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검사물 수집
1. 소변검사
2. 대변검사물
3. 혈액검사물
4. 호흡기분비물 검사물
Ⅱ. 느낀점
Ⅲ. 참고문헌
1. 소변검사
2. 대변검사물
3. 혈액검사물
4. 호흡기분비물 검사물
Ⅱ. 느낀점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용한다.
혈액가스 농도 변화 방지 공기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울음·두려움·흥분은 혈액가스 수치에 영향 주기 때문에 진정시킴
얼음에 담근 뒤 즉시 검사실로 보낸다.
3) 말초혈액 검사물
아동의 손가락 찔러서 채취함.
6개월 이하의 영아 : 발뒤꿈치를 찌름
안전한 장치 : BD Quickheel 안전 란셋, tenderfoot Preemie
발뒤꿈치 천자 합병증 : 괴사성 골연골염
=> 예방 : 2mm보다 깊게 천자금지, 발뒤꿈치 바깥부위에서 실시함.
4) 천자부위 압박
마른 거즈로 압박함.
접착붕대 : 어린 아동의 경우 흡인 위험 때문에 사용하지 않음.
출혈이 멈추면 바로 제거함.
따뜻한 찜질 : 반상출혈 부위 적용 → 순환증진, 스며나온 혈액제거, 통증을 감소
5) 아동 격려·지지
혈액의 손실에 대한 두려움, 생명 위협감 느낌 → 설명·안심시키기
천자와 관련된 불편함 → 통증감소 기술 습득 필요
4. 호흡기분비물 검사물
1) 목적 : 호흡기 감염 (결핵, RSV 등) 진단
2) 교육 : 인후에서 나오는 점액이 아니라 기침해서 받은 검사물이 필요하다고 설명
깊게 기침하는 것 시범보임
3) 기타 방법
위세척 : 기침 지시를 따를 수 없고, 객담 삼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흡인장치 사용 : 기관 내 카테터 삽입되어 있고 기침반사 유도할 수 있는 경우 mucus trap 같은 흡인장치 사용
비강세척 : RSV 감염 진단 시 실시
앙와위로 눕히기 -> 멸균 생리식염수 1~3mL를 멸균주사기로 한쪽 비강에 한 방울씩 떨어뜨리기 -> 멸균된 진공관 주사기 통해 흡인 or 18~20G 관의 5cm 주사기 사용
인후도말 검사, 인후배양검사 : 백일해 진단 위해 실시함.
Ⅱ. 느낀점
항상 아동의 간호를 배우면서 아동은 성인과 또 다른 차원의 접근법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였다. 요번에 공부한 검사물수집에 관련하여 생각해보자면 우선 아동은 검사물 수집을 위한 수의적으로 반응하기 힘들다. 그러므로 특수한 장치나 방법이 필요하고 그에 따른 세심한 간호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검사물 수집은 아동의 상태를 사정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간호사는 아동의 검사물 수집 방법에 대해서 잘 알고 있어야 하며 간호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멸균법을 항상 적용해 아동에게 해가 되면 안 된다는 것을 다시 되새길 수 있었다.
Ⅲ. 참고문헌
1. 김영혜 외(2010),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혈액가스 농도 변화 방지 공기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울음·두려움·흥분은 혈액가스 수치에 영향 주기 때문에 진정시킴
얼음에 담근 뒤 즉시 검사실로 보낸다.
3) 말초혈액 검사물
아동의 손가락 찔러서 채취함.
6개월 이하의 영아 : 발뒤꿈치를 찌름
안전한 장치 : BD Quickheel 안전 란셋, tenderfoot Preemie
발뒤꿈치 천자 합병증 : 괴사성 골연골염
=> 예방 : 2mm보다 깊게 천자금지, 발뒤꿈치 바깥부위에서 실시함.
4) 천자부위 압박
마른 거즈로 압박함.
접착붕대 : 어린 아동의 경우 흡인 위험 때문에 사용하지 않음.
출혈이 멈추면 바로 제거함.
따뜻한 찜질 : 반상출혈 부위 적용 → 순환증진, 스며나온 혈액제거, 통증을 감소
5) 아동 격려·지지
혈액의 손실에 대한 두려움, 생명 위협감 느낌 → 설명·안심시키기
천자와 관련된 불편함 → 통증감소 기술 습득 필요
4. 호흡기분비물 검사물
1) 목적 : 호흡기 감염 (결핵, RSV 등) 진단
2) 교육 : 인후에서 나오는 점액이 아니라 기침해서 받은 검사물이 필요하다고 설명
깊게 기침하는 것 시범보임
3) 기타 방법
위세척 : 기침 지시를 따를 수 없고, 객담 삼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흡인장치 사용 : 기관 내 카테터 삽입되어 있고 기침반사 유도할 수 있는 경우 mucus trap 같은 흡인장치 사용
비강세척 : RSV 감염 진단 시 실시
앙와위로 눕히기 -> 멸균 생리식염수 1~3mL를 멸균주사기로 한쪽 비강에 한 방울씩 떨어뜨리기 -> 멸균된 진공관 주사기 통해 흡인 or 18~20G 관의 5cm 주사기 사용
인후도말 검사, 인후배양검사 : 백일해 진단 위해 실시함.
Ⅱ. 느낀점
항상 아동의 간호를 배우면서 아동은 성인과 또 다른 차원의 접근법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였다. 요번에 공부한 검사물수집에 관련하여 생각해보자면 우선 아동은 검사물 수집을 위한 수의적으로 반응하기 힘들다. 그러므로 특수한 장치나 방법이 필요하고 그에 따른 세심한 간호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검사물 수집은 아동의 상태를 사정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간호사는 아동의 검사물 수집 방법에 대해서 잘 알고 있어야 하며 간호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멸균법을 항상 적용해 아동에게 해가 되면 안 된다는 것을 다시 되새길 수 있었다.
Ⅲ. 참고문헌
1. 김영혜 외(2010),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