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녕전에는 용마루를 두지 않았다고 한다. 왕비의 처소인 교태전에도 역시 용마루는 없다.
강녕전과 교태전을 보면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이 있다. 부부가 따로 잔다는 것은 오늘날 우리에겐 이해가 되지 않는다. 따로 잔다는 것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태전의 담과는 달리 강녕전의 담은 매우 건설적이고 장중해 보였고 자경전과 교태전에 있던 아름다운 화원과 예쁜 굴뚝은 강녕전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인상적이었던 것은 궁궐 곳곳에 베인 조상들의 지혜이다. 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태전·강녕전·인지당·자미당의 상량문의 제술(製述)이 있었다. 1890년 6월에 경성전(慶成殿)의 화재가 있었으나 곧 진화되었다.
1896년(건양 1) 2월 16일 경복궁의 수리공사에 착공하고 97년 5월 20일에는 경복궁의 만화당(萬和堂)을 경운궁(慶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태전(交泰殿) 일곽을 헐어다 재건에 썼다.
이때에 철거된 전각은 교태전·강녕전·연길당·경성전·연성전·인지당·흠경각·함원전·만경전·홍복전 등 400여 칸에 달하였다. 1996년에는 조선총독부 건물을 철거하였으며, 2009년까지 총 1,789억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태전·강녕전 등 많은 건물을 철거하여 창덕궁으로 이건 하였다.
창덕궁은 1610년 광해군 때 정궁으로 쓰게 된 뒤 1868년 고종이 경복궁을 중건할 때까지 258년 동안 역대 제왕이 정사를 보살펴 온 법궁 이었다.
창덕궁 안에는 가장 오래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5.12.0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