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BIPV
● BIPV의 특징
● BIPV 시스템에 쓰이는 태양전지
● BIPV의 건축적 설계요소
● BIPV의 특징
● BIPV 시스템에 쓰이는 태양전지
● BIPV의 건축적 설계요소
본문내용
펌프의 열원으로 사용 될 수 있다.
- 액체식 시스템의 경우는 급탕 및 난방용 열원으로 활용 될 수 있다.
- 현재까지의 응용 분야는 대부분 저온 난방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Ⅱ. 자연채광
- 투명 및 반투명 PV 모듈은 발전과 함께 내부 공간에 자연광을 도입 시킬 수 있다.
- 내부 공간에 생성되는 은은한 확산광과 태양 전지로 인한 패턴형 그림자는 또 다른 공간 환경을 창출 할 수 있다.
Ⅲ. 차양 장치
- 최대의 직달 일사 차단 설치 각도가 최대의 발전 효율을 낼 수 있기 때문에 PV 모듈은 건물 차양 장치의 기능에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 할 수 있다.
- 가동형의 경우 담천공 상태에서는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발전 효율이 좋으며 자연광의 유입에도 방해를 주지 않는다.
- 차양 장치 하부의 공기층을 상부로 자유롭게 유동 할 수 있도록 고려하면 PV판 냉각 효과로 인 한 효율 증대를 기대 할 수도 있다.
Ⅳ. 자연형 태양열 설계
- 투명 또는 반투명 PV를 이용 할 경우 자연형 태양열 시스템과도 효과적으로 결합 될 수 있다.
⑨ 통합 과정의 기본 규칙
Ⅰ. PV 모듈에 부분적인 음영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 건물 구조물 상호간의 음영은 물론 모 듈 자체의 프레임에 의한 자체 음영도 배제 시키도록 고려해야 한다.
Ⅱ. PV 모듈 후면의 환기를 고려한다.
- Cristalline 계열의 PV 모듈은 20℃에서 최대의 효율을 발휘하며 온도가 상승 할수록 효율이 떨어진다. Thin film 아몰포스 전지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이 규칙이 적용 될 필요가 없다
Ⅲ. 모듈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 대부분의 PV 모듈 수명이20년 이상 보장되지만 1-2개의 모듈에 이상이 생길 경우 전체 모듈을 제거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착탈 이용이 하게 설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전기 배선도 연결 즉시 작동하도록 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Ⅳ. 모듈 표면의 청결 유지에 대한 고려를 한다.
- 경사형 모듈의 경우 대부분의 지역에서 강우 등을 통해 자연 청결이 유지 된다. 건조한 지역의 경우는 주기적인 청소 작업이 필요하다.
Ⅴ. 전기 결선의 용이성을 고려한다.
- 모듈의 신속한 설치 및 교체를 위해 용이한 결선 방식을 적용한다.
Ⅵ. 일사 또는 습기로부터 배선을 보호한다.
- 모든 결선은 방수가 필요하며 배선이 일사 및 자외선으로부터 경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 국내, 국외의 시공 사례
- 액체식 시스템의 경우는 급탕 및 난방용 열원으로 활용 될 수 있다.
- 현재까지의 응용 분야는 대부분 저온 난방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Ⅱ. 자연채광
- 투명 및 반투명 PV 모듈은 발전과 함께 내부 공간에 자연광을 도입 시킬 수 있다.
- 내부 공간에 생성되는 은은한 확산광과 태양 전지로 인한 패턴형 그림자는 또 다른 공간 환경을 창출 할 수 있다.
Ⅲ. 차양 장치
- 최대의 직달 일사 차단 설치 각도가 최대의 발전 효율을 낼 수 있기 때문에 PV 모듈은 건물 차양 장치의 기능에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 할 수 있다.
- 가동형의 경우 담천공 상태에서는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발전 효율이 좋으며 자연광의 유입에도 방해를 주지 않는다.
- 차양 장치 하부의 공기층을 상부로 자유롭게 유동 할 수 있도록 고려하면 PV판 냉각 효과로 인 한 효율 증대를 기대 할 수도 있다.
Ⅳ. 자연형 태양열 설계
- 투명 또는 반투명 PV를 이용 할 경우 자연형 태양열 시스템과도 효과적으로 결합 될 수 있다.
⑨ 통합 과정의 기본 규칙
Ⅰ. PV 모듈에 부분적인 음영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 건물 구조물 상호간의 음영은 물론 모 듈 자체의 프레임에 의한 자체 음영도 배제 시키도록 고려해야 한다.
Ⅱ. PV 모듈 후면의 환기를 고려한다.
- Cristalline 계열의 PV 모듈은 20℃에서 최대의 효율을 발휘하며 온도가 상승 할수록 효율이 떨어진다. Thin film 아몰포스 전지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이 규칙이 적용 될 필요가 없다
Ⅲ. 모듈의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 대부분의 PV 모듈 수명이20년 이상 보장되지만 1-2개의 모듈에 이상이 생길 경우 전체 모듈을 제거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착탈 이용이 하게 설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전기 배선도 연결 즉시 작동하도록 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Ⅳ. 모듈 표면의 청결 유지에 대한 고려를 한다.
- 경사형 모듈의 경우 대부분의 지역에서 강우 등을 통해 자연 청결이 유지 된다. 건조한 지역의 경우는 주기적인 청소 작업이 필요하다.
Ⅴ. 전기 결선의 용이성을 고려한다.
- 모듈의 신속한 설치 및 교체를 위해 용이한 결선 방식을 적용한다.
Ⅵ. 일사 또는 습기로부터 배선을 보호한다.
- 모든 결선은 방수가 필요하며 배선이 일사 및 자외선으로부터 경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 국내, 국외의 시공 사례
추천자료
기계공학 응용실험-DC 서보 모터의 제어 실험
[아주대 기계 공학 실험] 랩뷰(Labview) 기초 원리와 실습 실험
재료공학 실험 (마모)
[화학공학 실험] 브루스터(Brewster)의 법칙 - Polarization of light-Malus\'s law, phase p...
[기계공학 실험] DC모터 및 엔코더[ Encoder] - Matlab을 통한 PID 제어를 실습 - Encoder 용...
유전공학 실험 레포트
기계공학 응용실험 - 대류 열전달 실험
기계공학 실험 - 온도 측정
기계공학 실험 - 가속도 측정
기계공학 실험 - 길이 측정
전자공학 실험 - 논리 게이트의 특성 및 연산회로
전자공학 실험 - BJT의 특성과 바이어스회로
[기계공학 실험] 동력계(Dynamometer)를 이용하여 기초적인 엔진 시험
열공학 실험 - 태양전지 출력 특성 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