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요 동동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가요 동동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동동 원문과 해석
2. 형식, 내용상의 특징
3. 논란의 쟁점
1) 어석상의 논란
2) 작품의 성격에 따른 시적화자에 대한 논란
(1) 남녀의 애정요, (2) 송도지사, (3) 종교적 서정요
3) 기록에 따른 몇 가지 논란
4. 동동무

Ⅲ. 결론

본문내용

고려가요『動動』 연구
- 한국 고시가론 -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동동 원문과 해석
2. 형식, 내용상의 특징
3. 논란의 쟁점
1) 어석상의 논란
2) 작품의 성격에 따른 시적화자에 대한 논란
(1) 남녀의 애정요, (2) 송도지사, (3) 종교적 서정요
3) 기록에 따른 몇 가지 논란
4. 동동무
Ⅲ.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동동’은 민요에서 출발하여 궁중으로 이입되는 과정을 거친 고려가요로서 춤과 노래가 함께 어우러져 공연된 연희였다. 고려 때부터 구전되어 오다가 조선조에 「악학궤범」권5 시용향약정재 중에 연희의 놀이 절차와 함께 노랫말이 수록되어 있으며, 「대악후보」권7에는 악보가 전한다. 그리고 「고려사」악지에는 ‘동동’에 대한 해설이 실려 있다. 그밖에도 『고려사』 권 71 樂志 2와 『성호사설』 권 4 俗樂, 『용재총화』 권 1, 『증보문헌비고』 권 106, 『해동죽지』 중편 俗樂遊, 『성종실록』 권 132, 12년 8월, 『중종실록』 권 32, 13년 4월 己巳朔 등에 관련기록이 남아있다.
‘동동’이란 북소리의 擬音(의음 : 음향효과를 위해 소리를 인공적으로 흉내내어 만드는 것)이었는데 아마 조선조에 와서 ‘동동’을 채록하면서 입으로 흉내 낸 북소리 “둥둥”을 “動動”으로 한자화하였고, 이를 작품의 제명으로 삼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둥둥’의 여음이 북소리의 의성이 아니라, 뜻이 분명한 서역어일 것이라는 설도 있으나, 사모곡의 ‘위덩더둥셩’이나 정읍사의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등의 후렴구처럼 ‘동동’을 악기의 구음으로 추정할 수 있다. 즉 동동사를 부를 때 반주음인 북소리의 구음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성호사설』의 기록도 ‘동동’을 악기의 의성으로 보고 있다.
고려조에 이미 향악의 가사로 사용되던 것이 조선조에 들어와서도 시용향악정재에 사용되었음을 <고려사>의 악지나 <악학궤범>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러나 중종대에 와서 남녀 간의 음사라는 이유로 송축가인 <新都歌>로 대체되었다. ‘동동’은 이미 이 세상에 없는 님에 대한 연모와 송도의 정을 민속적인 월령체 형식으로 총 13연으로 되어있으며 각 연마다 후렴구가 붙는다.
Ⅱ. 본론
1. 동동원문과 해석(악학궤범 소재 원문)
德으란 곰예 받잡고
福으란 림예 받잡고
德이여 福이라 호
나라 오소다 ○ 드리러 오시옵소서
아으 動動다리
正月ㅅ 나릿므른 아으
어져 녹져 논
누릿 가온 나곤
몸하 올로 녈셔 ○ 홀로 살아가네
아으 動動다리
二月ㅅ 보로매 아으
노피현 燈ㅅ블 다호라
萬人 비취실 즈샷다 ○ 모습이로다
아으 動動다리
三月나며 開한 아으
滿春욋고지여 ○ 진달래꽃이여
브롤 즈 디녀 나샷다 ○ 부러워할
아으 動動다리
四月아니 니저 아으
오실서 곳고리 새여 ○ 꾀꼬리 새
므슴다 錄事니 ○ 어찌하여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2.18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13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