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안서]OO대학교 건물 디자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안서]OO대학교 건물 디자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논문개요
- 서론
- 본론
- 결론

본문내용

회색이나 밝은 청록색으로만 보이기 때문에 깔끔하지만 약간 삭막해 보이는 느낌이 없지는 않았다. 그리고 로비 중간을 각 편의시설대로 구분을 지어 나눠놓은 파티션들도 다소 불편한 감이 없지않다. 로비의 군데군데 설치되어있는 파티션이 로비의 통일성을 저해하고 있다. 크기를 조금 더 줄이거나, 이리저리 흩어져있는 관생 편의시설을 한쪽으로 옮겨 파티션이 없이도 자연히 시설을 이용하러 다닐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좋다. 그리고 파티션 겉의 사선모양 빗금도 안락함이 느껴져야 할 기숙사 로비에는 적합하지 않은 무늬이다. 기울어져 있는 사선의 경우,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불안감 등을 일으키는 일도 있다고 한다.
인덕재 내부에서 또 하나의 단점을 지적하자면, 관생들 개개인이 생활하고 있는 방바닥을 꼽을 수 있다. 인덕재는 멀리서 생활하는 학생들이 보다 학업에 전념 할 수 있도록 학교 내 기숙사를 내 집처럼 생각하며 편하게 생활하는데 의의를 둔 건물이다. 허나 신발을 신고 다녀야만 하는 방바닥은 편안함과는 거리가 멀다. 우리 나라의 주거문화 자체가 좌식 문화인데, 그런 점에 있어서 관생들의 보다 편하고 아늑한 생활을 위해 방바닥에 장판을 깔아서 신발을 벗고 내 집처럼 좌식 생활할 수 있도록 설계를 한다면 관생들이 좀 더 편한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구관 신관 각 건물의 로비에는 창문이 많고, 거의 모든 벽면이 유리로 되어있다시피 해서 햇빛이 있을때는 건물 안으로 잘 드는 편이지만 로비가 아닌 각 기숙사 내부의 복도에는 빛이 전혀 들지 않는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어둡다. 그런 곳일수록 조명 설비가 제대로 되어 있어야 하는데, 형광등 개수도 약간 부족해서 불을 켜도 어둡고 우울한 느낌이 든다. 등 자체도 차가운 느낌을 주는 흰 빛으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구관 로비처럼 할로겐 등을 사용해서 조금 더 밝고 따뜻한 느낌을 주도록 하는 방법도 좋고, 복도 가운데에 약간 따뜻한 빛이 나는 커다란 전등 하나를 달아서 국부조명 식의 화려한 느낌을 주는 방법도 있다. 또한 각 방문 앞에 간접 조명을 이용해서 분위기 자체를 따뜻하게 연출하는 법도 있다.
- 결론
OO대학교의 몇몇 건물을 살펴보면서 여러 부분의 장단점을 알아보았다. 공통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분은 건물의 채광이었는데, 이 부분을 조금 더 신경쓴다면 훨씬 밝은 느낌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부가적으로 부분적인 도색작업이나 인테리어 관리에서도 소홀히 하지 않고 색상이나 무늬 등을 신경쓴다면, 기숙사 복도처럼 창을 낼 수 없는 공간에도 조명과 함께 사용해서 충분히 밝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하는 학생들의 태도에 달려 있다. 늘빛관 1층 로비의 의자나 테이블이 난잡하게 늘어져 있어서 지저분한 느낌을 주는것도, 충분히 정리하면 가지런하고 차분한 분위기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건물 외관 앞에 있는 쓰레기통 주변이나 벤치에 늘어져 있는 쓰레기들도 충분히 정리하면 도색 작업이나 다른 조치가 필요하지 않을 만큼 깨끗한 곳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12.03
  • 저작시기201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93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