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구려의 수레는 어디로 갔을까? (바다출판사, 1999, 김용만)
2. KBS 역사스페셜 "고구려의 재산목록 1호는 수레였다" 편
3. 그 외, 각 종 인터넷 사이트 Ⅰ. 서론
Ⅱ. 고구려의 수레와 부강
Ⅲ.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 수레
Ⅳ. 고구려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구려 문명사, 바다출판사
◎ 박경철(1996), 고구려의 국가형성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형구(1991), 한국 고대 문화의 기원, 까치
◎ 이도학, 삼국의 상호관계를 통해 본 고구려의 정체성
◎ 김용만(1999), 고구려의 그 많던 수레는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9.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구려의 장수로 살았다면 나라가 얼마나 부강했을지 하는 부질없는 아쉬움이 든다.
안록산의 난이 일어나지 않고 현종이 계집에 빠져 정사를 망치지 않았다면, 석국의 왕이 당 조정에 의해 살해되지 않았을 것이고 탈라스 전투 없이 고선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10.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강을 가져왔다
4대문명의 가장 큰 차이점은 섬유문화를 들 수 있다.
중국은 실크문화, 인도는 면화 문화, 메소포타미아는 양모 그리고 이집트의 마 문화가 그것이다.
이러한 섬유문화의 차이와 더불어 권역별 문화의 차이를 가진다.
농경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식으로 지주의 토지 소유를 줄이고 독립 자영농을 육성해 나간다.
박지원 : 산업과 경제를 잘 다스려 부국안민을 이루자. 상업 활동의 자유를 적극적으로 보장하고 선박과 수레를 이용해 유통경제를 활성화 하고 해외통상을 하자.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4.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