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강도 콘크리트
고강도 콘크리트의 제조
AE 콘크리트
경량콘크리트
중량콘크리트
고강도 콘크리트의 제조
AE 콘크리트
경량콘크리트
중량콘크리트
본문내용
다.
④ 다짐은 진동수가 10,000VPm 이상 내부진동기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⑤ 콘크리트의 상면은 굵은골재를 압입하도록 하여 마무리 한다. 이 경우 작업이 과대하기 쉬우므로 블리딩이 많아지므로 주의를 요한다. 상판상면에는 콘크리트 타설 후 30∼60분에 가끔 귀갑상(龜甲狀)의 플라스틱 수축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약 1시간 후에 탬퍼로 재마무리를 실시할 것을 예정하는 것이 좋다.
⑥ 충분히 침하된 후 타설, 집중 타설 금지
⑦ 골재 분리 방지 및 골재 떠오르지 않도록 주의
2) 경량기포 콘크리트
- 발포제에 의해 콘크리트 속에 무수한 기포를 분산시켜 중량을 감소시킨다.
- 기포 발생방법
① 가스 발생 혼합물
② 기포제(거품, 안정제)의 혼입, 공기 압입
③ 과잉수의 혼입(증발하면 기포형성)
3) 무세골재 콘크리트
① 모래 사용금지,
압축강도 50~150㎏/㎠
② 골재의 입도는 10~20㎜
단위 시멘트량은 180~250㎏/㎥
4) 톱밥 콘크리트
- 배합 ; 시멘트:모래:톱밥=1:1:1
경량콘크리트의 사용처
경량콘크리트는 구조용 이외에도 칸막이벽이나 차열용 등의 비구조용으로 사용된다.
제2차 세계대전 후 팽창혈암(膨脹頁岩)팽창점토 등의 인공경량골재의 발달에 의해 구조용의 고강도 경량콘크리트가 나타났다.
- 고강도 경량 콘크리트 적용
⑴ 초고층 빌딩에서 상부층의 하중 감소 목적으로 사용
⑵ Shell roof, dome roof, long span bridge, 대공간 roof
⑶ Prestress, precast 콘크리트 부재
⑷ 육상 구조물, 해상 구조물, 해상기지 base
중량콘크리트
중량콘크리트의 정의
콘크리트의 중량이나 비중은 주로 사용할 골재에 의해 변화되며 보통콘크리트(2.3t/m³)보다 무거운 것을 중량 콘크리트(차폐콘크리트)라 하고 2.5t/m³이상
중량콘크리트의 특성
중량 콘크리트는 강도나 내구성이외에 다음 성질이 추가로 요구됨.
어느 부분에서든 동일한 소요밀도 보유, 건조수축이나 온도응력에 의한 균열이 없어야함
방사선 조사에 의한 열팽창율이 적어야 함. 중량콘크리트의 특성 방사선 차페성능은 차폐모체의 중량에 비례하고 구조물 설계 시 방사선 조사에 의한 강도, 탄성계수, 크리프를 미리 파악해둠
(1) 강도. 탄성계수
장기간의 방사선 조사에 의한 강도변화검토
방사선조사에 의한 탄성계수, 인장강도의 변화 검토
(2) 크리이프
콘크리트의 크리이프는 온도가 상승하여 고온에 의한 건조의 영향으로 크리이프가 변화되며 방사선의 영향은 거의 없음
중량콘크리트 제조법
1)재 료
원자력 발전시설물은 공사가 장기에 걸쳐 진행되어 안정된 재료 공급이 필요하고,엄격한 품질관리가 요구됨
①시멘트
보통 시멘트도 가능해서 수화발생 저감, 경화수축이 작은 시멘트가 필요하기 때문에 중용열 시멘트, 플라이애쉬 시멘트, 고로 시멘트등을 사용함
②골 재
동일한 차폐성능을 갖기 위해 중량 골재사용 콘크리트보다 보통 골재를 사용하는 편이 경제적.
③혼화재료
중량 콘크리트는 비중 때문에 AE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단위 시멘트, 단위 수량을 감소하기 위해 감수제 사용함. 수화발열량 저감을 위해 플라이애쉬 사용함
2)배 합
W/C 60% 이하로 하되 45-55%가 많이 사용됨, 슬럼프 lOcm이하, 공기량 감소(비중)
3)시 공
- 콘크리트 제조에 소요 성능 확보가 가능한 공장선정
- 타설 구획, 이음부 위치, 형상등을 고려하여 일체성 있고, 분리되지 않도록 계획수립
- 양생을 장기에 걸쳐 진행하고, 온도 관리에 의한 양생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
중량콘크리트의 이용
중량콘크리트는 주로 방사선을 차폐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원자력 발전소시설, 병원X선실 등에 사용되고 있음.
