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태는 앞쪽의
비워진 공간과 직접적으로 비교됨으로써
더 강조
(11)사당의 중심성
부인에게 사랑채가 윤증고택의 상징적인 이미지라면 이곳 사람들에게 항상 있는 곳은 사당이다. 안채의 동측담을 타고 오르게 되는 이곳에서의 길과 계단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13.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채의 대청과 사랑채의 툇마루가 잘 갖추어져 있다.
[그림 2-21]
2.3.5 북부지방
북부지방의 형태는 마루 없이 각 공간이 밀집된 겹집형이다.
① 북부지방 농가
중부지방의 일반형인 ㄱ자형 안채와 일자형 문간채 광채가 튼 ㅁ자형으로 배치되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안채
(2) 사랑채
(3) 사당채
(4) 행랑채
(5) 별당채
(6) 곳간채
3. 양반집의 정원
4. 지역별 서민의 집의 소재와 모양(형태)
1) 남부 지방
(1) 전라도
(2) 경상도
2) 중부 지방
(1) 경기도
(2)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채의 대청과 사랑채의 툇마루가 잘 갖추어져 있다.
[그림 2-21]
2.3.5 북부지방
북부지방의 형태는 마루 없이 각 공간이 밀집된 겹집형이다.
① 북부지방 농가
중부지방의 일반형인 ㄱ자형 안채와 일자형 문간채 광채가 튼 ㅁ자형으로 배치되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0.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안채와 문간채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취하는 튼ㅁ자 형태를 취하는 집들을
흔하게 볼 수 있다.
* 풍수지리설이나 역서에 입각한 양택서(陽宅書)의 출판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 그 이후 서울 등 일부 대도시에서는 한국인이 짓는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9.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