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9건

개구수(NA) 및 집광력 등이 관여하는데 공식은 다음과 같다. &R` = `K ``TIMES { } over {NA } `=`0.6` TIMES { 0.5} over {1.4 }`=`0.22㎛ & K(상수)=0.61,~~ NA=1.3~1.4, ~~ (빛의 파장) = 0.5㎛ 가장 좋은 광학 현미경의 분해능은 대략 0.22㎛ -눈의 분해능의 약 500배- 이다.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대물렌즈의 개구수를 a라고 하면, d=λ/a로 주어진다. 따라서 파장이 짧은빛으로 조명할수록, 또한 개구수가 큰 대물렌즈를 사용할수록 해상력은 좋아진다. 건조계 대물렌즈의 개구수는 0.05∼0.95의 범위이고, 렌즈와 시료 사이를 액체로 채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개구수를 늘려 분해능과 배율을 높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통해 개구수는 0.66∼1.4로 늘고, 배율은 1,500배로 높아진다 - 개구수 (Numerical aperture) 현미경의 해상력을 결정하는 수이다. 대물렌즈를 통과한 빛과 광축이 이루는 최대각과 대물렌즈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개구수) 이것은 depth of field가 numerical aperture(A) 와 wavelength(λ)에 의존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만약 개구수가 작아진다면, 그만큼 depth of field가 넓어져서 초점이 많이 맞아떨어져 좋을 것 같지만, 사실 numerical aperture가 줄어든다는 사실 자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반드시 부식액, 부식시간, 배율 등을 적어 놓도록 한다. (4) 렌즈의 분해능은 시편중의 2점을 보고 구분할 수 있는 최단거리(D), 즉 빛의 파장을 λ, 렌즈의 개구수(대물렌즈에 표시되어 있음)를 N.A라고 하면 D=0.61λ/N.A로 나타낼 수 있다. 광학현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6.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