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연성폐기물 고형연료화
2007년 기준 에너지화 가용폐기물(470만톤/년)의 1.2%만 고형연료로 제조하고 있지만, 2012년까지 39%를, 2020년까지 100%를 고형연료화 할 예정이다.
현재 원주시에서 RDF제조시설(80톤/일)을 설치·가동중이며, 수도권매립지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연성폐기물 자원화 시범사업(RDF생산시설)
200톤/일
RDF 생산시설 100톤/일
2009.11월 완공예정
□ 질의 응답
(1) 고화처리시설
슬러지 처리시 시멘트와 플라이애쉬만을 사용하는지?
⇒ 슬러지는 시멘트와 수화반응에 의해 암모니아가스를 발생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1.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폐기물의 양을 허위로 장부에 기재하는 수법을 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최종처리업자가 불법처리에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경우이다. 수집운반업자로부터 가연성폐기물 등을 위탁받아 불법매립하거나 열경화성인 것으로 장부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7.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연성폐기물을 총 123차 파쇄를 거친 후 비성형 SRF 품질규격(50×50mm) 준수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됨
시설 감가상각 : 연간 약 3억 3천 3백만원 [약 1,110,476원/일]
- 기계 : 약 1억9백만원, 건축 : 약 1억6백만원(부지구입비 제외), 차량 외 : 약 1억1천7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1.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폐기물을 근본적으로 발생 억제시키고, 재활용에 의하여 감량화를 유도하는 적극적인 정책이 요구되게 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촉진법」에서 사업장 또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가연성폐기물을 변환시켜 얻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10.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