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경양식, 즉, 후원조경과 사괴석을 쌓아 올인 노단식 화단조경과 방지, 중도의 호안이 주요 양식으로 정착하는 시기이다. 그리고 민간정원이 발달했다.
Ⅳ. 한국 근현대 조경사
조선의 개항과 함께 서구식 조경 양식이 본격적으로 소개되고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7.1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상
Ⅱ. 한국의 정원
1. 한국 정원의 역사
2. 한국 정원의 특성
3. 한국 정원의 양식사적 분류
Ⅲ.일본의 정원
1. 일본 정원의 역사
2. 일본 정원의 특성
3. 일본 정원의 양식사적 분류
결론
참고 도판
참고 문헌
도판 목록
|
- 페이지 3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3.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본을 강하게 만든 문화코드 16』, 나무와 숲
김종문, 『일본의 문화와 종교정책』, 신원문화사, 1997
김재엽, 『일본의 문화와 예술(뉴밀레니엄의 테마 21)』, 한누리미디어 2000
박전열 이영 공저, 『일본전통문화론』,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본인과 일본문화의 이해」김흥국, 보고사(2001)
-「일본문화 속으로」 박화진 김병두, 일본어 뱅크(2002)
-「일본문화의 이해」 김문길,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1999)
▶ 참고 Web Site
- http://www.xpert.co.kr/
- http://www.jls.co.kr/
- http://www.japanem.or.kr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경양식
1) 임천중도식(林泉中島式) 정원
2) 침전건축식(寢殿建築式) 조경
3) 회유임천식(回遊林泉式) 정원조경
4) 고산수식(高山水式)정원
5) 다정(茶庭)
6) 에도임천식 (江戶林泉式) 정원
7) 축경식(縮景式)조경
2. 중국식 조경(中國式 造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