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을 바라보는 방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을 바라보는 방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품 개관
2. 과거의 짐들
3. 갠지스 강에서
4. 신을 바라보는 방식

본문내용

음이란 모든 것이 소멸되는 일”이라고 생각하지만 쓸쓸함과 미안함, 환생을 확인할 겸 인도 여행을 결심하면서 ‘기구치’, ‘누마다’ 등을 만난다. 하지만 그가 확인한 것은 환생은 없다는 사실이다. 다만 3인칭 서술자는 강에서 아내을 부르는 그를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강은 오늘까지 수많은 인간의 죽음을 보듬으면서 그것을 다음 세상의 실어 갔듯이” 자신의 목소리도 싫어 갔다고 강변의 바위에 걸터앉은 남자의 인생의 목소리도 실어 갔다.”
그렇다면 어느 정도 내세에 대해 생각하게 된 것인지도 모른다.
‘미쓰코’는 아내의 병실에서 만났지만 인도 여행을 통해서 깊은 대화를 나눈다. 그녀는 알 수 없는 공허감과 진정한 사랑에 대한 욕망 때문에 신을 믿는 ‘오쓰’를 유혹한다. 그녀는 마지막까지 신을 믿지 않는다. 심지어 ‘오쓰’와 수녀들에게 반감까지 드러낸다. 하지만 그녀 역시 ‘갠지즈 강’에서 정화 의식을 실천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기도한다.
“저마다의 사람들이 저마다의 아픔을 짊어지고 깊은 강에서 기도하는 이 광경입니다.”
“그 사람들을 보듬으며 강이 흐른다는 것입니다. 인간의 강. 인간의 깊은 강의 슬픔. 그 안에 저도 섞여 있습니다.”
그리고 공항에서 만약 ‘그 사람’이라면 죽었지만 다른 인간 즉 ‘수녀’와 ‘오쓰’에게 환생했다고 생각한다.
이 두 사람이 신을 믿게 되었는지 알 수 없다. 이 소설의 주요 공간인 인도는 부처가 불교를 설파한 곳이지만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를 믿는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인간의 불완전성이다. 신이 완전하다고 가정할 때 인간은 불완전하다. ‘간디’의 말처럼 이 불완전한 인간에 의해 전하는 모든 종교는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 이 불완전함은 제각기 자신이 옳다고 믿고, 자신들과 다른 이를 증오하면서 폭력을 가하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더욱이 사랑과 자비를 외치는 종교의 이름으로. 따라서 인도 여행객들이 ‘어머니의 강’에서 얻는 깨달음이 어떤 종교보다 인간적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인도의 여신은 온화한 모습과 무서운 모습을 동시에 지니는데, 그것은 탄생과 동시에 죽음도 포함하는 생명 전체의 움직임을 상징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종교도 마찬가지이다. 그것은 사랑과 자비이면서 증오와 폭력이기도 하다. 오직 가톨릭에서 이단시되는 ‘오쓰’만이 진실로 “우리의 병고를 짊어지고” 살아간다. 그래서 ‘오쓰’는 비록 “아름답지도 않고 위엄도” 없지만 인간의 슬픔을 떠맡고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1.10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17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