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김일성 부음기사
■ 박정희 부음기사
■ 이승만 부음기사
■ 박정희 부음기사
■ 이승만 부음기사
본문내용
처리방법에 반대, 계속 휴전을 반대하다가 휴전성립 직전에 반공포로의 석방을 단행, 전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또한 1954년 자신의 경우에만 적용되는 종신대통령제 개헌안을 발의, 국회에서 1표 부족으로 부결되었는데, 사사오입의 해석논리를 변칙적으로 적용하여 번복, 통과시킴으로써 1956년 대통령에 3선되었다. 1958년 12월 차기 대통령선거에 대비하여 국가보안법 등 관계법령을 개정하고 경제시책의 빈곤으로 인한 특정재벌에 대한 특혜 등으로 국민의 지탄을 받기도 하였다. 1960년 3월 15일 여당과 정부가 전국적·조직적으로 부정선거를 감행하여 대통령에 4선되었으나 4·19 혁명으로 사임하게 되었다.
이승만 전 대통령은 광복 당시 뜨거운 반일 감정의 분위기에 발맞추어 반일의 대표자로서 귀국하여 정권을 잡게 되면 친일파들이 숙청 될꺼라 온 국민이 기대했지만 숙청은 커녕 되려 친일파와 연계해 가면서 정치를 전개해 국민들의 원성을 사게 되었다. 친일 반공을 이승만 전대통령 본인은 주창했지만 실제로는 친일파들이 이승만 대통령에게 정치자금을 제공했을 뿐 아니라 일본 관료들과 친일파들이 미국이 행정 부서에 편재되게 하는 오류를 범하면서 과거사 정리 작업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한국 현대사에서 지울 수 없는 오점을 남겼다. 자유당 창당 과정에 있어서도 민주적인 절차를 완전히 무시한채 무작위로 긁어모으는 행태를 함으로써 당원이 몇 만명이 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하였으며 또한 국회내 자유당과 외부 자유당중 외부 자유당 총재를 택함으로써 그간 유지해온 타 정당은 물론, 국회내의 사정은 외부 깡패 집단과 이승만 독재 추진 인물들이 대거 국회에 참여하는 등의 폐해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처럼 자유당은 창설 자체가 비 민주적이고 이승만의 권력 독재를 위한 하나의 방책에 불과하여서 국내 정당 정치의 후퇴를 가져왔고 3선 개헌안을 둘러싸고 개헌안이 통과되지 않을 듯 보이자 사사오입을 적용하여 개헌을 통과시키는등 무리수를 두다가 결국 4.19를 통해 사임하게 되었다.
하지만 친미 대통령이라고 알려진 것과는 달리 그는 식민지 시절때도 미국이라는 국가를 이용하여 해외에서 반식민지 운동을 추진하기도 하였으며 독립 정신을 교포들에게 고취시키기도 하였다. 한국이 미국에게 많은 경제적 원조와 안보적 도움을 받고 있었지만 미국에게 무조건적인 의존한 것이 아니라 도음을 받으면서도 항상 경계하고 미국을 이용하는 실리적 외교를 펼친 점은 분명 그의 업적 중 하나라 인정 받을만 하다. 즉 단순히 그의 행동을 친미(親美)라고 치부하기 보단 용미(用美)라는 관점에서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이는 향후 한국 외교 에서도 중요한 점으로 동아시아의 4강에 들러싸여 나라 잃은 설움과 그 과정을 누구보다 잘 알던 이승만 전 대통령이 한국이 강대국의 틈바구니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은 강대국간의 힘을 적절히 이용하고 조정해야 함을 알았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승만 전 대통령의 시신은 향후 한국으로 이송돼 국립묘지에서 가족장으로 치러질 예정이며 유족으로는 프란체스카 여사와 양자인 이인수씨가 있다.
이승만 전 대통령은 광복 당시 뜨거운 반일 감정의 분위기에 발맞추어 반일의 대표자로서 귀국하여 정권을 잡게 되면 친일파들이 숙청 될꺼라 온 국민이 기대했지만 숙청은 커녕 되려 친일파와 연계해 가면서 정치를 전개해 국민들의 원성을 사게 되었다. 친일 반공을 이승만 전대통령 본인은 주창했지만 실제로는 친일파들이 이승만 대통령에게 정치자금을 제공했을 뿐 아니라 일본 관료들과 친일파들이 미국이 행정 부서에 편재되게 하는 오류를 범하면서 과거사 정리 작업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한국 현대사에서 지울 수 없는 오점을 남겼다. 자유당 창당 과정에 있어서도 민주적인 절차를 완전히 무시한채 무작위로 긁어모으는 행태를 함으로써 당원이 몇 만명이 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하였으며 또한 국회내 자유당과 외부 자유당중 외부 자유당 총재를 택함으로써 그간 유지해온 타 정당은 물론, 국회내의 사정은 외부 깡패 집단과 이승만 독재 추진 인물들이 대거 국회에 참여하는 등의 폐해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처럼 자유당은 창설 자체가 비 민주적이고 이승만의 권력 독재를 위한 하나의 방책에 불과하여서 국내 정당 정치의 후퇴를 가져왔고 3선 개헌안을 둘러싸고 개헌안이 통과되지 않을 듯 보이자 사사오입을 적용하여 개헌을 통과시키는등 무리수를 두다가 결국 4.19를 통해 사임하게 되었다.
하지만 친미 대통령이라고 알려진 것과는 달리 그는 식민지 시절때도 미국이라는 국가를 이용하여 해외에서 반식민지 운동을 추진하기도 하였으며 독립 정신을 교포들에게 고취시키기도 하였다. 한국이 미국에게 많은 경제적 원조와 안보적 도움을 받고 있었지만 미국에게 무조건적인 의존한 것이 아니라 도음을 받으면서도 항상 경계하고 미국을 이용하는 실리적 외교를 펼친 점은 분명 그의 업적 중 하나라 인정 받을만 하다. 즉 단순히 그의 행동을 친미(親美)라고 치부하기 보단 용미(用美)라는 관점에서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이는 향후 한국 외교 에서도 중요한 점으로 동아시아의 4강에 들러싸여 나라 잃은 설움과 그 과정을 누구보다 잘 알던 이승만 전 대통령이 한국이 강대국의 틈바구니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은 강대국간의 힘을 적절히 이용하고 조정해야 함을 알았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승만 전 대통령의 시신은 향후 한국으로 이송돼 국립묘지에서 가족장으로 치러질 예정이며 유족으로는 프란체스카 여사와 양자인 이인수씨가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정치민주화의 사회적 기원(발표용)
한국 정치의 발전과 과제
정치에 대하여...
주한미군의 범죄문제와 기지촌 여성문제에 대해(A+레포트)
한국 안보의 역사적 전개와 한국 안보정책의 발전방향
독도문제의 일본측 주장에 대한 우리의 반론
역대대통령 리더십 비교연구
(PPT 발표자료)신문에 대해서
한일협정의 배경과 경과
광주민주항쟁과 유신체제
보수 & 진보 이념의 시작,한국의 특수성,한국의 진보(우파),한국의 보수(좌파).PPT자료
[유일한의 리더십] 유일한의 리더십 분석과 고찰
[정치문화론] 정치문화, 정치문화의 개념, 정치문화의 유형, 시민정치문화, 미국의 정치문화,...
스스로 버리는 우리역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