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로의 종류
(1) 발생장소에 근거한 분류
① 표면결로 : 물체표면에 생기는 결로
② 내부결로 : 벽체나 재료의 내부에서 생기는 결로
(2) 발생시간에 근거한 분류
① 여름철 결로 : 고온다습한 공기가 낮은 온도의 공간에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8.3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면은 방수 처리를 하더라도 수증기는 통과시킬 수 있어야 한다. 지붕 속의 공간은 결로가 심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환기와 함께 방습층을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단열재가 천장 측에 설치되어 찬 지붕(cool roof)이 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증기가 물방울로 되는 것
② 결로현상 : 실내의 습한 공기가 벽, 천장 등에 접촉할 때 이슬이 맺히는 현상
※표면결로
→실내의 습한 공기가 벽면, 천장, 바닥 및 창유리면의 저온 표면에 접촉 했을 때
결로점에 도달하여 결로하는 현상
※내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0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면결로, 내부결로, 열교
1) 표면결로
① 발생여건
-구조체의 표면온도가 접촉하고 있는 공기의 노 점온도 이하일 경우
-공기의 절대습도가 높을 경우
-실내 수증기분압이 높은 경우
② 발생하기 쉬운장소
-난방시 단열이 잘되지 않는 외벽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6.0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결로가 발생되면 fg=1, 발생하지 않으면 fg=xg
xg : 유리 표면 온도에 대한 포화절대습도
a' : 표면의 습도전달율
Sg : 유리면적
6.3.2 수증기 발생량
작업강도
(kgmh)
주변온도 ( )
5
10
15
20
25
30
35
휴식
0
28
27
28
34
57
94
132
가벼운작업
2280
41
45
73
109
162
206
2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