④ 다짐은 진동수가 10,000VPm 이상 내부진동기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⑤ 콘크리트의 상면은 굵은골재를 압입하도록 하여 마무리 한다. 이 경우 작업이 과대하기 쉬우므로 블리딩이 많아지므로 주의를 요한다. 상판상면에는 콘크리트 타설 후 30∼60분에 가끔 귀갑상(龜甲狀)의 플라스틱 수축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약 1시간 후에 탬퍼로 재마무리를 실시할 것을 예정하는 것이 좋다.
⑥ 충분히 침하된 후 타설, 집중 타설 금지
⑦ 골재 분리 방지 및 골재 떠오르지 않도록 주의
2) 경량기포 콘크리트
- 발포제에 의해 콘크리트 속에 무수한 기포를 분산시켜 중량을 감소시킨다.
- 기포 발생방법
① 가스 발생 혼합물
② 기포제(거품, 안정제)의 혼입, 공기 압입
③ 과잉수의 혼입(증발하면 기포형성)
3) 무세골재 콘크리트
① 모래 사용금지,
압축강도 50~150㎏/㎠
② 골재의 입도는 10~20㎜
단위 시멘트량은 180~250㎏/㎥
4) 톱밥 콘크리트
- 배합 ; 시멘트:모래:톱밥=1:1:1
경량콘크리트의 사용처
경량콘크리트는 구조용 이외에도 칸막이벽이나 차열용 등의 비구조용으로 사용된다.
제2차 세계대전 후 팽창혈암(膨脹頁岩)팽창점토 등의 인공경량골재의 발달에 의해 구조용의 고강도 경량콘크리트가 나타났다.
- 고강도 경량 콘크리트 적용
⑴ 초고층 빌딩에서 상부층의 하중 감소 목적으로 사용
⑵ Shell roof, dome roof, long span bridge, 대공간 roof
⑶ Prestress, precast 콘크리트 부재
⑷ 육상 구조물, 해상 구조물, 해상기지 base
중량콘크리트
중량콘크리트의 정의
콘크리트의 중량이나 비중은 주로 사용할 골재에 의해 변화되며 보통콘크리트(2.3t/m³)보다 무거운 것을 중량 콘크리트(차폐콘크리트)라 하고 2.5t/m³이상
중량콘크리트의 특성
중량 콘크리트는 강도나 내구성이외에 다음 성질이 추가로 요구됨.
어느 부분에서든 동일한 소요밀도 보유, 건조수축이나 온도응력에 의한 균열이 없어야함
방사선 조사에 의한 열팽창율이 적어야 함. 중량콘크리트의 특성 방사선 차페성능은 차폐모체의 중량에 비례하고 구조물 설계 시 방사선 조사에 의한 강도, 탄성계수, 크리프를 미리 파악해둠
(1) 강도. 탄성계수
장기간의 방사선 조사에 의한 강도변화검토
방사선조사에 의한 탄성계수, 인장강도의 변화 검토
(2) 크리이프
콘크리트의 크리이프는 온도가 상승하여 고온에 의한 건조의 영향으로 크리이프가 변화되며 방사선의 영향은 거의 없음
중량콘크리트 제조법
1)재 료
원자력 발전시설물은 공사가 장기에 걸쳐 진행되어 안정된 재료 공급이 필요하고,엄격한 품질관리가 요구됨
①시멘트
보통 시멘트도 가능해서 수화발생 저감, 경화수축이 작은 시멘트가 필요하기 때문에 중용열 시멘트, 플라이애쉬 시멘트, 고로 시멘트등을 사용함
②골 재
동일한 차폐성능을 갖기 위해 중량 골재사용 콘크리트보다 보통 골재를 사용하는 편이 경제적.
③혼화재료
중량 콘크리트는 비중 때문에 AE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단위 시멘트, 단위 수량을 감소하기 위해 감수제 사용함. 수화발열량 저감을 위해 플라이애쉬 사용함
2)배 합
W/C 60% 이하로 하되 45-55%가 많이 사용됨, 슬럼프 lOcm이하, 공기량 감소(비중)
3)시 공
- 콘크리트 제조에 소요 성능 확보가 가능한 공장선정
- 타설 구획, 이음부 위치, 형상등을 고려하여 일체성 있고, 분리되지 않도록 계획수립
- 양생을 장기에 걸쳐 진행하고, 온도 관리에 의한 양생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
중량콘크리트의 이용
중량콘크리트는 주로 방사선을 차폐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원자력 발전소시설, 병원X선실 등에 사용되고 있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