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해도곱 상수 결정 실험(결과레포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용해도곱 상수 결정 실험(결과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Abstract (요약)

2. Introduction (이론 및 배경)
☐ 용해도규칙과 용해도곱
☐ 공통이온효과

3. Experimental (준비물 및 실험방법)
☐ 준비물
☐ 실험방법

4. Results (실험 결과)
1) 용해도 및 용해도곱 상수 결정
2) 위의 결과를 토대로 용해도곱이 일정 온도에서 상수인지 확인하여라.
3) 위에서 결정된 값을 문헌 값과 비교하여라(25℃에서 5.5×10-6)

5. Question (문제)
1) 본 실험에서 사용된 각 용액에서의 Ca(OH)2의 용해도를 비교하고, 용액에 따라 용해도가 다른 이유를 르샤틀리에의 원리를 적용하여 설명하여라.

6. Discussion (토의 및 고찰)

7. References (참고문헌)

본문내용

10-6과 비슷하다.
5. Question (문제)
1) 본 실험에서 사용된 각 용액에서의 Ca(OH)2의 용해도를 비교하고, 용액에 따라 용해도가 다른 이유를 르샤틀리에의 원리를 적용하여 설명하여라.
Ca(OH)2의 용해도 계산)
1. 순수한 물과 Ca(OH)2
Ksp=5.13×10-5
Ca(OH)2(s) Ca2+(aq)+2OH-(aq)
Ksp = [Ca2+][OH-]2
Ca(OH)2의 용해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Ca2+와 OH-의 평형농도를 알아야 한다. 이 경우에는 용해도를 모르므로 xmol/L의 고체가 녹아 평형에 도달한다고 가정한다.
평형농도를 Ksp식에 대입하면
따라서 고체 Ca(OH)2의 용해도는 2.34×10-2mol/L 이다.
2. 0.025M NaOH용액과 Ca(OH)2
과정은 1번과 비슷하다.
따라서 용해도는 1.48×10-4mol/L이다
4. 0.10M NaOH용액과 Ca(OH)2
Ksp가 0이므로 용해도는 0이다.
순수한 물
0.025M
NaOH용액
0.050M
NaOH용액
0.10M
NaOH용액
용해도(mol/L)
2.34×10-2
2.65×10-3
1.48×10-4
0
르샤틀리에의 원리에의 적용)
르샤틀리에의 원리 : 평형에 있는 어떤 계에 변화가 가해지면 그 변화를 감소시키려는 방 향으로 평형이 이동한다.
위의 표를 보면 NaOH의 양이 증가할수록 용해도가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평형에 있던 NaOH용액에 Ca(OH)2를 넣어주게 되면 계는 OH-를 소비하기 위해서 평형이 OH-를 소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용해도가 작아지는 것이다. 이 때 NaOH의 농도가 높을수록 OH-의 변화를 감소시키려는 경향이 강하므로 용해도가 더욱 낮아지는 것이다.
6. Discussion (토의 및 고찰)
이번 실험의 용해도곱 상수를 결정하는 실험을 통해 용해도 평형 및 공통이온 효과를 이해하기 위한 실험이었다.
실험 중 Ca(OH)2를 넣고 녹이는 과정에서 침전물이 어느 정도 생길 때까지 넣어주어야 하는지 몰라서 실험 오차가 생기게 되었다. 그리고 산·염기 적정을 하는 과정에서 페놀프탈레인 2~3방울 넣어주는데 색의 변화가 너무 없어 페놀프탈레인을 너무 많이 넣어 오차가 생기게 되었다. 또한 HCl을 넣어주는 과정에서 색이 변하는 순간 보다 더 많이 넣게 되어 오차가 생기게 되었다.
7. References (참고문헌)
‘양이온 정성분석’ 교재
HIGH TOP 화학2
Chemistry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11.27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86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