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일시
3. 실험목적
4. 실험재료 및 방법
5. 실험결과 및 고찰
2. 실험일시
3. 실험목적
4. 실험재료 및 방법
5. 실험결과 및 고찰
본문내용
잰다
- 목재시험편을 장치 위에 두고 그 위에 추를 올려가며 변형량을 측정한다
- 결과 값을 토대로 탄성계수, 휨강도를 계산하고 비교해본다.
5. 실험 결과 및 고찰
옹이가 있는 목재 시험편
옹이가 없는 목재 시험편
추의 무게[kg]
변형량[mm]
추의 무게[kg]
변형량[mm]
0.5
0.06
0.5
0.06
1
0.18
1
0.08
1.5
0.25
1.5
0.16
2
0.46
2
0.26
2.5
0.66
2.5
0.34
3
0.71
3
0.43
4
0.79
4
0.52
5
1.05
5
0.78
-휨강도: 파괴되기 전에 지지할 수 있는 휨 부재의 최대강도
(P:하중, L:스팬길이, H:시편두께)
-탄성계수: 휨 부재가 하중에 의해 얼마나 처짐이 발생할 것인가를 예측
(p:패널의 양 모서리에 가해진 하중, h:패널두께(10.45mm), y:패널 중앙에서의 처짐, u:패널중앙으로부터 측정기 지지점까지의 거리)
전단탄성계수
옹이o
옹이x
460.33
460.33
306.89
690.49
331.44
517.87
240.17
424.92
209.24
406.17
233.41
385.39
279.69
424.92
263.05
354.10
옹이가 없는 목재가 옹이가 있는 목재보다 변형량이 적었다. 같은 Δy일 때, Δx를 비교해보면 옹이가 있는 목재의 값이 더 큼을 알 수 있다.
옹이의 기계적 성질에 대한 영향은 주로 옹이 주위를 둘러싼 뒤틀린 목리 때문이다. 옹이로부터 많이 떨어진 위치에서의 응력은 목리와 평행방향으로 향한다. 옹이 인접지역에서는 목리와 직각방향의 인장응력과 목리방향으로 전단응력을 보인다.
- 목재시험편을 장치 위에 두고 그 위에 추를 올려가며 변형량을 측정한다
- 결과 값을 토대로 탄성계수, 휨강도를 계산하고 비교해본다.
5. 실험 결과 및 고찰
옹이가 있는 목재 시험편
옹이가 없는 목재 시험편
추의 무게[kg]
변형량[mm]
추의 무게[kg]
변형량[mm]
0.5
0.06
0.5
0.06
1
0.18
1
0.08
1.5
0.25
1.5
0.16
2
0.46
2
0.26
2.5
0.66
2.5
0.34
3
0.71
3
0.43
4
0.79
4
0.52
5
1.05
5
0.78
-휨강도: 파괴되기 전에 지지할 수 있는 휨 부재의 최대강도
(P:하중, L:스팬길이, H:시편두께)
-탄성계수: 휨 부재가 하중에 의해 얼마나 처짐이 발생할 것인가를 예측
(p:패널의 양 모서리에 가해진 하중, h:패널두께(10.45mm), y:패널 중앙에서의 처짐, u:패널중앙으로부터 측정기 지지점까지의 거리)
전단탄성계수
옹이o
옹이x
460.33
460.33
306.89
690.49
331.44
517.87
240.17
424.92
209.24
406.17
233.41
385.39
279.69
424.92
263.05
354.10
옹이가 없는 목재가 옹이가 있는 목재보다 변형량이 적었다. 같은 Δy일 때, Δx를 비교해보면 옹이가 있는 목재의 값이 더 큼을 알 수 있다.
옹이의 기계적 성질에 대한 영향은 주로 옹이 주위를 둘러싼 뒤틀린 목리 때문이다. 옹이로부터 많이 떨어진 위치에서의 응력은 목리와 평행방향으로 향한다. 옹이 인접지역에서는 목리와 직각방향의 인장응력과 목리방향으로 전단응력을 보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