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대 국어에서도 관형사절은 주로 ‘-ㄴ(隱’), ‘-ㄹㆆ(尸‘)에 의해 형성되었다.
(21) ㄱ. 去隱(간) 春皆理米(모죽지랑가>
ㄴ. 郞也 慕理尸(그 1. 머리말
2. 고대 국어 문법의 접근 방법
3. 고대 국어의 자료로서의 향가
4. 향가를 통해 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의 시대별 변천 . 실태 연구2-근대국어-」. 국립국어연구원.
민현식. 1999. \"개화기 국어 문법.\" 「국어의 시대별 변천 . 실태 연구 4-개화기 국어-」. 국립국어연구원.
박병채. 1989. 「국어발달사」. 세영사.
박성종. 1998. \"고대 국어 어휘.\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문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국어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 국어사이기 때문에 국어사 교육은 필요한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서술해 보았다. 국어사는 고대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본 론
1. 고대국어 표기법 - 차자표기 ……2
2. 중세국어 표기법 ……3
3. 근대국어 표기법 ……4
4. 개화기 표기법 ……6
5. 일제시대 표기법 …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를 반영한 귀중한 자료이다. 한 작가에 의하여 동시에 지어진 작품이므로 흩어져 있던 것을 수합한 『삼국유사』의 향가보다는 훨씬 일관성이 있다. 또 최행귀(崔行歸)의 한역시(漢譯詩)가 붙어 있고 40권본(卷本) 『화엄경(華嚴經)』에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0.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