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도율 : 연 근로시간 1000시간당 재해에 의해 잃어버린 일수
강도율 =(근로 손실일수/연평균 근로 총 시간수)*103
환산 강도율 = 강도율 *100
★2직접 손실비 84
요양급여
장해급여
상해 보상연금
(생산중단 손실비용 > 간접손실)
★간
|
- 페이지 3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3.04.16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강도율의 하락 폭은 더욱 작다. 요컨대, 경미한 재해의 발생빈도는 크게 떨어지고 있으나, 대형재해는 크게 줄지 않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산업재해 발생 추이 자료 : 노동부《산업재해분석》
구분
1988
1998
증감
증감률(%)
대상자(천명)
5,744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0.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강도율 1.55를 기록한 이래 계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재해율 1.90, 도수율 7.78, 강도율 3.29를 정점으로 현재까지는 약간의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보이는 산업재해 발생 감소의 배경으로는 재래형 재해의 자연감소와 건설업에 대한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강도율 = (근로 손실일수)/(연평균 근로 총 시간수) * 100,000
영구일부노동불능은 신체장애등급에 따른 손실일수에 300/365을 곱하여 환산한다 X > 신체장해등급 4~14등급으로 분류, ILO기준에 의한 근로신실일수로 규정
강도율 2.0 : 근로시간 100
|
- 페이지 5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3.04.16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도를 분석 확인하여 그 예방대책을 수립하는데 사용하고 있는 지표로는 건수율, 도수율, 강도율 등이 있다. 그러나 국제노동기구에서 권장하고 있는 재해통계지표는 도수율과 강도율이다.
3) 산업재해의 원인과 상병 분류
(1) 산업재해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6.08.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