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칸은 어칸 중앙에 기둥을 세운 점이며, 정면에서도 중앙칸에 2개의 샛기둥을 사용하였다.
전후면 변간 평균 8.87 곡척 ( 268.73cm)
전후면 어간 평균 17.74 곡척 ( 537.46cm)
동서면 변간 평균 8.81 곡척 ( 266.93cm)
동서면 어간 평균 9.76 곡척 ( 295.79cm)
전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3.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칸에 머름을 두었을 뿐 매우 소박하고 절제된 형태를 띠고 있다. 소요정은 숙종, 성종, 선조, 인조 등의 글씨가 걸려 있었다는 ?궁궐지?의 기록으로 볼 때 옥류천 주변의 정자 중 특별히 사랑을 받은 건물로 보인다.
Ⅵ. 맺음말
창덕궁은 조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8.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칸 거리가 크고 기둥 높이도 높아 건물이 당당하고 안정감 있게 지어졌다. 지붕은 팔작 형식인데 지붕의 물매는 후대 건물에 비하여 완만하다. 예로부터 건물의 구조는 단면에 위치한 도리의 수를 셈하여 말하는데 이 집은 소위 9량집으로
|
- 페이지 7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칸 등이 모두 같은 규모로 되어 있어 정문인 중층의 광화문을 제외하고는 이들 세 문은 모두 규모나 가구.구조수법(架構.構造) 등을 같게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맺음말>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느끼고, 느끼는 만큼 사랑한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