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 요 -
OLED란?
저분자재료
고분자 재료
전극 재료
결론
OLED란?
저분자재료
고분자 재료
전극 재료
결론
본문내용
지가 필요하다.
전자수송층의 경우에는 시아나이드(cyanide), 옥사디아졸(oxadiazole), 트리아졸(triazole), 피리딘(pyridine), 퀴녹살린(quinoxalinne) 등이 치환되어 사용되고 있다. 발광층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호스트 소재는 폴리싸이오펜(polythiophene, PT), 폴리페닐렌(polyphenylene, PP), 폴리페닐렌비닐렌(polyphenylenevinylene, PPV)및 폴리폴러렌(POLYFLUORENE, PF) 등의 유도체가 중심을 이룬다. 최근에는 높은 열안정성, 색변환의 가능성, 박막의 우수성, 다양한 치환체 도입의 등에 기초하여 폴리 플러렌 유도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고분자 인광재료
저분자에서 발광층에 인광색소을 도입하여 발광효율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고분자에서도 폴리비닐카바졸(poly-vi-nyl carbazole, PVK)를 골격으로 고효율 인광 고분자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크게 고분자 호스트 재료에 인광 도판트 재료를 섞는 블렌딩 계(BLENDING SYSTEM), 주사슬에 인광 발광재료가 도입된 계(covalently linked sys-tem), 그리고 고분자 호스트에 인광발광재료가 곁사슬로 연결된 bindig system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표적인 고분자 발광층 소재의 장단점
고분자 소재
장점
단점
PT 유도체
-높은 열안정성
-기계적 강도 우수
-발광색 조절 용이
-낮은 용해도로가공이 어려움
-수명이 짧음
-색순도가 낮음
PP 유도체
-violet or pure blue
-높은 형광특성
-산화 및 열적 안정성
-높은 Vt
-낮은 용해도로 분자량이 작음
-박막제조의 어려움
-양자수율이 낮음
PPV 유도체
-열적 안정성
-우수한 박막형성
-적절한 색변환
-낮은 용해도
-결정성 및 공정의 어려움
-낮은 산화 안정성
PF 유도체
-우수한 청색, 높은 양자 수율
-색변환이 쉬움
-박막공정의 가공성 우수
-C9 위치늬 다양한 지환기 도입에 따른 용해도 우수
-이웃사슬간의 상호작용 증가에 따른 엑사이머 형성
전극 재료
·양극 소재
양극은 주로 정공을 주입하는 기능으로 배면발광에서는 ITO, IZO등을 사용하고 전면발광에서는 Al, Ag, Ni, Pt 등과 같은 반사율이 우수한 금속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반사율이 우수한 금속의 특성과 ITO 박막의 기능을 첨가한 Al/ITO(IZO), Ag/ITO(IZO), Ni/ITO(IZO)와 같은 이중층도 사용되고 있다. 정공주입층과의 계면장벽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4.7~5.1 eV 정도의 일함수, 표면처리, 전극표면의 거칠기(Roughness) 등이 고려되며, 배면발광의 경우 투과도 90% 이상, 전면발광의 경우 반사율이 60% 이상이 요구된다.
·음극 소재
배면발광에서 상용되는 음극소재는 주로 일함수가 작고 내구성이 있는 MgAg, LiF/Al 등이 사용된다. 음극 소재로 요구 되는 특성은 낮은 일함수, 수분 또는 공기 중에서 전극의 안정성이다.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LiF/Al 전극은 전자수송층과 음극사이에서 터널링 효과로 에너지 장벽이 낮아져 전자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전면발광용 음극재료로는 LiF/Al, Mg:Ag, LiF/Mg:Ag 등이 있으며, 투과율은 최소한 70% 이상이어야 한다
결론
이상에서 현재까지 상요되고 있는 OLED 소재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였습니다. OLED 소자개발에 있어서 소재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은 비용 측면에서 보면 5~8% 정도에 해당되나, 소재의 발전과 함께 최근에는 15~20% 이상의 효율향상 및 장수명화가 진행되므로 상용화를 위한 중요기술 분야라고 생각됩니다.
