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주승계의 원인 및 호주가 된 연월일
_ 2. 전호주의 성명 및 전호주와 호주와의 관계
_ 3. 호주승계인이 전호주와 본적을 달리하는 경우에는 그 취지 및 본적의 표시
_ 4. 선순위의 호주승계인이 호주승계권을 포기한 때에는 그 취지와 포기자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주제도를 외국의 가장제 등과 비교할 때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호주제에서는 호주지위가 승계 된다는 점이다. 1990년 민법 개정으로 인하여 강제적 신분상속으로서 호주상속이 임의적 호주승계로 전환되어(제980조 이하) 호주승계권을 포기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주제가 신분관계를 일방적으로 형성되는 측면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는 가족제도를 법제화하는 과정에서 부득이한 것일 뿐만 아니라 임의분가, 호주승계권의 포기 등 이를 완화하는 제도를 두고 있으므로 개인의 존엄을 존중하지 않는 것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주란 한 집안의 가장으로서 가족구성원의 우두머리이며 가족을 통솔하는 사람을 말 爛求. 개정전 호주상속제는 본인의 의사와는 관께없이 장손이 호주가 되었다. 그러나 개정후에는 호주승계 순서의 변화는 없지만 호주승계권을 포기하고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주승계권의 포기) 호주승계권은 이를 포기할 수 있다.
[전문개정 1990.1.13]
제991조 삭제 <2005.3.31>
제992조 (승계인의 결격사유<개정 1990.1.13>) 다음 각호에 해당한 자는 호주승계인이 되지 못한다.<개정 1990.1.13>
1. 고의로 직계존속,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