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작품의 구성 및 의의
이규보의 주장
<보한집>
<역옹패설>
이규보의 주장
<보한집>
<역옹패설>
본문내용
인물 ·시문(詩文) ·서화(書畵) 등을 비평한 글을 실었다. 또한 자신의 시문 약간과 책 끝에 이색(李穡)의 묘지명(墓地銘)도 실었다.
저자는 고려 말의 시(詩) ·문(文) ·사(辭)의 대가였고 경사(經史)에도 두루 통달한 문호였으므로 이 책에 실린 역대 시문(詩文)에 대한 비평은 한국 문학사상 큰 자리를 차지한다. 이인로(李仁老)의 《파한집(破閑集)》 및 최자(崔滋)의 《보한집(補閑集)》과 아울러 고려시대의 3대 비평문학서로 꼽히는 이 저서는 뒤에 조선시대 문학비평의 길잡이 구실을 한 고전적인 저작이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1605년(선조 38) 출간되었고, 1693년(숙종 19) 허경(許)이 목각본(木刻本)으로 간행한 것도 있다. 1971년에 남만성(南晩星)의 역본(譯本)이 을유문화사에서 나왔다.
저자는 고려 말의 시(詩) ·문(文) ·사(辭)의 대가였고 경사(經史)에도 두루 통달한 문호였으므로 이 책에 실린 역대 시문(詩文)에 대한 비평은 한국 문학사상 큰 자리를 차지한다. 이인로(李仁老)의 《파한집(破閑集)》 및 최자(崔滋)의 《보한집(補閑集)》과 아울러 고려시대의 3대 비평문학서로 꼽히는 이 저서는 뒤에 조선시대 문학비평의 길잡이 구실을 한 고전적인 저작이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1605년(선조 38) 출간되었고, 1693년(숙종 19) 허경(許)이 목각본(木刻本)으로 간행한 것도 있다. 1971년에 남만성(南晩星)의 역본(譯本)이 을유문화사에서 나왔다.
키워드
추천자료
북한문학사, 매월당문학, 연암문학
[군기물어][일본고전문학 군기물어][일본고전문학 군기물어중 평가물어]일본고전문학 군기물...
[집시법]집시법(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개정안의 현황, 집시법(집회및시위에관한법률)개정안의...
[종교][묵시문학][종교의 정의][종교와 문학][묵시문학의 정의][묵시문학의 특징][묵시문학의...
[문학교육][비교문학][문학교육 방법]문학교육의 의미, 문학교육의 예술성, 문학교육의 목적,...
[문학교육][반응중심문학교육]문학교육의 중요성, 문학교육의 교과서, 문학교육의 내용, 문학...
[고전주의 문학][고전주의][문학][풍자문학]고전주의 문학의 의미, 고전주의 문학의 성격, 고...
[고전주의 문학][프랑스문학][독일문학]고전주의 문학의 개념, 고전주의 문학의 특징, 고전주...
[미술관][미술관 기능][미술관 교육적 기능][미술관 행정][미술관 전시공간][미술관 관람자조...
시작품(시, 시문학)과 은유, 시작품(시, 시문학)과 사실주의, 시작품(시, 시문학)과 서정적 ...
[1950년대, 1950년대 여성국극, 1950년대 문학, 1950년대 시문학, 시의식, 소설, 모더니즘]19...
문학교육과 문학비평, 문학교사와 작가론
농민문학론 - 백철 <농민문학 문제>, 안함광 <농민문학 문제 재론>
[한국현대소설론] 소설사회학의 정의와 흐름 - 문학과 사회, 문학과 사회와의 관계 규명, 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