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두는 서기체 표기에 문법형태를 보충한 것으로 우리말의 어순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문의 번역에도 쓰인 이두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자료로는 〈대명률직해 大明律直解〉·〈양잠경험촬요 養蠶經驗撮要〉가 있다. 〈대명률직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발달사, 세영사
이기문(1972,1992), 국어사 개설, 탑출판사
이익섭, 이상업, 채완(1997),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정경일 외(2000),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 박이정 1. 고대국어
1) 음운체계
2) 자음체계
3) 모음체계
4) 문법체계
5) 어휘체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이에 깊이 뿌리박혀있었다.(이서 전용의 특수 문어로서 공사문서에 사용됨)
② 우리나라 문자 생활의 상층부를 이루었던 한문의 후광 입었다.(한문 번역에도 사용됨)
第4節 口訣
구결이란 ‘입 4. 문자체계
5. 고대국어
6. 전기중세국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의 종결어미
2.1 평서
현대 국어나 중세 국어에서처럼 고대 국어에서도 대표적인 평서형 어미는 ‘-다’였다. ‘-다’는 구결에서는 ‘ㅣ’로, 향찰에서는 ‘如’ 또는 ‘多’로, 이두에서는 ‘如’ 또는 ‘之’로 표기되었다.
(9) ㄱ. 薯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는 문장 유형상 단문은 별로 없고, 주로 복문과 혼성문으로 되어 있어서 문장의 길이가 매우 길다.
④ 표기
한자 숭배로 인해 고대국어에서 사용되던 차자체계가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하고 현상유지 되거나 소멸되었다. 구결, 이두 등의 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7.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