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향가 도솔가(통일신라시대), 향가 제망매가(통일신라시대), 향가 처용가(통일신라시대), 향가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통일신라시대), 향가 안민가(통일신라시대), 향가 찬기파랑가(통일신라시대) 분석
Ⅰ. 향가 도솔가(통일신라시대)
1.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리셔의 모리는 뫼의 선행 형태, 보현십원가에서의 邀理를 마리, 뫼시리 등으로 읽던 것을 극복하면서 얻을 수 있었던 귀중한 형태다.
Ⅲ. 통일신라시대 제망매가(향가)
1. 제망매가의 원문
生死路隱
此矣有阿米次 兮伊遣
吾隱去內如辭叱都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지 않겠다고 약속하였는데, 이 때 처용이 처음 부른 노래를 ‘처용가’라 하고, 그 춤을 ‘처용무’라 한다.
Ⅴ. 찬기파랑가(통일신라시대의 향가)
1. 찬기파랑가의 원문과 해독
咽鳴爾處米 열치고
露曉邪隱月羅理 나타난 달이
白雲音遂于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르는 사람이 없게 되자, 왕이 더욱 그를 공경했다. 다시 비단 100필을 주어 큰 정성을 표시했다.
Ⅲ. 향가 처용가(통일신라)
1. 처용가의 원문
處 容 歌
東 京 明 期 月 良
夜 入 伊 遊 行 如 可
入 良 沙 寢 矣 見 昆
脚 烏 伊 四 是 良 羅 ⇒ 역신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5.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죽지랑가
득오
효소왕
8구체
삼국 통일에 공헌한 죽지랑을 추모한 노래
헌 화 가
어느
노인
성덕왕
4구체
아름다운 수로 부인에게 꽃을 바치며 부른 노래
원 가
신충
효성왕
10구체
옛 약속을 잊은 임금을 탓하며 부른 노래
제망매가
월명사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