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특별계시와 성경과의 관계
2 성경의 영감
3 영감의 범위
4 성경의 특성들
2 성경의 영감
3 영감의 범위
4 성경의 특성들
본문내용
있다고 하였다.(고전2:15, 10:15, 요일 2:20)
4)성경의 충족성
로마교회와 재세례파는 성경을 하나님의 충분한 계시로 인정하지 않았다. 후자는 저급한 성경 관을 갖고, 내적 광명의 절대적 필요성과 각종의 특별계시의 절대적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한편 전자는 구전을 기록된 말씀의 필요한 보조 물로 생각하였다. 그들에 의하면 구전은 사도들이 전한 진리를 구체화 한것이지만 기록하도록 위탁된 것은 아니고 대대로 아무 장애없이 로마교회 내에서 전달되었다. 이는 오늘날 주로 각종회의의 신조, 교부들의 저작 선언문, 관례문에 포함되어 있다.
이 같은 주장에 반대하여 개혁자들은 성경의 완전성 혹은 충족 성을 주장하였다. 이는 사도들이 말하고 쓴 것이 다 성경에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기록된 말씀이 개인과 교회의 영적 도덕적 욕구를 위해 충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기록되지 아니한 하나님의 말씀이 성경과 동등 혹은 우월하다는 것을 거부한다는 말이다.
느낀 점
성경에 대하여 하나님의 말씀에 저자들의 자신들의 의견과 자신들이 느낀 하나님을 향한 그 발언들 그리고 하나님께 받은 말씀을 그 삶에 맞추어 기록하고 그것에는 하나의 거짓도 없음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그 말씀은 종교개혁자들의 말처럼 그 하나 자체로 완전하다는 것을 인정해야 함을 보았고 교회의 권위를 통한 하나의 충족물이 성경이 될 수 없음을 다시 금 알았으며 권위를 가진 권위를 위한 성경의 해석은 위험하고 맞지 않다는 사실을 다시금 머릿속에 되세길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참고도서
기독교 신학개론 성광문화사. 루이스 뻘콥지음, 신복윤 옮김
4)성경의 충족성
로마교회와 재세례파는 성경을 하나님의 충분한 계시로 인정하지 않았다. 후자는 저급한 성경 관을 갖고, 내적 광명의 절대적 필요성과 각종의 특별계시의 절대적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한편 전자는 구전을 기록된 말씀의 필요한 보조 물로 생각하였다. 그들에 의하면 구전은 사도들이 전한 진리를 구체화 한것이지만 기록하도록 위탁된 것은 아니고 대대로 아무 장애없이 로마교회 내에서 전달되었다. 이는 오늘날 주로 각종회의의 신조, 교부들의 저작 선언문, 관례문에 포함되어 있다.
이 같은 주장에 반대하여 개혁자들은 성경의 완전성 혹은 충족 성을 주장하였다. 이는 사도들이 말하고 쓴 것이 다 성경에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기록된 말씀이 개인과 교회의 영적 도덕적 욕구를 위해 충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기록되지 아니한 하나님의 말씀이 성경과 동등 혹은 우월하다는 것을 거부한다는 말이다.
느낀 점
성경에 대하여 하나님의 말씀에 저자들의 자신들의 의견과 자신들이 느낀 하나님을 향한 그 발언들 그리고 하나님께 받은 말씀을 그 삶에 맞추어 기록하고 그것에는 하나의 거짓도 없음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그 말씀은 종교개혁자들의 말처럼 그 하나 자체로 완전하다는 것을 인정해야 함을 보았고 교회의 권위를 통한 하나의 충족물이 성경이 될 수 없음을 다시 금 알았으며 권위를 가진 권위를 위한 성경의 해석은 위험하고 맞지 않다는 사실을 다시금 머릿속에 되세길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참고도서
기독교 신학개론 성광문화사. 루이스 뻘콥지음, 신복윤 옮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