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사교육비 지출 현황
2. 시행 중인 사교육비 경감 대책
3. 사교육비 경감 대책에 대한 의견
4. 참고문헌
1. 사교육비 지출 현황
2. 시행 중인 사교육비 경감 대책
3. 사교육비 경감 대책에 대한 의견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며 끌어들이려 노력한다.
우리나라와는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우리나라의 교육 시스템은 효율적이지 않다고 본다. 중학교, 고등학교는 대학에, 대학교는 취업과 돈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절망적이다. 누구를 위해 공부하는가? 어디에 쓰려고 공부를 하는가? 사교육비? 투자한 만큼 결과가 값지지 않다. 행복하고 가치 있는 삶을 살고 있다는 느낌을 받지 못한다. 그저 남들이 다 하기에, 하고 싶지 않지만 어쩔 수 없이, 사실 내 꿈은 그것이 아닌데 등등 이 시대의 청소년, 대학생들은 점점 기계가 되어가고 있다. 사교육비 경감 대책은 공교육의 질 향상이 아니다. 공교육의 질은 지금도 충분히 괜찮다. 우수한 선생님들과 여름엔 에어컨, 겨울엔 히터가 나오는 학교 시설들. 문제없다. 사교육비가 향상이 된 것은 공교육의 문제가 아니다. 10년이 걸리더라도, 100년이 걸리더라도 근본적인 교육 시스템 문제를 바꾸는 계획을 착수하고 하루 빨리 시행해야 한다. 많은 시행착오를 겪게 될 것이고 분명 피해를 보는 세대가 나올 것이다. 그렇지만 이대로 가다간 자살하는 불쌍한 학생들만 더 늘어날 뿐이다.
이 리포트의 주제 또한 사교육비 경감 대책이기에 어쩌면 나는 좀 멀리 왔는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사교육비 경감 대책은 한국의 교육 시스템을 통째로 바뀌지 않는 이상 그 어떤 것도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학에 가는 이유가 남들이 다 가기 때문이 아니라 정말로 해당 전공 분야의 고등 교육을 받기 위해서가 되어야 하며, 대학에 가는 과정이 경쟁이 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인식이 제대로 박히게 된다면 사교육에 투자하는 비용은 정말 필요한 만큼이 되지 않을까 싶다. 남들이 다 하기 때문에가 아닌 나의 아이가 원해서, 우리 애가 옆집 애보다 못해서가 아닌 나의 아이가 즐거워하기 때문에 등의 이유를 업고, 올바르고 바람직한 사교육의 의미를 찾는 그 날을 기대해 본다.
4. 참고문헌
- 통계청, [우리나라 초ㆍ중ㆍ고 학생의 사교육 현황] 2012
[2011년 사교육비조사 결과] 2011
-교육과학기술부, [사교육비 경감 대책] 2009
-경기도교육청, [2012 사교육비 경감 종합 대책]
-전남도교육청, 발표한 [2012 사교육비 경감 종합 대책]
-http://blog.daum.net/ken_news/6049430
-http://news1.kr/articles/680656
-EBS, 지식채널e [시험의 목적]
우리나라와는 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우리나라의 교육 시스템은 효율적이지 않다고 본다. 중학교, 고등학교는 대학에, 대학교는 취업과 돈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절망적이다. 누구를 위해 공부하는가? 어디에 쓰려고 공부를 하는가? 사교육비? 투자한 만큼 결과가 값지지 않다. 행복하고 가치 있는 삶을 살고 있다는 느낌을 받지 못한다. 그저 남들이 다 하기에, 하고 싶지 않지만 어쩔 수 없이, 사실 내 꿈은 그것이 아닌데 등등 이 시대의 청소년, 대학생들은 점점 기계가 되어가고 있다. 사교육비 경감 대책은 공교육의 질 향상이 아니다. 공교육의 질은 지금도 충분히 괜찮다. 우수한 선생님들과 여름엔 에어컨, 겨울엔 히터가 나오는 학교 시설들. 문제없다. 사교육비가 향상이 된 것은 공교육의 문제가 아니다. 10년이 걸리더라도, 100년이 걸리더라도 근본적인 교육 시스템 문제를 바꾸는 계획을 착수하고 하루 빨리 시행해야 한다. 많은 시행착오를 겪게 될 것이고 분명 피해를 보는 세대가 나올 것이다. 그렇지만 이대로 가다간 자살하는 불쌍한 학생들만 더 늘어날 뿐이다.
이 리포트의 주제 또한 사교육비 경감 대책이기에 어쩌면 나는 좀 멀리 왔는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사교육비 경감 대책은 한국의 교육 시스템을 통째로 바뀌지 않는 이상 그 어떤 것도 성공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학에 가는 이유가 남들이 다 가기 때문이 아니라 정말로 해당 전공 분야의 고등 교육을 받기 위해서가 되어야 하며, 대학에 가는 과정이 경쟁이 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인식이 제대로 박히게 된다면 사교육에 투자하는 비용은 정말 필요한 만큼이 되지 않을까 싶다. 남들이 다 하기 때문에가 아닌 나의 아이가 원해서, 우리 애가 옆집 애보다 못해서가 아닌 나의 아이가 즐거워하기 때문에 등의 이유를 업고, 올바르고 바람직한 사교육의 의미를 찾는 그 날을 기대해 본다.
4. 참고문헌
- 통계청, [우리나라 초ㆍ중ㆍ고 학생의 사교육 현황] 2012
[2011년 사교육비조사 결과] 2011
-교육과학기술부, [사교육비 경감 대책] 2009
-경기도교육청, [2012 사교육비 경감 종합 대책]
-전남도교육청, 발표한 [2012 사교육비 경감 종합 대책]
-http://blog.daum.net/ken_news/6049430
-http://news1.kr/articles/680656
-EBS, 지식채널e [시험의 목적]
추천자료
청년실업의 원인과 대책
우리나라사교육현실
[입학사정관제]입학사정관제의 개념 및 추진 배경과 현황 & 입학사정관제의 장단점 및 사...
노인학대의 현황 및 사회복지 개입(노인학대예방센터) 보고서
[유럽경제위기]그리스發 유럽 경제 위기의 파장과 우리나라의 대응 방안은? -그리스 재정(금...
(한국사회문제B형)자율형사립고의 현황과 학생의 학교선택권보장과 교육의 질제고 목표 논의-...
사교육원인과 해결책
공교육(학교교육)의 정의, 공교육(학교교육)의 기관과 비용결정, 공교육(학교교육)의 현황, ...
EBS 교육방송 목표, 원인, 배경, 기대효과, 실패사례, 체계, 역할, 찬성,반대, 의견, 운영현...
[교육열] 교육열의 개념, 교육열의 현황, 교육열의 장단점 및 올바른 교육의 방향
저출산의 문제점과 대안 (저출산의 개념, 저출산 현황, 발생원인, 문제점, 대안)
[방과후학교] 방과후학교의 도입 배경과 방과후학교 현황 및 개선방안 분석 - 방과후학교 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