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동(動動)
목 차
Ⅰ.머리말
Ⅱ. 어휘해석
가.전체해석
나. 어휘해석
Ⅲ. 동동의 시상구조
Ⅶ. 결론
참고문헌
====
Ⅰ.머리말
<동동>은 『악학궤범』에 실려 있는 고려시대의 노래이다. <동동>은 송축과 애련, 계절의 변화에 따라 일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6.09.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동(動動)」
[머리말]
「동동」(動動)은 조선조 영조 35년(1759년)에 편찬된 『대악후보(大樂後譜)』권 7권에 아박무에 인 음악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에 앞서서 성종 23년(2492년)에 편찬된 『악학궤범(樂學軌範)』권 3에 「동동」이 고려시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9.03.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動動 (동동)
1. 내용
德으란 곰예 받고, 福으란 림예 받고,
(덕은 뒤에 바치옵고, 복은 앞에 바치옵고)
德(덕)이여 福(복)이라 호 나라 오소다.
(덕이여 복이여 하는 것을 바치러 오십시오.)
아으 動動다리.
正月(정월) ㅅ 나릿 므른 아으 어져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동’을 악기의 의성으로 보고 있다.
Ⅱ. 작품 분석
1. 원문
德으란 곰예 받잡고 福으란 림예 받잡고
德이여 福이라 호 나라 오소다
아으 動動다리
正月ㅅ 나릿므른 아으 어져 녹져 논
누릿 가온 나곤 몸하 올로 녈셔
아으 動動다리
二月ㅅ 보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가요『動動』 연구
- 한국 고시가론 -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동동 원문과 해석
2. 형식, 내용상의 특징
3. 논란의 쟁점
1) 어석상의 논란
2) 작품의 성격에 따른 시적화자에 대한 논란
(1) 남녀의 애정요, (2) 송도지사, (3) 종교적 서정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