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회에 만연한 이러한 표현주의의 기조가 히틀러 파시즘 정권의 탄생을 묵인했다는 것이다. 발전된 영화 미학은 히틀러의 시대에 들어서 가장 극단적인 선전, 선동영화로 이용되었다. 이는 정부의 지원으로 성장한 독일 표현주의 영화의 필연적인 도착점이었을 수도 있다.
또 다른 비판은 이러한 과감한 방식이 영화만의 고유한 것이냐는 지적이다. 표현주의 영화의 세트와 분장은 표현주의 미술로부터 빌려왔으며, 연기는 표현주의 연극으로부터 빌려왔다. 결국 표현주의 영화는 영화만이 할 수 있는 양식을 개발하지 못한 채 당대의 위대한 예술들을 카메라로 담아내기만 했다고도 볼 수 있다. 에이젠쉬타인 등 소련 영화인들이 영화만의 편집을 통한 몽타주 기법을 발전시키고, 후대 영화인들이 이 두 양식을 만나게 하지 않았다면 표현주의 영화는 특정 시대에만 존재했던 기이한 경향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현재에는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처럼 과감한 표현주의 양식을 쓰는 영화들은 일부의 초현실주의 영화를 제외하고는 찾아보기 힘들다. 하지만 표현주의가 남긴 발자국은 아직도 깊게 남아있다. 현재에도 영화계에서 ‘미술팀’이라는 파트가 존재하는 것은 독일 표현주의 영화인들의 과감한 도전 덕분이었다.
또 다른 비판은 이러한 과감한 방식이 영화만의 고유한 것이냐는 지적이다. 표현주의 영화의 세트와 분장은 표현주의 미술로부터 빌려왔으며, 연기는 표현주의 연극으로부터 빌려왔다. 결국 표현주의 영화는 영화만이 할 수 있는 양식을 개발하지 못한 채 당대의 위대한 예술들을 카메라로 담아내기만 했다고도 볼 수 있다. 에이젠쉬타인 등 소련 영화인들이 영화만의 편집을 통한 몽타주 기법을 발전시키고, 후대 영화인들이 이 두 양식을 만나게 하지 않았다면 표현주의 영화는 특정 시대에만 존재했던 기이한 경향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현재에는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처럼 과감한 표현주의 양식을 쓰는 영화들은 일부의 초현실주의 영화를 제외하고는 찾아보기 힘들다. 하지만 표현주의가 남긴 발자국은 아직도 깊게 남아있다. 현재에도 영화계에서 ‘미술팀’이라는 파트가 존재하는 것은 독일 표현주의 영화인들의 과감한 도전 덕분이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