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 경주시
4. 탑파, 예경, 박경식, 2001
5. 삼국유사의 현장기행, 문예산책, 이하석, 1995
6. KBS 역사스페셜, 0.3mm의 예술, 감은사 사리함 1. 대왕암과 감은사
2. 감은사 삼층석탑의 사리장엄
3. 동서 삼층석탑 사리장엄
# 참고문헌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감은사 사리함’
김봉렬,『불교 건축』, 솔, 2004
강우방,『불교 조각』, 솔, 2003
강우방,『한국불교의 사리장엄』, 열화당, 1993
문화재청 http://www.cha.go.kr/
국립중앙박물관 http://www.new-museum.go.kr/
서울문화재 http://sca.visitseoul.net/ Ⅰ. 개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0.05.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술 감은사 사리함]
이구의, <만파식적>에 나타난 신이성고, 2002. <차례>
1. 만파식적의 원문
2. 원문 해설
3. 시대적․ 역사적 배경
4. 만파식적의 뜻과 유래
5. 소재의 상징성
6. 만파식적의 의의
7. 맺음말
8. 출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감은사지 석탑은 이처럼 신라와 백제의 석탑양식을 고루 채용하면서 통일 직후에 건립되었다. 이것은 신라의 삼국통일이 비단 정치적인 측면만이 아니라 삼국의 문화를 융합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상징하는 것이다.
2) 동탑(東塔)의 주인공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4.09.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감은사 사리장엄은 통일신라 공예를 대표할 만한 작품으로 꼽힌다.
4. 사진과 그림
송림사오층전탑 사리구
각종 사리함
금동 육각 사리함
은제사리호 금동사리기
금칠 사리그릇
감은사 서탑 수정제 사리병
5. 참고 문헌
신대현, 『적멸의 궁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