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 문화유산탐방
<천마총>
<황남대총>
<미추왕릉>
<황룡사지>
<안압지>
<천마총>
<황남대총>
<미추왕릉>
<황룡사지>
<안압지>
본문내용
돌무지덧널무덤이며 남분에는 남자가 묻혔고, 북분에는 여자가 묻혔다. 아직까지 학계는 이 무덤의 주인이 누구인지 모른다.
이 날 경주에 가기 전에 바로 수업 이였는데 수업시간에 배운 무덤이 나와서 신기했다.
이 무덤은 부부의 무덤으로 본다.
크기가 천마총보다 더 컸다. 서로 옆에 있어서 마치 언덕인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부부는 죽어서도 함께 붙어있다는 뜻인 것 같다.
<미추왕릉>
이 능은 신라 제 13대 미추왕을 모신 곳이다. 미추왕은 신라 최초의 김씨 왕이며, 여러 차례 백제의 공격을 막아 내고 농업을 장려하였다. 미추왕 사후에 금성을 공격받았는데, 이 때 대나무 잎을 귀에 꽂은 병사들이 적군을 물리치고 사라졌다. 나중에 미추왕릉 앞에 대나무 잎이 있는 걸 보고 능의 이름을 죽현릉이라고 불렀다.
무엇인가 무덤이 혼자 쓸쓸히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다른 왕들과는 다르게 비석들도 초라하게 보였다. 그래도 입구도 있고 왕의 대우를 받았던 것 같다. 생각보다 무덤도 크지 않고 구석에 있었다. 황남대총은 서로 같이 있어서 크게 느껴졌을 지도 모른다. 이러한 릉 때문에 역사를 알아갈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다.
<황룡사지>
신라 진흥왕 14년에 월성의 동북쪽에 새로운 궁궐을 짓다가 황룡이 나타났다는 말을 듣고 사찰로 고쳐 짓게 하여 절 이름을 황룡사라 하였다. 그러나 고려 고종 25년에 몽골의 침입을 받아 불타 없어졌으며, 지금은 옛 터만 남아있다. 이 날 분황사도 보고 황룡사지도 보려고 했었는데 운영시간이 다 되어서 분황사를 볼 수 가 없었다. 그래서 황룡 사지를 보려고 갔었는데 9층 목탑이 다른 장소로 옮겨져서 볼 수조차 없었다. 그래서 그냥 터만 보고 왔었다. 몽골의 침입을 받아서 터만 남은 장소에 서 있다 보니 그 불타 없어진 시기에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그 때 희생된 사람들을 느낄 수 있었다.
<안압지>
이곳은 통일 신라 시대 궁궐터의 하나로, 임해전을 비롯한 여러 부속 건물들과 함께 태자가 거처하는 동궁으로 사용되면서 나라의 경사가 있을 때나 귀한 손님을 맞을 때 연희를 베푸는 장소였다.
궁 안에 못을 파고 산을 만들고 잔치를 했다는 기록이 있어 월지와 동궁의 축조 연대와 주요 건축물들의 성격을 알 수 있다.
발굴 조사에서 신라 때 축소되었던 월지의 모습 대부분이 확인되었고, 동궁 건물터에서 출토된 기와와 보상화문전에 새겨진 기년명을 통해 축조 연대가 기록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날 경주에 가기 전에 바로 수업 이였는데 수업시간에 배운 무덤이 나와서 신기했다.
이 무덤은 부부의 무덤으로 본다.
크기가 천마총보다 더 컸다. 서로 옆에 있어서 마치 언덕인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부부는 죽어서도 함께 붙어있다는 뜻인 것 같다.
<미추왕릉>
이 능은 신라 제 13대 미추왕을 모신 곳이다. 미추왕은 신라 최초의 김씨 왕이며, 여러 차례 백제의 공격을 막아 내고 농업을 장려하였다. 미추왕 사후에 금성을 공격받았는데, 이 때 대나무 잎을 귀에 꽂은 병사들이 적군을 물리치고 사라졌다. 나중에 미추왕릉 앞에 대나무 잎이 있는 걸 보고 능의 이름을 죽현릉이라고 불렀다.
무엇인가 무덤이 혼자 쓸쓸히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다른 왕들과는 다르게 비석들도 초라하게 보였다. 그래도 입구도 있고 왕의 대우를 받았던 것 같다. 생각보다 무덤도 크지 않고 구석에 있었다. 황남대총은 서로 같이 있어서 크게 느껴졌을 지도 모른다. 이러한 릉 때문에 역사를 알아갈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다.
<황룡사지>
신라 진흥왕 14년에 월성의 동북쪽에 새로운 궁궐을 짓다가 황룡이 나타났다는 말을 듣고 사찰로 고쳐 짓게 하여 절 이름을 황룡사라 하였다. 그러나 고려 고종 25년에 몽골의 침입을 받아 불타 없어졌으며, 지금은 옛 터만 남아있다. 이 날 분황사도 보고 황룡사지도 보려고 했었는데 운영시간이 다 되어서 분황사를 볼 수 가 없었다. 그래서 황룡 사지를 보려고 갔었는데 9층 목탑이 다른 장소로 옮겨져서 볼 수조차 없었다. 그래서 그냥 터만 보고 왔었다. 몽골의 침입을 받아서 터만 남은 장소에 서 있다 보니 그 불타 없어진 시기에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그 때 희생된 사람들을 느낄 수 있었다.
<안압지>
이곳은 통일 신라 시대 궁궐터의 하나로, 임해전을 비롯한 여러 부속 건물들과 함께 태자가 거처하는 동궁으로 사용되면서 나라의 경사가 있을 때나 귀한 손님을 맞을 때 연희를 베푸는 장소였다.
궁 안에 못을 파고 산을 만들고 잔치를 했다는 기록이 있어 월지와 동궁의 축조 연대와 주요 건축물들의 성격을 알 수 있다.
발굴 조사에서 신라 때 축소되었던 월지의 모습 대부분이 확인되었고, 동궁 건물터에서 출토된 기와와 보상화문전에 새겨진 기년명을 통해 축조 연대가 기록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천자료
한국의 행정문화
한국 문화와 일본 문화의 비교
한국의 정치문화와 사회화
고구려 문화가 한국 역사에 미친 영향
한국 전통식품 문화에 대하여
[감상문]3D 가상현실과 세계문화 유산의 결합
한국인의 삶과 문화 조사, 연구
한국 속담과 문화, 다른 나라 속담
한국 문화와 일본 문화의 비교
한국 기업의 문화마케팅_기업문화마케팅,문화마케팅,메세나협의회,한국기업의미술시장
독후감 -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 일본편, 교토의 명소, 그들에겐 내력이 있고 우리에겐 사연...
한국 속의 세계문화 세계화 중간 레포트
[교회와 신앙] 한국교회의 신학적 진단 - 기독교 문화의 부재와 서구문화 사대주의(한국 교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