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권 포항·울산·경주의 정체성
순 서
1. 정체성의 개념과 정체성이 인간에 미치는 영향 3
2. 지역사회의 정체성 6
- 울산의 정체성 : 경(敬)
- 경주의 정체성 : 화(和)
3. 포항의 역사와 정체성 : 정(正) 14
4. 한국민족의 정체성 : 정(情)·한(恨) 22
1.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4.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체성을 확립하고 관광지로 육성함
- 조선 양명학 및 유교문화의 복원 및 정비, 전통한의학 성지, 임진왜란 및 625전쟁 관련유적지, 사찰등 전통역사문화 관광지를 조성
? 생태자연자원의 관광자원화
- 소득증대 및 고령화사회의 진전으로
|
- 페이지 50페이지
- 가격 10,000원
- 등록일 2004.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불렀다. 심지어 전처의 아들조차 계모를 `전라도 여자’라고 부르곤 해서, 내 조모가 그 아들을 몇 차례 호되게 꾸짖었던 것으로 나는 기억한다. (이윤기, 2000: 78-79) 정체성이란?
지역사회의 정체성
경주의 정체성 : 和
포항의 정체성
|
- 페이지 172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2.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주의 기운이 거의 고갈이 되었기 때문인 것 같다는 이야기를 반 농담으로 한 적이 있다.
흔히들 고향에서 잃어버린 정체성을 찾는다고 하는데, 몇 가지 뜨문뜨문 떠오르는 어릴 적의 추억 말고는 고향땅이 나에게는 도대체 어색하고 낯설기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9,100원
- 등록일 2020.03.18
- 파일종류 압축파일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체성을 보여줄 수 없기 때문에 외부인에게도 관심을 잃게 됨
3.오늘날 생활문화에 대한 태도
-한국문화에 대한 강한 자부심이 자민족 중심주의(자신의 민족문화가 우월하다고 생각 하는 것) 경향을 띠어서는 안됨
-세계사회의 문화적 다원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6.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