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험에서는 응축액을 모으는데 사용한다.
⑤ 메스플라스크 (20)
⑥ 메스실린더
Fig 8. 메스플라스크
- 메스플라스크는 액체의 정확한 부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번 실험에서는 가열용 맨틀에서 가열하는 플라스크로 사용된다.
Fig 9. 메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0.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값과 이론값을 비교해 오차율을 계산해보자.
- 40wt% 에탄올 수용액의 비휘발도
→
FIg 4. 40wt% 에탄올 수용액과 유출액의 조성 의 계산
측정값
수용액
잔류액
유출액
40wt% 실험값
53.00
25.76
76.48
40wt% 이론값
53.00
39.5
78.04
오차율 (%)
-
34.78%
1.999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0.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 방법
(1) 니켈판과 황동판의 무게를 각각 측정한다.
(2) 탈지세척 과정을 거친다.
(a) 수산화나트륨 () 4mol을 제조하여 전극을 세척한다.
(b) 5% (v/v) 사이안화나트륨 () 용액에 5초간 담근 후 증류수로 충분히 세척한 다.
(c) 5% (v/v) 염화수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0.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 후 혹시 미지시료를 두 가지가 아닌 세 가지, 혹은 그 이상의 색으로 섞어도 이번 실험처럼 각각 분리되어 여러개의 시료점이 나타날지 궁금해졌다.
Reference
세계대백과사전/동아출판사/1992년 출판/11쇄 발행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9.07.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되었다. 만약 직접 저항 값을 측정해야 할 때가 오면 오차범위를 잘 생각해서 적용해야함을 알게되었다.
4) 실험 후 토의
오차가 크게 발생한 경우가 나와 실망했는데 이유를 생각해보면 일일이 손으로 측정해야하고 아주 살짝만 움직여도 이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6.0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에서는 급격히 단면적이 변하는 곳의 구석에서는 와류와 같은 회전유동이나 압축성 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론값과 실험값은 필연적으로 차이가 나타나게 되며, 균일유동이 아니므로 관 한부분에서 튜브로 연결하여 측정한 값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3.10.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과 이론은 일치 하였다. 하지만 실험적 오차가 있어서 인지 그래프 상으로는 이론과 달리 2번 꺽이는 지점이 발생하였다.
오차가 발생한 원인으로는
물의체적을 눈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비커에 담겨잇는 양을 측정 하는 과정에서의 오차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3.10.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른 오차가 생긴 것 같다. 추가 달려있는 각도기 등 수평여부를 좀 더 정확히 알 수 있는 실험기구와 정확한 전류를 흘리고 정확한 무게의 분동이 있었다면 실험에서 측정된 값이 좀 더 이론값에 가까워질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2.10.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을 시작한지 2시간이 넘어서 농도를 재었기 때문에 정류를 시작한지 충분한 시간이 지나서 한 두 번의 농도 측정으로 마칠 수 있었다. (상부 생성물을 받는데 상부 생성물 탱크에서 받는 것보다 증기가 응축액이 되어 나오는 것을 받는 것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측정한 유속은 층류와 전이영역, 난류 모두에서 이론적 범위와 맞았기 때문에 비교적 성공적인 실험이었지만 의 범위 자체가 매우 넓기 때문에 매우 정확히 실험했다고 할 수는 없다. 오차가 생겼다고 생각하는 원인들은 우선 유속을 측정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0.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