다. 골고루, 넘치지도 모자라지 않게 균형 잡힌 식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③ 갑상선호르몬제
전체 갑상선 절제술을 한 경우 하루 3번 TID로 갑상선 호르몬제를 평생 동안 먹어야 한다.
8. 환자나 보호자가 궁금할만한 사항
물론입니다. 1986년 발생한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로 다른 지역의 갑상선암 발생율의 5~8배 정도가 높아졌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난 후 5년이 지난 현재 후쿠시마 어린이들 중 갑상선암 환자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아니라는 주장도 있지만, 갑상선암 진단을 받는 소아 환자의 통상발병률의 100배를 넘는 수준으로 보아 사고 당시 방사능 노출에 대한 우려가 커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Q. 요즘 일본이 방사능 오염이 심각하다고 들었는데 갑상선암과 관련이 있나요?
가능합니다. 갑상선 암은 다른 암과 달리 재발한 경우에도 적극적인 치료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재발의 대부분의 경우 갑상선 잔존부위 재발과 림프절 재발이 있고, 각각의 경우에 적절한 수술과 방사성 요오드 치료가 시행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 방사선 치료를 할 수도 있습니다.
Q. 갑상선암은 재발해도 다시 치료가 가능한건가요?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입원기간, 일상생활로의 복귀까지 걸리는 시간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입원기간은 대답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수술 후 유치한 배액관으로 나오는 배액량을 보고 퇴원을 결정합니다.
Q. 수술 후 얼마 동안 입원하나요?
Q. 수술 후 목이 불편한데 좋아지는 방법이 없나요?
갑상선 수술 후 목운동을 꾸준히 하면 목의 불편감을 줄일 수 있습니다. 수술 당일부터 과도하게 운동하면 출혈이나 통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해야 하지만, 갑상선 수술 후 시행하는 목운동은 무리가 가지않은 범위에서 빨리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든 동작은 최대로 크게 한 후 3-5초 정도 정지해 자세를 유지합니다. 모든 과정을 3회 정도 반복해, 하루3회 정도 반복시행합니다.
9. 출처
- 국가암정보센터. (n. d). http://www.cancer.go.kr/ 2015년 10월 6일 검색.
-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13). 갑상선 암의 모든 것. 서울 : 재승출판
- 네이버 건강. (n. d) http://health.naver.com, 2015년 10월 6일 검색.
-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12) 내분비외과학. 서울 : 군자출판사
- Makuuchi Masatoshi (2010) 내분비 내과 요점과 맹점. 서울 : 바이오메디북 - 조보연 (2001). 임상갑상선학. 서울 : 고려의학
- 윤여규 (2007). 갑상선암. 서울 : 아카데미아
- 이토 쿠니히코(2009). 갑상선 질환 진단과 치료 매뉴얼. 대한의학서적
- 조경숙, 김희경 외 공저(2014). 성인간호학 상, 하권. 서울 : 현문사
추천자료
[보건] 암 (cancer)
암의 발생원인 인자들
내분비성 피부질환(Endocrine dermatopathy )과 갑상선기능저하증(Hypothyroidism),Hyperadre...
비만과 암
[성인간호학] 갑상선 기능저하증
[성인간호학]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간호학]내분비계 호르몬의 종류와 특징(시상하부호르몬,뇌하수체호르몬,갑상선호르몬,성호르...
갑상샘암(Thyroid cancer)
생명공학 암의 정의와 종류 발생원인
[유방 갑상선 산부인과 병동] case study <자궁경부암> (+5일일지,소감,평가)
생리학 - 암, 암세포, 포도당, 나트륨 펌프
[간수술, 간수술과 수술장비, 간수술과 간절제술, 간수술과 간이식수술, 간수술과 간동맥 화...
[내분비질환] 내분비계 질환 - 내분비계의 종류와 특성, 내분비계 질환의 원인과 증상 및 치...
[내분비계 질환] 내분비질환의 이해(뇌하수체기능장애, 갑상선 기능장애, 부신기능장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