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Lattice
Miller Index
-참고문헌
Miller Index
-참고문헌
본문내용
향을 나타내는 3개의 정수로써,
(hkl), {hkl} : 면
, [uvw] : 방향 (결정방향은 결정면의 법선 방향이다.)
{hkl}과 [uvw]는 (hkl)과의 group으로 특성이 같은 것들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001}이면 (100),(010),(001)을 뜻한다.
-계산(식 유도)
※밀러지수가 0인 경우
예를 들어 (1 0 0)인 경우
Ex1)
A=3, B=4, C=2인 경우 a=1, b=2, c=1이고 abc와 ABC를 알았으므로
,
에서 hkl에 대해 각각 정리하면
따라서, (4 3 6)이다.
Ex2)
밀러 지수를 알아내는 쉬운 정형화된 방법
1. 세 접점을 적는다.
2. 세 접점의 역수를 취한다.
3. 역수의 분모 최소공배수를 곱하여 정수형으로 정리한다.
ex) 어떤 면이 x축과 3, y축과 1, z축과 5 에서 만나는 점을 생각
1. 3,1,5
2. 1/3, 1. 1/5
3. 5, 15, 3
즉, 위 평면의 밀러지수는 (5,15,3)이 된다.
※참고자료※
<결정>
결정은 크게 FCC(면심입방), BCC(체심입방), HCP(최밀 육방)으로 나눌 수 있다.
<육방정계의 지수>
<28개의 브라베이 격자?>
결정에는 총 7개의 결정계와 각각의 4개의 P, C, F, I 유형(Hermann-Mauguin기호)이 존재하여 브라베이 격자는 총 28개가 되어야 하지만 겹치는 것을 제외하고 대칭요소를 부합하는 것을 뺀 것이 14개의 브라베이 격자(14 Bravais Lattice)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러지수의 표시>
(hkl), {hkl} : 면
{hkl}과 [uvw]는 (hkl)과
-계산(식 유도)
※밀러지수가 0인 경우
예를 들어 (1 0 0)인 경우
Ex1)
A=3, B=4, C=2인 경우 a=1, b=2, c=1이고 abc와 ABC를 알았으므로
,
에서 hkl에 대해 각각 정리하면
따라서, (4 3 6)이다.
Ex2)
밀러 지수를 알아내는 쉬운 정형화된 방법
1. 세 접점을 적는다.
2. 세 접점의 역수를 취한다.
3. 역수의 분모 최소공배수를 곱하여 정수형으로 정리한다.
ex) 어떤 면이 x축과 3, y축과 1, z축과 5 에서 만나는 점을 생각
1. 3,1,5
2. 1/3, 1. 1/5
3. 5, 15, 3
즉, 위 평면의 밀러지수는 (5,15,3)이 된다.
※참고자료※
<결정>
결정은 크게 FCC(면심입방), BCC(체심입방), HCP(최밀 육방)으로 나눌 수 있다.
<육방정계의 지수>
<28개의 브라베이 격자?>
결정에는 총 7개의 결정계와 각각의 4개의 P, C, F, I 유형(Hermann-Mauguin기호)이 존재하여 브라베이 격자는 총 28개가 되어야 하지만 겹치는 것을 제외하고 대칭요소를 부합하는 것을 뺀 것이 14개의 브라베이 격자(14 Bravais Lattice)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러지수의 표시>
키워드
추천자료
의사결정학습
정책결정이론, 한국 정책형성의 문제, 재벌문제와 재벌정책
결정화(Crystallization) 정리
물류의사결정모형의 분류와 SCM에서의 역할(e-SCM의 구축과 운용 등 참조)
자기결정이론과 모델에 대한 비판
Cameron(2000)의 ‘Value, Be, Do 윤리적 의사결정 모형’을 활용하여 가설적인 윤리적 딜레마 ...
[소비자행동][소비자][구매의사결정][소비트랜드][소비경향]소비생활의 중요성, 소비자행동의...
[합리성][합리적][제도주의][기대형성학파][정책결정][정보시스템]경제의 합리성, 합리적 소...
[파생상품][파생상품 유형][회계처리][가격결정]파생상품의 개념, 파생상품의 탄생배경, 파생...
[산업경쟁력, 산업경쟁력 의의, 산업경쟁력 결정요인, 산업경쟁력 강화, 산업경쟁력 사례, 산...
[장단기금리격차, 장단기금리격차 의미, 장단기금리격차 결정이론, 장단기금리격차 원리, 통...
[노사관계론 4공통] 자신이 현재 근무하고 있거나 경험했던 ‘근로조건‘의 결정에 영향을 미친...
외식산업창업및경영_고깃집 창업 시 삼겹살의 가격을 학습자님의 임의로 결정하여 메뉴가격 ...
의사결정 [의의 개념 단계 개인적 집단적 조직적 합리적 모형 만족모형 점증모형 혼합관조 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