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PDP(Plasma Display Panel)의 정의 및 종류
Ⅱ. 플라즈마(Plasma)의 정의 및 원리
Ⅲ. PDP(Plasma Display Panel)의 구조 및 원리
Ⅳ. PDP(Plasma Display Panel)의 특징
Ⅴ. PDP(Plasma Display Panel)의 장·단점
Ⅵ. 검토 및 고찰
Ⅱ. 플라즈마(Plasma)의 정의 및 원리
Ⅲ. PDP(Plasma Display Panel)의 구조 및 원리
Ⅳ. PDP(Plasma Display Panel)의 특징
Ⅴ. PDP(Plasma Display Panel)의 장·단점
Ⅵ. 검토 및 고찰
본문내용
셀 피치는 이미 Monochrome PDP를 통해 구현된 바 있다. Color PDP도 같은 기술로 만들 수 있으나 지금까지 개발된 각사의 PDP 특성을 보면 셀 피치와 휘도는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어 현재 40인치 급 NTSC 방식의 PDP의 휘 도가 최대 350㏅/㎡임을 감안하면 고 휘도를 유지하면서 고해상도를 갖는 PDP를 만들기 위해서는 더욱 효과적으로 고온, 고밀도 플라즈마를 만드는 기술 이 필요하다.
12. 고전압 구동회로
현재 약 150∼ 200 V, 70 ∼ 80 kHz 의 전압과 주파수를 갖는 펄스가 PDP 구동에 이용되고 있어 구동에 고 내압 IC 가 필요하게 되어 구동 IC 의 가격이 총 패널가격에서 점하는 비율이 매우 높아 구동전압을 낮춤과 동시에 구동 방법의 개선을 통해 구동 IC가 점하는 비용 비율을 낮출 필요가 있다.
Ⅴ. PDP(Plasma Display Panel)의 장·단점
PDP(Plasma Display Panel)는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ELD(Electroluminescence Display)와 같은 여러 분야의 평판 디스플레이 중에서도, 대형화에 적합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PDP가 평판으로서 대형화가 가능한 이유는 구조가 두께가 각각 3㎜ 정도 되는 유리 기판을 2장 사용하여 각각의 기판위에 적당한 전극과 형광체를 도포하고 약 0.1∼0.2㎜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여 그 사이의 공간에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방법을 채택하기 때문이다. PDP의 두께는 42인치의 경우 8cm 안팎에 불과하다. 때문에 40인치 이상 대형화면에서도 36인치 형 브라운관 두께의 1/7, 무게는 1/2 이하로 얇고 가벼워 벽걸이가 가능해지는 등 설치와 공간 활용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PDP는 프로젝션TV나 LCD 등과는 달리 자기발광형 표시소자이기 때문에 시야각이 매우 넓다. 좌우상하 160도 이상의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은 어느 위치에서 보더라도 화상의 밝기나 선명도가 동일하다는 것이다. 브라운관식 TV는 전자총으로 발산되는 전자빔이 외부의 자기 또는 자장의 영향으로 영상의 찌그러짐과 색 번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PDP는 각 색 세포가 자체 발광을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자기, 자장의 영향을 받지 않아 고른 화질로 시청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PDP는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력소비량이 많으며, 열이 많이 발생한다. CRT의 전력소비량이 100W 남짓한 것에 반해 PDP의 전력소모량은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300W(42인치 기준) 정도로 CRT 전력소모량의 2배 이상이나 된다. 평판 디스플레이 중에서는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과 함께 고전압이므로 저 전압화, 저소비화가 앞으로의 과제이다.
Ⅵ. 검토 및 고찰
LCD, OLED, FED등의 다른 평판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였을 때, PDP에는 수많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방전으로 인한 전력의 소모량과 열 발생량이 크고, 그로인한 열화현상이 제일 큰 단점으로 꼽히고 있다. 이 단점들을 보안하기 위해 많은 기업과 전문가들이 연구를 계속하였고, 끝내 ‘더 크고, 더 얇고, 더 가볍고, 더 선명한’ PDP의 개발에 성공하였다. 또한 PDP 시장의 지속적이고, 비약적인 발전과 그를 통한 비용의 절감이 있기를 원한다.
