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향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문학 향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향가란

2. 향가 내용의 특징

3. 삼대목

4. 삼국유사

5. 균여전

6. 향가의 작가

7. 작품
(1) 처용가
(2) 원왕생가
(3) 헌화가
(4) 서동요
(5) 찬기파랑가
(6) 도솔가

본문내용

왕이 말했다. "이미 인연이 있는 중으로 뽑혔으니 향가라도 좋소." 이에 월명이 도솔가兜率歌를 지어 바쳤으니 그 가사는 이러하다. 이것을 풀이하면 이렇다....(생략)
민간에서는 이것을 산화가라고 하지만 잘못이다. 마땅히 도솔가라고 해야 할것이다. 산화가는 따로 있는데 그 글이 많아서 실을 수 없다. 이리하여 이내 해의 변괴가 사라졌다. 왕이 이것을 가상히 여겨 품다品茶 -좋은 차- 한 봉과 수정염주 백 팔개를 하사했다. ...(생략)...
解曰, 龍樓此日散花歌,
桃送靑雲一片花.
殷中直心之所使,
遠邀兜率大僊家
용루에서 오늘 산화가 불러,
청운에 한 송이 꽃을 뿌려 보내네.
은근하고 정중한 곧은 마음이 시키는 것이어니,
멀리 도솔대선을 맞으라
정의 -신라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에 걸쳐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서 표기한, 즉 향찰식 문자로 제작한 시가
현전 작품 - 삼국유사 - 14수, 균여전 - 11수
12세기초에 고려 예종이 지은 도이장가, 12세기 중엽에 정서가 지은 정과정곡은 그 형식이 10구체 향가와 비슷하다는 점에서 향가의 잔영으로 본다.
형식 - 4구체, 8구체, 10구체
작가와 내용 - 집단 가무에서 개인 서정시로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발전된 양식이라고 볼 수 있는 향가는 내용면에서 신앙, 축원, 찬송 등의 불교적 색채가 짙은 노래와 서정적인 연모, 애원, 치국의 이상 등을 노래한 것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현전하는 작품들만을 놓고 보면 불교적 색채가 짙은 것이 많으며, 작가로는 승려, 화랑, 여류, 무명씨 등 여러 계층을 보이지만 승려가 가장 많다.
문학사적 의의 - 향가는 통일 신라 이후 한반도 전역에 걸쳐 확산되었고, 민족 문학으로서의 개성을 뚜렷이 형상화한 귀중한 문학적 유산이라 하겠다. <삼대목>이라는 향가집을 편찰할 만큼 그 성세도 대단하였지만, 한자를 받아들여 그것을 우리 것으로 소화한 향찰 문자만 보아도 강한 주체성을 엿볼 수 있다. '도솔가'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는 이 문학 양식은 주제와 사상적 다양성을 보여 주면서, 그리고 형태적 분화를 거치면서 신라의 대표적 문학 양식으로 자리를 굳혀 갔다. 신라인들은 이 문학 양식에서 고유의 토속 신앙과 접합된 불교적 신앙을 상대의 세계관 속에 표백시켰던 것이다. 숭고한 이상 추구를 주된 내용으로 했던 이 문학 양식은 수사면에서는 소박하고 깊이가 있어 원만하고 차원 높은 신라인의 정신 세계를 그렸다. 향가는 우밀 문학의 주체성을 보여 주면서 민족 정신과 정서를 바탕으로 하여작 품
지은이
연대
형식
내 용
서 동 요
백제 무왕
진평왕
4구체
선화공주를 아내로 맞고자 아이들에게 퍼뜨린 내용
참요, 동요, 最古의 향가, 민요가 동요로 정착한 유일한 노래. 익산 미륵사 연기 설화
혜 성 가
융천사
진평왕
10구체
혜성을 물리치자 왜병들도 돌아감
풍 요
만성
남녀
선덕 여왕
4구체
커다란 불상을 만들고자 성 안의 남녀가 진흙을 운방하며 부른 노동요
원왕생가
광덕
문무왕
10구체
서방정토에 태어나기를 갈구함
모죽지랑가
득오
효소왕
8구체
삼국 통일에 공헌한 죽지랑을 추모한 노래
헌 화 가
어느
노인
성덕왕
4구체
아름다운 수로 부인에게 꽃을 바치며 부른 노래
원 가
신충
효성왕
10구체
옛 약속을 잊은 임금을 탓하며 부른 노래
제망매가
월명사
경덕왕
10구체
월명사가 죽은 누이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재를 올릴 때 부른 추도의 노래
도 솔 가
월명사
경덕왕
4구체
해가 둘이 나타나는 변괴를 미륵불을 맞아 물리치고자 부른 노래
찬기파랑가
충담사
경덕왕
10구체
화랑인 기파랑을 기린 노래
안 민 가
충담사
경덕왕
10구체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관련해서 표출된 정치적 이념의 노래
천수대비가
희명
경덕왕
10구체
눈 먼 딸을 위해 부른 노래
우 적 가
영재
원성왕
10구체
도적의 무리를 만나 지어 부른 노래
처 용 가
처용
헌강왕
8구체
역신을 물리칠 때 부른 벽사의 노래
보현십원가
균여
고려
광종
10구체
불교의 교리를 대중에게 펴기 위해서 지은 노래
향 가 계 시 가
도이장가
예종
예종
8구체
서경에 행행했을 때, 팔관회에서 국초 공신 김낙, 신숭겸 두 장군의 가상회를 보고 그 덕을 찬양한 추도의 노래로 평산 신씨 장절공유에 전한다.
정 과 정
정서
의종
10구체
인종의 총애를 받다가 의종이 즉위하자 조정의 참소로 동래에 귀양 가 있었는데, 약속한 소명이 오래도록 내리지 않아 임금을 연모하고 억울함을 하소연한 연군지사. 악곡명은 삼진작으로 악학궤범에 전한다.
꽃피운 민족 문화의 유산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2.23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62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