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경음 비읍 ‘ㅸ’이 고려시대에도 존재했다고 결론을 내린다.
* 참고문헌 *
성환갑, 『국어사 요목』,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07
조규태, 「여린 비읍(ㅸ)에 대하여」, 한글학회, 한글 240호·241호, 1998
서영석, “순음의 음운론적 연구(2)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7.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대의 언어적 특징
1) 표기법
(1) 15세기 맞춤법의 원리
① 1차적 원리 : 음소적 원리 - 각 음소를 충실히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 모든 형태음소론적 교체가 표기상에 반영됨
㉯ 종성으로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의 8종성만을 쓸 것을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예의>의 초성 체계에서 ‘ㅸ, ㆆ, ㅿ, ㆁ’ 등은 현재 쓰이지 않는 글자들인데, 이 중 ‘ㅸ’이나 ‘ㆆ’은 당시의 우리말의 현실과는 동떨어졌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첫째, ‘ㅸ’(순경음 비읍)은 실제 국어를 표기하는 데는 사용했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순경음 ㅸ의 連書(이어쓰기), ㄲ ㄸ ㅃ ㅆ ㅉ ㆅ이나 ㅺ ㅼ ㅽ ㅳ ㅶ 등 書( Ⅰ. 서론
Ⅱ. 본론
1. 훈민정음의 기원문제
1.1 고전 기원설
1.2 범자 기원설
1.3 몽고자 기원설
1.4 고자 기원설
1.5 자주적 발명 기원설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군
5) ‘ㅅ’과 ‘ㄷ’ 종성 표기
6) 기타 (근대국어에 와서 중기국어와 달라진 표기)
3. 현대국어(갑오경장~오늘날) 정서법
1) 개화기의 표기법
2)일제시대의 표기법
3)어간 고정의 표기
4) 문교부 고시 「한글 맞춤법」의 표기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