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상동맥 질환
관상동맥의 구조
CAOD 분류
관상동맥 조영술
관상동맥 조영술 결과지
TIMI & TMPG
관상동맥의 구조
CAOD 분류
관상동맥 조영술
관상동맥 조영술 결과지
TIMI & TMPG
본문내용
CAOD(coronary artery obstructive disease)
: 동맥 경화증으로 인한 관상동맥의 협착증으로 인해 심근 일부의 혈류공급에 장애(허혈)가 생기는 병변
대표적으로 angina, MI 및 돌연사를 포함
관상동맥 구조
LM : Left Main coronary artery
LAD :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pLAD : posterior LAD
mLAD : mid LAD
dLAD : disital LAD
LCX : Left Circumflex artery
pLCX, mLCX, dLCX
RCA : Right Coronary Artery
pRCA, mRCA, dRCA
CAOD 분류
CAOD 1vd
LAD, LCX, RCA 중 한 곳이 70% 이상 stenosis가 있는 경우
(다른 두 곳은 50% 미만이어야 함)
CAOD 2vd
LAD, LCX, RCA 중 두 곳이 50% 이상 stenosis가 있는 경우
(LM에 stenosis가 있는 경우 : 2vd)
CAOD 3vd
LAD, LCX, RCA 중 세 곳 모두 50% 이상 stenosis가 있는 경우
: 동맥 경화증으로 인한 관상동맥의 협착증으로 인해 심근 일부의 혈류공급에 장애(허혈)가 생기는 병변
대표적으로 angina, MI 및 돌연사를 포함
관상동맥 구조
LM : Left Main coronary artery
LAD :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pLAD : posterior LAD
mLAD : mid LAD
dLAD : disital LAD
LCX : Left Circumflex artery
pLCX, mLCX, dLCX
RCA : Right Coronary Artery
pRCA, mRCA, dRCA
CAOD 분류
CAOD 1vd
LAD, LCX, RCA 중 한 곳이 70% 이상 stenosis가 있는 경우
(다른 두 곳은 50% 미만이어야 함)
CAOD 2vd
LAD, LCX, RCA 중 두 곳이 50% 이상 stenosis가 있는 경우
(LM에 stenosis가 있는 경우 : 2vd)
CAOD 3vd
LAD, LCX, RCA 중 세 곳 모두 50% 이상 stenosis가 있는 경우
추천자료
Med - 협심증
심근경색증
응급실케이스(협심증케이스)
협심증 문헌고찰
심근경색(MI)
급성 심근경색케이스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성인간호] 협심증 문헌고찰
협심증의 형태와 원인 증상 및 진단과 관리와 환자교육 및 간호과정에 대해서
[질환(질병)][순환계질환]질환(질병)과 순환계질환, 근골격계질환, 질환(질병)과 심혈관계질...
협심증 전반에 대한 검토
[성인간호학][Kawasaki][가와사키] 문헌고찰,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심근경색 케이스
[스트레스관련장애] 스트레스와 관련된 신체장애 유형
급성 심근경색증 케이스 스터디 (Myocardial infarction) - 심근경색증 케이스, 심근경색증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