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정자. 중요민속자료 제81호. 여강 이씨(驪江李氏) 문중에서 1560년경에 세웠는데, 화재로 소실되어 1917년경에 본래 모습대로 복원하였다.
勿자형 마을의 오른쪽 산등성이에 가자형 행랑채와 함께 자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을 등 전국적으로 전통민속마을을 6곳에 한정하여 지정한 바 있다. 이중에서 내가 양동민속마을을 선택한 이유는 신라 유적으로 가득 찬 경주 인근에서 유일하게 조선시대의 문화재가 집중된 곳이라는 점 때문이었다. 이 조사를통해 한국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2.09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을의 분위기와 맞지 않는다면 마을 입구에라도 휴식공간을 만들었으면 한다. 이런 것이 개선 된다면 좀더 관람하기 좋은 양동마을이 될 것 같다.
※ 참고문헌
경주 양동마을 안내책자, 경주시 문화관광과, 製作年 未詳.
김봉렬, 韓國의 建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주라고 생각하면 주로 불국사나 석굴암 등 신라시대 유적들만 떠올렸는데 다음에 경주에 갈 기회가 생긴다면 옥산서원이나 양동마을을 가 보는 것도 색다른 경험이 될 것같다. 이번 조사를 통해서 많이 알았기 때문에 ‘아는 것 만큼 보인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양동부락의 공간형태에 대한 보고서 (서울대학교 논문)
6. 정재훈, 1996, 한국 전통 원. 苑, 조경사, 서울)
7. 정인국, 1995, 한국건축양식론
8. 경상북도 양동마을 조사 보고서
9. 김봉열, 1985, 한국의 건축- 전통건축편, 공간사
10. 장기인,1982.6, 양동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4.03.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