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간연장형 특수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율도 매우 낮아, 휴일보육은 2.1%, 시간제 보육은 3.7%, 야간보육은 4.4%에 그쳤다. 방과후 보육을 실시하는 곳도 9.4%에 불과했으며, 방과후보육 아동수는 5명 이하 22.1%, 6~10명 26.5%, 11~15명 22.1% 등의 분포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육하는 시간연장 보육시설은 4,666개소로 전년 대비 756개소 증가하였고 보육아동도 22,848명으로 6, 570명 증가하였다.
〈표 9〉 특수 취약 보육시설 운영 현황(단위 : 명, 개소)
1) 아동 수는 특수시설 유형별로 해당 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6.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육프로그램 개발 장기계획 수립
- 우수 프로그램 보급 확대
야간.휴일.24시간 등 시간연장형 특수보육서비스를 공단.
특수보육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시설비, 인건비 등을 예산에서 지원.
-문제 아동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
문제 아동들의 정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육시설을 운영할 수 있도록 관련법을 개정해야 한다. 학령기 아동의 보육비용을 가구의 소득에 따라 차등 지원하고 보육시설에 대한 인건비, 운영비를 지원할 수 있는 재정을 확충해야 한다.
4. 시간제 및 연장, 휴일 보육서비스 등의 현황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8.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동을 맡도록 되어 있어 수적으로 부족하나, 장애아동의 지역적 분포가 고르지 않아 시설설립에 어려움이 많다. 그리고 부모의 근무시간이 야간 또는 불규칙하거나 부모가 병으로 입원했다거나 하는 불가피한 경우 필요한 특수보육시설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6.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