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간의 본성에 대한 기독교 상담의 입장(성경적 관점)
2. 기독교 상담과 관련한 인간의 상태에 관한 성경적 가르침
참고문헌
2. 기독교 상담과 관련한 인간의 상태에 관한 성경적 가르침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게 마귀를 포함한 선과 악의 문제가 다루어지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거리트 슈스터(Marguerite Shuster, 1981)가 강조했듯이, 상담자는 아가페 사랑과 겸손, 약함, 주님의 은혜와 능력을 의지하는 마음을 가질 필요가 있다. 선으로 악을 이기려면 그러한 요소들이 있어야 한다.
문제 사고만 아니라 문제 감정과 행동을 포함한 인간의 주요한 경험들 전체에 초점을 맞추고 균형을 유지할 필요에 대해서는 게리 콜린스(1976)에 의해서도 이미 강조된 바 있다. 크랩(1987) 또한 이와 유사한 관점에서 한 사람의 개인적 합리적 의지적 정서적 영역들의 전체 기능에 대해 관심을 갖고 주목할 필요에 대해 언급하였다. 그렇지만 한 개인에게 있어서 문제 감정이 일어날 때 문제 사고와 행동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 자체는 결코 잊거나 소홀히 취급되어선 안 된다.
마지막 다섯째, 성경은 인간을 신체적 심리-정서적 사회적 그리고 영적인 차원을 가진 통합적 존재로 본다(눅 2:52). 그래서 제이 아담스(Jay E.Adams)가 주장한 것처 럼, 우울증이나 불안 등의 문제를 가진 내담자를 상담할 때 그 사람의 인생 전 영역에 비추어 문제를 살펴보고 '전체적 구조화’라고 한 성경적 재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것은 바로 (1) 교회와 성경, 기도, 증인 (2) 직장, 학교 (3) 신체적 건강, 운동, 다이어트, 잠 (4) 결혼관계, 성생활 (5)재정, 예산 (6) 가족, 자녀, 양육 (7) 사회활동, 친구관계 (8) 그 외에 중요하게 여겨지는 요소들의 맥락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다(1973, 409-412).
인간의 기능과 역기능에 대해 이와 유사하지만 일반 상담학에서 나온 종합적 접근으로 아놀드 라자루(Arnold Lazarus, 1989, 2008)의 다축적 치료모델이 있다. 그는 인간의 기능을 7가지 주요 요소들로 나누고, 그것을 한 사람의 기본 정체성(BASICI.D.)으로 요약하였다. 즉, 영어의 첫 글자를 모아 만들었는데, 행동(Behavior),감정(Affect), 감각(Sensations), 이미지(Images), 인지(Cognitions), 대인관계(Interpersonal relationships), 생의약(Drugs/Biology)이 그것이다. 여기에는 인간의 중요한 영역인 영적인 차원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기독교 상담자는 여기에 영적인 차원을 추가할 수 있다(BASICI.D.S.). 또는 제프리 비요르크(Jeffrey Bjorck)가제안한 것처럼 위의 7가지 요소들을 사용하여 내담자의 영적인 차원을 평가하거나 하나님을 어떻게 경험하였는지 등을 탐색할 수 있다(2007, 145).
참고문헌
양명숙, 김동일 외 저,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히스 램버트 저, 성경적 상담의 핵심 개념, 국제제자훈련원 2015
에릭 존슨 저,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부흥과개혁사 2012
윤가현, 권석만 외 저,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2
에릭 L. 존슨 저, 기독교심리학, CLC 2012
문제 사고만 아니라 문제 감정과 행동을 포함한 인간의 주요한 경험들 전체에 초점을 맞추고 균형을 유지할 필요에 대해서는 게리 콜린스(1976)에 의해서도 이미 강조된 바 있다. 크랩(1987) 또한 이와 유사한 관점에서 한 사람의 개인적 합리적 의지적 정서적 영역들의 전체 기능에 대해 관심을 갖고 주목할 필요에 대해 언급하였다. 그렇지만 한 개인에게 있어서 문제 감정이 일어날 때 문제 사고와 행동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 자체는 결코 잊거나 소홀히 취급되어선 안 된다.
마지막 다섯째, 성경은 인간을 신체적 심리-정서적 사회적 그리고 영적인 차원을 가진 통합적 존재로 본다(눅 2:52). 그래서 제이 아담스(Jay E.Adams)가 주장한 것처 럼, 우울증이나 불안 등의 문제를 가진 내담자를 상담할 때 그 사람의 인생 전 영역에 비추어 문제를 살펴보고 '전체적 구조화’라고 한 성경적 재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것은 바로 (1) 교회와 성경, 기도, 증인 (2) 직장, 학교 (3) 신체적 건강, 운동, 다이어트, 잠 (4) 결혼관계, 성생활 (5)재정, 예산 (6) 가족, 자녀, 양육 (7) 사회활동, 친구관계 (8) 그 외에 중요하게 여겨지는 요소들의 맥락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다(1973, 409-412).
인간의 기능과 역기능에 대해 이와 유사하지만 일반 상담학에서 나온 종합적 접근으로 아놀드 라자루(Arnold Lazarus, 1989, 2008)의 다축적 치료모델이 있다. 그는 인간의 기능을 7가지 주요 요소들로 나누고, 그것을 한 사람의 기본 정체성(BASICI.D.)으로 요약하였다. 즉, 영어의 첫 글자를 모아 만들었는데, 행동(Behavior),감정(Affect), 감각(Sensations), 이미지(Images), 인지(Cognitions), 대인관계(Interpersonal relationships), 생의약(Drugs/Biology)이 그것이다. 여기에는 인간의 중요한 영역인 영적인 차원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기독교 상담자는 여기에 영적인 차원을 추가할 수 있다(BASICI.D.S.). 또는 제프리 비요르크(Jeffrey Bjorck)가제안한 것처럼 위의 7가지 요소들을 사용하여 내담자의 영적인 차원을 평가하거나 하나님을 어떻게 경험하였는지 등을 탐색할 수 있다(2007, 145).
참고문헌
양명숙, 김동일 외 저,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히스 램버트 저, 성경적 상담의 핵심 개념, 국제제자훈련원 2015
에릭 존슨 저,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부흥과개혁사 2012
윤가현, 권석만 외 저,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2
에릭 L. 존슨 저, 기독교심리학, CLC 2012
추천자료
[상담심리학 2015] 정신분석적상담이론, 인간중심적상담이론, 게슈탈트상담이론 비교설명하고...
[심리치료와 상담] 심리치료 통합운동 - 고통요인 이론(common factors theory), 기술적 절충...
[심리치료와 상담]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의 주요개념과 성격이론 - 인지치료의 철학적...
[상담과 심리치료] 상담자와 내담자의 내면적 통합 및 영성의 발전
[기독교와 심리치료] 절충주의의 성질과 절충주의 모델(혼돈에 가까운 절충주의, 실용적 절충...
청소년심리및상담-학교 적응이 어려운 내담자에 대한 상담 과정을 다양한 이론 중 한 가지 이...
[2018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을 비교설명...
[상담심리학 공통]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을 비교·설명...
[상담심리학 공통]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을 비교·설명...
[상담심리학]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을 비교·설명하고 그 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