CRT 백년대계를 LCD가 끌어내린 것과 같이 PDP가 그 뒤를 이을 것을 기대한다. 더불어 대한민국이 PDP와 평판 디스플레이를 통해 세계위에 우뚝 서는 ‘디스플레이의 종주국’으로 우뚝 서길 꿈꿔본다.
12. 고전압 구동회로
현재 약 150∼ 200 V, 70 ∼ 80 kHz 의 전압과 주파수를 갖는 펄스가 PDP 구동에 이용되고 있어 구동에 고 내압 IC 가 필요하게 되어 구동 IC 의 가격이 총 패널가격에서 점하는 비율이 매우 높아 구동전압을 낮춤과 동시에 구동 방법의 개선을 통해 구동 IC가 점하는 비용 비율을 낮출 필요가 있다.
Ⅴ. PDP(Plasma Display Panel)의 장·단점
PDP(Plasma Display Panel)는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ELD(Electroluminescence Display)와 같은 여러 분야의 평판 디스플레이 중에서도, 대형화에 적합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PDP가 평판으로서 대형화가 가능한 이유는 구조가 두께가 각각 3㎜ 정도 되는 유리 기판을 2장 사용하여 각각의 기판위에 적당한 전극과 형광체를 도포하고 약 0.1∼0.2㎜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여 그 사이의 공간에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방법을 채택하기 때문이다. PDP의 두께는 42인치의 경우 8cm 안팎에 불과하다. 때문에 40인치 이상 대형화면에서도 36인치 형 브라운관 두께의 1/7, 무게는 1/2 이하로 얇고 가벼워 벽걸이가 가능해지는 등 설치와 공간 활용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PDP는 프로젝션TV나 LCD 등과는 달리 자기발광형 표시소자이기 때문에 시야각이 매우 넓다. 좌우상하 160도 이상의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은 어느 위치에서 보더라도 화상의 밝기나 선명도가 동일하다는 것이다. 브라운관식 TV는 전자총으로 발산되는 전자빔이 외부의 자기 또는 자장의 영향으로 영상의 찌그러짐과 색 번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PDP는 각 색 세포가 자체 발광을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자기, 자장의 영향을 받지 않아 고른 화질로 시청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PDP는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력소비량이 많으며, 열이 많이 발생한다. CRT의 전력소비량이 100W 남짓한 것에 반해 PDP의 전력소모량은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300W(42인치 기준) 정도로 CRT 전력소모량의 2배 이상이나 된다. 평판 디스플레이 중에서는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과 함께 고전압이므로 저 전압화, 저소비화가 앞으로의 과제이다.
Ⅵ. 검토 및 고찰
LCD, OLED, FED등의 다른 평판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였을 때, PDP에는 수많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방전으로 인한 전력의 소모량과 열 발생량이 크고, 그로인한 열화현상이 제일 큰 단점으로 꼽히고 있다. 이 단점들을 보안하기 위해 많은 기업과 전문가들이 연구를 계속하였고, 끝내 ‘더 크고, 더 얇고, 더 가볍고, 더 선명한’ PDP의 개발에 성공하였다. 또한 PDP 시장의 지속적이고, 비약적인 발전과 그를 통한 비용의 절감이 있기를 원한다.
CRT 백년대계를 LCD가 끌어내린 것과 같이 PDP가 그 뒤를 이을 것을 기대한다. 더불어 대한민국이 PDP와 평판 디스플레이를 통해 세계위에 우뚝 서는 ‘디스플레이의 종주국’으로 우뚝 서길 꿈꿔본다.
추천자료
수학적 모델링과 공학문제
흙과 관련된 공학적 문제
[생명공학] 생명윤리와 인간복제에 대한 고찰
보건 의료 생명공학
[기계 공학 응용 실험] 5. 인장 실험 (A+자료)
[인간공학] 자판기, 세탁기, 손톱깍기, 진공청소기 vs 로봇청소기
[기계계측공학] 측정 장비 조사
[공학실험보고서] 인장시험
[Display 공학] TFT-LCD실험, AMOLED의 유기재료로 박막증착하여 특성비교 (PEDOT:PSS, PDY-132)
[건축공학] 내진설계법에 관해서
[기계계측공학] 측정 장비 조사 - 측정 장비 조사 & 휘트스톤 브릿지, 로드센서, 토크센서
** 지반공학 핵심 정리 (전범위)
[지반공학 실험] 일축압축시험(Unconfined Compression Test)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인장 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