전자수송층의 경우에는 시아나이드(cyanide), 옥사디아졸(oxadiazole), 트리아졸(triazole), 피리딘(pyridine), 퀴녹살린(quinoxalinne) 등이 치환되어 사용되고 있다. 발광층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호스트 소재는 폴리싸이오펜(polythiophene, PT), 폴리페닐렌(polyphenylene, PP), 폴리페닐렌비닐렌(polyphenylenevinylene, PPV)및 폴리폴러렌(POLYFLUORENE, PF) 등의 유도체가 중심을 이룬다. 최근에는 높은 열안정성, 색변환의 가능성, 박막의 우수성, 다양한 치환체 도입의 등에 기초하여 폴리 플러렌 유도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고분자 인광재료
저분자에서 발광층에 인광색소을 도입하여 발광효율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고분자에서도 폴리비닐카바졸(poly-vi-nyl carbazole, PVK)를 골격으로 고효율 인광 고분자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크게 고분자 호스트 재료에 인광 도판트 재료를 섞는 블렌딩 계(BLENDING SYSTEM), 주사슬에 인광 발광재료가 도입된 계(covalently linked sys-tem), 그리고 고분자 호스트에 인광발광재료가 곁사슬로 연결된 bindig system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표적인 고분자 발광층 소재의 장단점
고분자 소재
장점
단점
PT 유도체
-높은 열안정성
-기계적 강도 우수
-발광색 조절 용이
-낮은 용해도로가공이 어려움
-수명이 짧음
-색순도가 낮음
PP 유도체
-violet or pure blue
-높은 형광특성
-산화 및 열적 안정성
-높은 Vt
-낮은 용해도로 분자량이 작음
-박막제조의 어려움
-양자수율이 낮음
PPV 유도체
-열적 안정성
-우수한 박막형성
-적절한 색변환
-낮은 용해도
-결정성 및 공정의 어려움
-낮은 산화 안정성
PF 유도체
-우수한 청색, 높은 양자 수율
-색변환이 쉬움
-박막공정의 가공성 우수
-C9 위치늬 다양한 지환기 도입에 따른 용해도 우수
-이웃사슬간의 상호작용 증가에 따른 엑사이머 형성
전극 재료
·양극 소재
양극은 주로 정공을 주입하는 기능으로 배면발광에서는 ITO, IZO등을 사용하고 전면발광에서는 Al, Ag, Ni, Pt 등과 같은 반사율이 우수한 금속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반사율이 우수한 금속의 특성과 ITO 박막의 기능을 첨가한 Al/ITO(IZO), Ag/ITO(IZO), Ni/ITO(IZO)와 같은 이중층도 사용되고 있다. 정공주입층과의 계면장벽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4.7~5.1 eV 정도의 일함수, 표면처리, 전극표면의 거칠기(Roughness) 등이 고려되며, 배면발광의 경우 투과도 90% 이상, 전면발광의 경우 반사율이 60% 이상이 요구된다.
·음극 소재
배면발광에서 상용되는 음극소재는 주로 일함수가 작고 내구성이 있는 MgAg, LiF/Al 등이 사용된다. 음극 소재로 요구 되는 특성은 낮은 일함수, 수분 또는 공기 중에서 전극의 안정성이다.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LiF/Al 전극은 전자수송층과 음극사이에서 터널링 효과로 에너지 장벽이 낮아져 전자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전면발광용 음극재료로는 LiF/Al, Mg:Ag, LiF/Mg:Ag 등이 있으며, 투과율은 최소한 70% 이상이어야 한다
결론
이상에서 현재까지 상요되고 있는 OLED 소재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였습니다. OLED 소자개발에 있어서 소재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은 비용 측면에서 보면 5~8% 정도에 해당되나, 소재의 발전과 함께 최근에는 15~20% 이상의 효율향상 및 장수명화가 진행되므로 상용화를 위한 중요기술 분야라고 생각됩니다.
추천자료
삼성SDI와 NEC의 제휴
옵셋 리소그래픽 프린팅(Offset Lithographic Printing) 기법의 특징 및 공정법과 유기전자공...
조직설계변수와 조직구조 형태변화
PDP 기술 개발 동향
[전자종이]'제2의 종이혁명'으로 불리고 있는 전자종이(e-paper)의 모든 것 (전자종이의 개념...
삼성 SDI 기업경영 시스템 연구 보고서
삼성 SDI 기업경영 시스템 분석
디스플레이
이녹스,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LG생활건강 조직문화분석및 LG생활건강 인적자원관리,인사제도 분석 (직원인터뷰 첨부)
LG화학 마케팅사례 - 엘지화학의 산업마케팅 사례 및 전략 {LG화학 기업소개, 산업제품의 종...
현대 패션 제품에 나타난 콜라보레이션의 특징과 현황,현대패션제품의 산업 현황
삼성전자 디자인 경영 [Samsung Electronics Design Managemen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